View : 7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윤주-
dc.creator조윤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5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1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9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10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인간생활에 있어서 가치란 매우 중요하며 학생에게 가치의 내면화를 돕는 교육은 필요하다는 전제 위에 전개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도덕교육이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바람직한 가치를 전달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도덕교과에서의 가치교육에 대한 교수방법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통합적인 가치교육 방법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핵심은 통합적인 가치교육방법들을 고찰하고 이를 활용하는 교사의 역할을 논의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현재의 교육현실에 비추어 기존의 도덕교육방법이 지닌 문제점을 제기한다. 기존의 도덕교육은 과거의 전통적인 가치들을 주입식으로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가치의 내면화에 실패하였다고 평가된다. 현재의 학생들은 스스로 가치를 선택하고자 하며 과거의 전통적인 틀을 수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음을 실례를 통해 제시한다. 2장에서는 학생과 교사의 견해가 다른 도덕적 위기 상황에서 가치교육의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여 기존 도덕교육의 문제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가치의 정의와 개념을 살펴보고 가치와 도덕의 관계를 논의하여 도덕교과에서 가치교육방법들의 수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는 가치교육의 영역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도덕성 상실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가치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가치교육의 영역은 도덕적인 영역과 탈도덕적인 영역, 개인적인 영역과 사회적인 영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오늘날 한국학교의 도덕교육은 가치교육에서의 도덕적 영역과 사회적인 영역을 매우 강조한다. 이는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포함한 개인적이며 탈도덕적인 가치를 간과하며 실제적인 현실에서는 도덕적 위기상황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도덕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가치교육의 방향은 탈도덕적인 영역으로 시작해서 도덕적 영역으로 확대해 가는 것임을 제안하는 바이다. 도덕교육은 환경교육, 성교육, 정치교육, 건강교육, 예술교육, 평화교육, 인권교육, 종교교육, 약물교육 등 다양한 영역 속에서 가치교육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로 미국의 가치교육의 변천과정을 제시함으로써 도덕적 위기라는 비슷한 상황을 겪고 있는 한국의 가치교육을 진단하고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미국의 가치교육의 변천과정을 통해 한국에서 수용해야 할 가치교육의 방향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가치교육의 변천과정에 따라 가치교육방법의 변화를 논의하고자 한다. 가치교육의 접근 방법은 내용중심 접근방법에서 형식중심 접근 방법으로 변화되었다. 전자는 기존의 가치를 주입하거나 이해시키는 소극적인 기능을 담당하여 하여 온 반면에 후자는 주입식 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가치나 가치의 원리를 깨닫도록 돕는 새로운 접근 방법들이다. 3장에서는 최근의 형식중심의 접근법이라 할 수 있는 가치교육방법들을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도덕과 교수학습지도서에 제시된 가치화의 방법들을 소개하고 구체적이며 통합적인 활용을 위해 각각의 특징들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논의되는 가치교육 방법은 래쓰 외 (E. Raths, M. Hamrin, B. Simon) , 쿰즈 (J.R. Combs), 콜버그 (Lawrence Kohlberg) 등의 이론에 근거한다. 이들의 이론에 근거한 접근법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밝히고 가치교육에 있어서 통합적인 활용의 틀을 논의한다. 가치교육은 세 접근법 중 어느 한가지 방법만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며 통합적인 활용에 의해 완성될 수 있으므로 이 세 가지 접근법들의 각각의 차이점으로부터 가치교육의 통합적 접근의 틀을 제시한다. 가치교육의 초기단계에서는 가치명료화 접근 방법이 유용하며, 두 번째 단계는 가치에 대한 사실적인 정보전달과 합리적 사고과정을 유도하는 가치의 분석접근을 활용하며, 세 번째 단계는 자신의 개인적인 가치와 공동체적인 가치에 대한 가치갈등상황에서 문제해결을 체험하도록 도덕적 추론의 접근 방법의 활용을 제안한다. 4장에서는 가치교육방법들을 상황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교사이므로 가치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구체적인 역할을 논의하였다. 가치교육을 위한 교사는 학생 개인의 가치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말할 수 있는 허용적이며 개방적 분위기의 조성자임을 논의한다. 두 번째로 교사는 개방적 분위기의 조성과 함께 가치문제에 있어서 학습자의 사고를 유도하는 사람임을 언급한다. 세 번째로 교사의 역할은 학습자 개인의 가치와 공동체적 가치의 갈등상황의 해결을 돕는 대화를 통한 안내자임을 논의한다. 교사는 학생으로 하여금 대화를 통해 가치의 지평을 넓혀가도록 돕는 안내자이다. 이에 따른 교사의 자질은 포용의 태도이다. 5장은 각 장의 논의에 대한 마무리와 한계점을 제안하도록 한다.;This thesis proceeds on the premise that values are important in human life and education is necessary for internalizing values. Because the current moral education does not appear effective in transmitting values to students, our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methods of teaching values in the current moral education and present an integral model of value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practice. The central concern of the study is to consider integral methods of value education and discuss the teacher's role in utilizing the methods. The thesis consists of five chapters as follows. Chapter 1 points out problems with the current moral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present state of education. While the current moral education attempts to indoctrinate traditional values, today's students want to choose values on their own and tend not to accept the indoctrinated traditional frameworks. In Chapter 2, we discuss the educational meaning of value education in order to