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Educational Development in Post-Conflict Societies

Title
Educational Development in Post-Conflict Societies
Authors
MUKAKIMENYI, Ruth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Brendan M. Howe
Abstract
One of the guiding principles during the UN Social Summit in Copenhagen in 1995 was that governments of developing countries were to establish universal primary education as one of the key human development targets for 2015.The right of basic education is the basic right of the children and all nations are called on to make primary education compulsory, available and free to all (United Nations, 1989). This thesis attempted to analyze the shortcomings in Rwanda’s post-Genocide educational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The study discussed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in Rwanda and examined the obstacles that hinder education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e Rwandan government’s effort to rebuild its education sector dates back to the aftermath of the 1994 Genocide. During this time,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fabrics were all devastated, all infrastructures ravaged particularly schools, and it eroded the country’s skilled human capital resource base. Rwanda has a big challenge ahead to build its infrastructure and improve the quality of basic education for all children. This thesis focuses on improving retention at all levels of education especially in primary education. In order for the government of Rwanda to achieve MDG and achieve the dream of transforming the country into knowledge based economy, lowering dropout and repetition rates should be the priority so as to increase primary completion while ensuring quality of education and paving way for transition to secondary education and Tertiary education. In conclusion, despite the government’s strong political commitment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with specific focus on providing quality basic education for all, the above problems will remain unless the government pays attention to quality and motivation of teachers, solve regional wealth disparity as well, and at the same time implementing school feeding programs. The study revealed some policy recommendations from South Korea as a post-conflict counterpart in which her initial educational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al experience serve significant lessons and best practices to Rwandan government as well as other developing countries ;1995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UN Social Summit의 주요 원칙 중 하나는 개발 도상국의 정부들이 2015년까지 이루어야 할 핵심적 인간 개발 목표 중 하나로 보편적 초등 교육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초등 교육을 받을 권리는 아동의 기본적 권리이며, 모든 국가는 초등 교육을 의무화해야 하고, 누구든 교육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United Nations, 1989). 본 논문은 르완다의 대학살 이후 교육 제도 재건에 있어서의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르완다의 현 교육 체제에 대해 논하고, 교육 제도 발전을 저해하는 장애물을 분석한다. 르완다 정부의 교육 제도 재 정립을 위한 노력은 1994년 대학살 이후로 거슬러올라간다. 이 시기 동안 사회적, 교육적, 문화적 구조는 모두 파괴되었으며, 특히 학교를 비롯한 모든 사회 기반 시설 또한 파괴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르완다의 숙련된 인적 자본의 기반을 약화시켰다. 르완다는 앞으로 사회 기반 시설을 재건하고 모든 아이들을 위한 교육의 질을 높이는 등, 많은 과제들을 눈 앞에 두고 있다. 이 논문은 모든 단계의 교육, 특히 초등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르완다 정부가 새천년 개발 목표를 달성하고, 국가를 지식 기반 경제로 탈바꿈하고자 하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교육의 질을 보장하고, 중등 및 고등 교육으로의 이행을 위한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초등 교육 과정을 마치는 비율을 높이기 위하여 초등교육의 중퇴율과 반복학습 비율을 줄이는 것이 최 우선 목표가 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모든 사람을 위해 질 높은 기본 교육을 제공하려는 정부의 강한 정치적 의지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교사의 질과 동기부여뿐만 아니라 지역간 빈부 격차 해소에 관심을 갖고, 동시에 학교 급식을 시행하는 등의 일을 하지 않는 한, 위의 문제들은 계속해서 남아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으로부터 도출한 몇몇 정책적 제안을 포함하고 있으며, 한국 전쟁 후 한국의 초기 교육 재건과 개발 경험은 르완다 정부를 비롯한 다른 개발 도상국에게 상당히 의미 있는 교훈을 제공해 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