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유미-
dc.creator홍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9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7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7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72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작품에 내재된 무순과 양면적인 해석의 기능성으로 말미암아 난해한 작품 혹은 일관성 없는 실패작으로 평가되어 셰익스피어의 다른 작품에 비해 홀대되어온 셰익스피어의 문제극, Troilus and Cresssida, All's Well That Ends Well, Measure for Measure의 진정한 예술적 가치를 재평가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작업은 이 작품들이 주제와 기법면에서 매우 현대적인 것으로 그 입지를 확고히 해 주고, 특히 이 작품들이 여성의 문제에 대한 당대의 현실과 진지한 고민을 예술적으로 구현한 작품으로 평가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남성 비평가들이 남성 인물의 경험에 촛점을 두고 그들의 눈으로 읽어온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을 새로운 각도에서 다시 읽기를 시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로 인식되어온 문제극의 모순점들이 작가의 부주의한 실수나 우연이 아니라 작품에서 제기되는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유도하기위한 의도적인 극작 태도임을 밝히고, 여성의 관점에서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을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기존의 문제극 논의는 문제극에 내포된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에 초점이 주어지고, 이 도덕성의 문제가 남자 주인공의 경험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반명, 본 논문은 문제극에 해당하는 각 작품의 가장 큰 문제를 남성 위주의 가부장에 사회에서의 여성문제로 파악하고, 여주인공 Cressida, Helena, Iasbella가 대면하는 문제에 작품 분석의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런 의도에서 출발하여 본 논문은 여성 문제를 배제한 기존의 문제극 논의의 결함을 극복하고 페미니즘의 시작에서 새로이 문제극을 보고자 한다. 그러나 문제극의 문제성을 인정하지 않고 극도로 단면적인 해석을 주장하는 일부 페미니즘을 지양하며,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이 문제극의 특성을 지닌 실험극임을 인지한 가운데, 기존의 전통 문제극 논의와 페미니즘 비평을 접목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방법론은 양 비평의 한계를 극복하고 접목시키는 절충적인 시도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의 논의의 출발점은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이 이 작품들이 산출된 시대와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당대의 문제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라는 인식이다. 당대는 세계관과 인간관의 변화와 더불어 의식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사회전반에 걸쳐 의문과 회의의 정심이 지배적이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 자연, 우주, 가족 구조 등의 근본적인 위계질서의 차별화가 신이 정한 자연의 이치로 여기던 기본적인 사고 방식과 질서 개념이 흔들리면서 남녀관계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가 이루어 졌다. 여성의 본성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퓨리탄들이 새로운 결혼관을 제시하고 휴머니스트들이 여성 교육론을 제기하고, 남성 복장을 한 여성이 출현하는 등 여서 변화의 현상들이 이 시대의 여성에 대한 인식과 여성의 지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역사적 요인들로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적 요인들은 여전히 한계를 지닌 것이고 진정한 의식의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현실은 여전히 변화하지 않고, 여성에 대한 논의는 언어 유희의 차원에 머물었다. 가부장에게 기반한 남성 위주의 사회질서를 공고히 해야하는 여성 통치자라는 엘리자베스 여왕의 모순적인 입지 자체가 바로 그 시대의 여성의 지위 및 여성에 대한 인식의 이중성과 모순을 그래도 표출해 준다.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은 이러한 여러 모순적인 상황을 여성의 아이덴터티의 문제, 성 역할의 문제, 순결의 문제를 중심으로 담고 있다. 서론에서는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여성 문제와 과련하여 새로운 해석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전저,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의 왜 문제극이며, 기존의 논의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으며, 문제극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았다. 다음 단계로 셰익스피어가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평가되는지를 검토해본 다음,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이 산출된 당대의 여성이 처한 현실적인 상황을 정리해 봄으로써, 문제극에 나타난 여성 문제가 그 시대적인 연관과 셰익스피어 작품 전체와 관련에서 어떻게 자리매김 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2장에서는 Troilus and Cressida를 Troilus와 Cressida의 사랑 이야기를 소재로 삼은 기존의 문학 관습에 대한 도전으로 규정하고, 여성의 아이덴터티의 시험을 담은 작품으로 파악하여 이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장기화된 전쟁의 상황에서 주변부에서 무력하게 존재하는 여성들의 아이덴터티가 남성 인물들의 평가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불안정한 것임을 Cresssoda 와 Helen의 경우를 통해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여성에 대한 남성들의 인식이 여신이나 창녀와 같은 상투적인 유형의 형태로 제시되고, 여성은 개인으로 인식되지 않고, 남성의 성적 대상으로 상품화되며, 생존을 위해 자신의 아이덴터티를 포기할 수 밖에 없는 현실적 상황의 희생자들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Cressida가 받아온 비판 일변도의 비평에 문제를 제기하고, 이 작품을 셰익스피어가 Troilus와 Cressida 에 대한 기존의 문학 관습을 새로이 해석하고자 한 작품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All’s Well That Ends Well을 여성의 성역할의 시험의 문제를 담고 있는 작품으로 파악하고 Helena가 지닌 도전적이고 비관습적인 행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이작품의 근본 틀이 남성이 욕망의 주체로 여성을 구애 대상으로 추적하는 일반적인 남녀 관계를 뒤집고, 여성의 욕망을 인정하고 여성이 자신의 욕망의 주체로서 남성을 추적하는 역전의 상황을 통해, 사회적 관습적으로 남녀에게 부여되는 성역할을 시험하고, 여성이 결혼과 구애의 문제에서 주도권을 쥔 경우를 담고 있다고 보았다. 