seek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moral education in crisis. For this purpose, we first examine various definitions and notions of valu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and morals. Then we discuss the acceptability of value education methods. Second, we classify and analyze the areas of value education. From this we draw the implication that a comprehensive value education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morality crisis. We classify the areas of value education as the moral versus the amoral and the social versus the personal. Today's moral education at school lays a special emphasis on the moral and social areas. This practice amounts to passing over the personal and amoral values including students' interests and may bring about moral crises in real life. Hence, we suggest that the right direction of value education to overcome such a crisis situation is to begin with the amoral area and to gradually expand into the moral are a. Moral educ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value education in various areas such as environmental education, sex education, political education, health education, arts education, peace education, human rights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and drug education. Third, we examine the history of American value education and draw implications for Korean value education confronting a similar crisis situation. We can offer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value education from the examination of American experience. Finally, we discuss the changes in value education methods. Value education has made a transition from the content-centered approach to the form-centered approach. The former assumes a passive role in indoctrination of traditional values while the latter recognizes the limits of indoctrination-oriented teaching and offers new methods to help learners to comprehend values or principles of values on their own. Chapter 3 gives a concrete discussion of the recent form-centered approaches in value education methods. We introduce value education methods as explained in the current teachers' manual for moral education. We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hod for concrete and integral utilization. The methods we consider are based on theories of Raths et al., J. R. Combs and Lawrence Kohlberg, respectively. We try to illumin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methods and discuss a framework for integral utilization for value education. Value education should not rely on any single approach but must utilize all three methods in an integral manner to be effective. In the beginning stage of value education, value clarification approach of Raths et al. is useful. In the second stage, analytical approach of Combs may be employed to induce realistic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nd rational thinking process. In the third stage, moral cognitive theory approach of Kohlberg is appropriate so that a student may experien ce the resolution of conflict between personal and communal values. Chapter 4 discusses the concrete role of teachers in value education because it is the teachers who must choose among methods depending on the given situation. A teacher in value education is the facilitator of an approving and open atmosphere that allows students to freely choose and speak of their personal values. Secondly, the teacher is the person who induces thinking of students on value problems. Thirdly, the role of the teacher is to guide students via conversations in resolving conflict between personal and communal values. So the necessary disposition of a teacher in this process is the attitude of inclusion. At last, Chapter 5 summarizes and points out limitations of the the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1.1 연구의 필요성 = 1 1.1.2 연구의 목적 = 5 제2장 가치교육의 의미와 변천과정 = 7 2.1 가치교육의 의미 = 7 2.1.1 가치의 정의 = 7 2.1.2 가치교육의 영역 = 9 2.2 가치교육의 변천과정 = 15 2.3 내용중심의 전통적 접근법과 형식중심의 새로운 접근법 = 22 2.3.1 내용중심의 전통적 접근법 = 22 2.3.2 형식중심의 새로운 접근방법 = 24 제3장 가치내면화 교육을 위한 세가지 유형의 형식중심접근 비교 = 30 3.1 가치교육의 접근 방법들에 대한 논의 = 30 3.1.1 가치명료화를 통한 가치교육 = 34 3.1.2 도덕적 추론을 통한 가치교육 = 36 3.1.3 가치분석을 통한 가치교육 = 39 3.2 세 가지 접근법을 통한 가치교육의 모색 = 39 3.2.1 세 가지 접근법에 대한 공통적인 비판 = 39 3.2.2 세 접근법의 차이점을 통한 통합된 가치교육 모색 = 49 제4장 세 가지 접근법을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 = 54 4.1 개방적인 수업분위기 조성자로서의 교사 = 55 4.2 학습자의 탐구를 유도하는 교사 = 60 4.3 대화를 통한 안내자로서의 교사 = 63 제5장 결론 = 68 참고문헌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075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치교육에서 형식중심접근의 검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도덕교과의 '가치의 내면화' 방법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