근본적으로 계급 질서에 기반한 사회에서 가난한 고아 신분의 여성인 Helena는 성배를 찾아 떠나는 로망의 기사처럼 자신을 계급 관계에서만 바라보는 귀족 남성을 남편으로 요구하고 얻어내는 과업을 지닌 여성 기사의 역할을 맡았다. Helena는 아울러 여성에게 합당치 않다고 여겨진 처녀성의 문제를 대담한 언어로 거론하며, 남성의 영역으로 인정된 의술이하는 전문 지식을 소유한 여성으로 그려져, 여러면에서 사회의 기존질서에 도전적인 여성으로 부각된다. 4장에서는 Measure for Measure를 여성의 순결의 시험을 담고 있는 작품으로 보고, 소재를 변경하여 수녀 지망생으로 설정된 여주인공이 오빠의 목숨과 자신의 순결 사이에서 양자택일이 강요되는 상황에 처하여 소재의 희생적인 여성들과는 달리 자신의 순결을 선택하는 Isabella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셰익스피어는 근본적으로 시험구도를 취하며 Isabelladml 순결이 Angelo, Claudio, 공작이라는 세 남성에 의해 요구되는 상황을 설정한다. 그러나 오빠의 목숨과 자신의 순결사이에서 Isabella는 순결을 선택하고, 공작과의 결혼화 수녀로서의 삶의 서택에서 침묵한다. Isabella의 침묵으로 극을 종결하여 열린 결말을 선택한 셰익스피어의 의도는 분명하다. 이는 Helena의 도전적인 행동을 사회적 관습적으로 여성에서 기대되는 여성다운 방식으로 실해 시키는 것과 동일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은 기존의 잘 알려진 소재를 변경하여, 평범하지 않은 비관습적인 여성들을 담고, 이 여성들의 행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유발시키게끔 교묘하게 작품을 구성하고 있다. 셰익스피어는 그의 문제극에서 그 시대의 신여성이라는 칭호에 부합되는 비관섭적인 여성들의 행동을 시험하는 구도를 작품의 전체 구조적 틀로 삼아, 남성 중심의 가부장에 사회에서 여성의 아이덴터티의 문제와 관섭적으로 부여된 성역할의 문제, 그리고 여성의 최고 가지로 여성에게 강요되며 동시에 남성을 위해 희생되도록 요구되는 남성 위주의 이중적 가치관인 순결의 문제를 살펴보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의 실험적 측면과 문제성을 인지한 가운데 여성의 시각에서 페미니즘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이 작품들이 모순과 파라독스로 가장 잘 설명되는 당대의 여성에 대한 이중적 인식을 주제면, 형식면에서 훌륭히 극화시킨 작품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아울러 셰익스피어가 당대의 관습적 사고의 한계를 벗어나, 여러 각도에서 실험하고 여성을 하나의 인간이자 개인으로 인식하고자 시도한 작가로, 물론 가부장에 사회에 몸담은 남성이라는 작가의 위치에서 비롯된 비판의 소지도 없을 수 없으나, ‘시대를 넘어선 페미니스트(protofeminist)’라는 일군의 비평가들의 평가가 결코 과장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맥락에서 특히 셰익스피어의 문제극은 여성에 대한 관습적 인식의 틀을 뛰어넘은 셰익스피어의 면모를 가장 확연하게 드러내 보여주는 작품들로 평가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alue Shakespeare’s Problem plays ? Troilus and Cressida, All’s Well That Ends Well, and Measure for Measure?form the feminist point of view. Traditional discussion of the Problem Plays is usually about the moral and ethical issues and has been focused on the hero’s experience, his suffering, and his discovery of self-knowledge. Rejection this king of critical attitude, the present dissertation will focus on the heroines and their experiences for re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oman question without adherence to the one-sided feministic critical attitude which neglects these play’s problematic characteristics, so as to synthesize traditional criticism, which ignores and excludes the very significant woman question, with feminist criticism which sometimes ignores the problematic quality of the Problem Plays. The starting point of this dissertation is the recognition that Shakespeare’s Problem Plays are artistic representations which reflect and bear a close relationship to the period in which they were written, a period which can be represented by the expression, ‘paradoxes and inconsistency’. With changing views on the world and on man, questioning and inquisitive spirit prevailed over society, and reconsider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woman could not be a exception. In particular, the vehement debates on woman and her nature, the transvestite controversy, the Putirans’ new ideas of marriage with a view of woman as the spiritual partner for man, and the Humanists’ insistence on female education were evaluated as historical elements which had greatly changed woman’s position. But each of these important changes still had its limits and couldn’t bring about practical changes in the real consciousness relating to woman and to her position in society. The situation remained the same. Woman was still the lord in the family. The debate on woman had been nothing more than a literary game. Shakespeare’s Problem Plays reflect this contradictory and paradoxical circumstance by examining the issues of woman’s identity, woman’s gender role in a patriarchal society, and woman’s chastity. The introduction aims to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Plays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re-reading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First what the problem of the Problem Plays is and how criticism of these plays has developed will be examined. In addition, the historical situation of woman during the period, the so called ‘Renaissance’, will be discussed. And feminists’ understanding of Shakespeare, especially their critical approach to the Problem Plays, will be examined as well. Then, woman’s identity, woman’s gender role, and woman’s chastity will be evaluated as the main problematic issues of Shakespeare’s Problem Plays as well as of the time In Chapter Ⅱ, Troilus and Cressida will be defined as Shakespeare’s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attitude and to the literary convention of the ‘true Troilus’ and ‘flase Cressida’ formula. One of the main issues here is the problem of identity, especially the problem of female identity, in the changeable and insecure world where the principle of survival is most important. The women in this world of Troilus and Cressida are on the margin, not in the center, for they remain helpless in was where the male strength controls. And woman’s identity depends totally on man’s evaluative criteria of goddess or whore. Thus, Cressida is defined as a goddess or a pearl by Troilus, not as individual being. Chapter Ⅲ deals with All’s Well That Ends Well, a play about the gender role in a patriarchal society. Helena’s aggressive and unconventional pursuit of Bertram, who is a young aristocrat, is a subversion of the general and conventional form of courtship and of male-female relationship. Shakespeare examines the gender role by appointing Helena to the role of enamoured aggressor and Bertram to the position of the object of desire. Helena controls the main action of the play, for she is a ‘female knight’, like the knights after the holy grail, in pursuit of her holy grail, Bertram. Without doubt, Helena is a very unconventional woman, who discusses virginity with Parolles and who has the professional medical knowledge, which was an exclusive man’s filed. In terms of class and gender role, she becomes the challenge itself to the established society. In chapter Ⅳ, Measure for Measure will be examined as the play which puts woman’s chastity on trial. The heroine is not ordinary in that she aspires to be a nun to whom chastity is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Shakespeare has deliberately changed his sources to make Isabella undergo three tests for her chastity: one by Angelo who is the symbol of the supreme power and force; another by Claudio who pleads with the cause of brother-sister bond; and the last by the Duke who offers her marrige, another form of abandonment of her chastity. Isabella refuses the three men’s offers and insists on her chastity. She is a rebel in that she has chosen her chastity over her brother’s life. Such choice by Isabella to secure her chastity can be interpreted as a challenge to the dualistic view of woman’s chastity ? that is, all women should treasure their chastity as their supreme value, yet at the same time should be willing to give away and sacrifice their chastity for the male’s good. In summary, Shakespeare’s Problem Plays, through their very unconventional heroines, try to invoke a sincere consideration of these women’s choices and action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problem of woman’s identity, gender role, and chastity. And to examine these problems, Shakespeare uses the testing procedure, that is, the testing of its heroine, as the main structural and formal frame. And Shakespeare has deliberately provided contradictory view on these heroines and their actions. Therefore, this discussion of the woman question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Shakespeare’s Problem Plays provide the reader or the audience with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ose essential problems raised in the play though ambivalent and ambiguous response from both the thematic and the formal aspects; that Shakespeare has endeavoured to transcend the conventional stereotyped view of woman by recognizing woman as an individual being. It is true that Shakespeare is a male dramatist who has written in a male-centered patriarchal society, and for this reason, has limits in his thinking and dramatization of woman, but this study on his Problem Plays has proven that a group of feminist critics’ evaluation of his as ‘Protofeminist’ is not very far from the tru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v Ⅰ. 서론 -------------------------------------------------------------- 1 Ⅱ. Troilus and Cressida: 여성 아이덴터티의 시험: “This is, and is not Cressida”----------- 28 Ⅲ. All’s Well that Ends Well: 여성의 성역할의 시험: “Will you be mine now?”-------------------- 76 Ⅳ. Measure for Measure: 여성의 순결의 시험: “More than our brother is our chastity”------122 Ⅴ. 결론 --------------------------------------------------------------172 참고문헌 --------------------------------------------------------------176 영문초록 --------------------------------------------------------------1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8752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셰익스피어의 문제극과 여성 문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여성의 시험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199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