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은-
dc.creator이승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8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7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7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721-
dc.description.abstractMorrison의 작품에 일관되게 흐르는 문제는 현대 흑인 커뮤니티가 어떻게 인종적 정체성과 문화적 유산을 보존하면서 온전하게 생존할 수 있을 것인가이다. 작가가 각 작품마다 미국 흑인의 역사에서 사회적, 문화적 형태가 파괴 또는 변형되었던 중요한 시기를 다루는 것도 이 문제를 다루기 위한 의도이다. 그런데 Morrison은 흑인 커뮤니티의 위기에 대한 진단과 그 극복의 길을 흑인 여성의 시각에서 탐색한다. Morrison의 작품에서는 인종주의와 성차별주의에 의해 복합적으로 억압당해온 흑인 여성의 현실이 흑인 여성 자신의 눈으로 다양하고 진실되게 묘사되면서 흑인여성이 억압된 목소리를 되찾고 자율적 인간으로 자신을 재정의 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탐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흑인 혀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성과 인종, 계급의 중층적 억압구조와 관련지을 때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Morrison의 작품을 흑인 여성의 자기 확립을 위한 모색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Morrison의 첫 작품인 The Bluest Eye는 백인사회와 그 가치를 내면화한 흑인 커뮤니티에 의해 흑인 소녀가 희생당하는 이야기를 통해 인종과 성, 계급면에서 철저하게 소외된 흑인 여성의 현실을 그려낸다. 그리고 백인중심적인 가치에 저항하면서 정체성을 보전할 수 있는 힘으로 흑인의 뿌리인 남부 흑인의 전통 문화와의 유대를 제시한다. Sula의 Beloved까지는 The Bluest Eye에서 묘사된 암울한 현실에서 흑인여성이 벗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Sula에서는 흑인사회의 가부장제에 전면적으로 저항하지만 자기발견에 대한 그녀의 욕구를 이해하지 못하는 폐쇄된 공동체 안에서 자아몰입에 빠져 모든 관계를 단절하는 흑인여성이 그려진다. 작가는 Sula를 통해 흑인여성을 타자로 취급하는 사회에서 자아의 소중한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주장하는 정신이 흑인여성의 변화된 미래를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개인의 자아와 자유만을 고집하는 방식은 자칫 개인주의로 빠질 위험을 내포하며 또 성차별과 인종차별이 얽혀있는 불평등한 사회를 변화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암시한다. Song of Solomon에서는 자기이해와 커뮤니티, 역사, 문화와의 유대를 조화롭게 성취한 전통적인 노년여성 Pilate와 이화 대조적으로 흑인의 역사나 문화와는 유대는 물론 자기의 목소리조차 상실한 중상류층 여성들이 그려진다. Morrison은 이 여성들의 차이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그리고 Pilate의 긍정적인 정신이 왜 여성 후대에게 전승되지 못하는 지의 문제를 흑인사회적 상승이동과 연결지어 고찰한다. 자아실현을 위한 구체적 도구를 갖지못한 Sula가 자아에 몰입할 수 밖에 없었던 것에 비해 Tar Baby의 여주인공 Jadine은 그 실질적 조건을 갖춘 현대여성이다. Jadine은 전통적인 흑인여성의 질곡에서 벗어나기 위해 개인의 자유와 자아의 확장, 사회적 지위를 추구하지만 서구 백인의 가치를 내재화한 결과 자기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흑인으로서의 뿌리는 상실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흑인여성의 자기확립과 인종적 문화적 정체성의 관계를 묻는다. 마지막으로 Beloved에서 작가는 흑인여성에게 가장 혹독한 시기였던 노예역사로 되돌아가서 묻혀진 역사를 발굴하여 한 여자노예의 자아회복 과정이 어떻게 공동체와의 유대안에서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고난을 극복해온 선조들의 삶에서 물려받아야 할 소중한 정신적 유산을 탐색한다. 이렇듯 여성인물들이 보여주는 자아인식의 다양한 면모를 고찰함으로써 이끌어진 결론은 Morrison이 백인사회나 남성에 의해 만들어진 여성다움의 기준을 거부하도 흑인여성의 주체적 시각에서 자기를 정의할 필요성을 주장하면서도 성차별적 모순을 안고 있는 흑인 커뮤니티와의 우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흑인을 타자로 간주하는 현사회에서 인종적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 여성의 자아추구는 뿌리뽑힌 삶을 가져온다는 작가의 인식 때문이다. 따라서 Morrison은 흑인 여성의 삶을 다루되 그 시야를 여성에게만 구지 않고 흑인여성과 함께 집단적으로 인종 억압을 경험한 흑인남성까지 포함하는 흑인 커뮤니티 전체로 확대시킨다. 그리고 작가는 현대 흑인 여성은 물론 흑인 커뮤니티가 온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힘의 원천을 흑인 민족의 저항과 생존의 역사를 담고 있는 전통문화와 그 전수자인 선조여성에게서 구한다. Morrison은 흑인여성의 역사를 바라보면서 흑인사회안팎에서 자행되는 성차별적 억압이 흑인여성에게 가한 상처를 폭로하면서도 흑인여성을 억압의 수동적 희생자로만 묘사하지 않고 억압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발전시켜온 가치를 중시한다. 다시 말해서 Morrison은 인종주의와 성차별 주의의 다중적 억압의 역사를 살아오면서도 인간적 위엄을 잃지 않고 흑인사회를 생존케한 전통적인 흑인 여성 커뮤니티에서 긍정적 힘을 발견한다. 작가가 현대 흑인사회의 위기를 여성을 통해 접근하는 것은 바로 흑인 역사를 이끌어온 힘이 여성에게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결국 Morrison은 흑인여성의 자아인식 문제를 통해 궁극적으로 현대 미국사회에서의 흑인민족의 올바른 삶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Morrison의 작업은 비단 흑인 커뮤니티뿐만 아니라 미국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설득력있는 시도이다. 왜냐하면 흑인여성이야 말로 미국사회의 인종과 성모순, 계급모순을 집약적으로 안고 있는, 미국 역사상 가장 소외되어온 집단이므로 흑인 커뮤니티는 물론 미국사회의 더 나은 삶을 위한 탐색은 이들로부터 시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The Consistent theme in Toni Morrison’s works is how Black people (the Afro-Americans) can preserve their racial identity and cultural heritage and survive wholly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reason that the writer deals with the important periods of social cultural destruction or transformation in Black American history is precisely for the said purpose. Morrison makes diagnosis on the Black community crisis and explores its possible countermeasures from the black woman’s view. In Morrison’s works, the problem of how Black women can regain their oppressed voice and come to redefine themselves as autonomous human beings is consistently explored through various and truthful presentations of Black women’s reality. Thus, on the premise that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Black women becomes possible only when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multi-layered oppressive structure of sex, race, and class, this dissertation aims to analyze Morrison’s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Black women’s search for self-realization. In the Bluest Eye, Morrison’s first work, the reality of black women completely alienated by race, sex, and class, is portrayed through the story of a Black girl sacrificed by the white-centered society and the Black community that has internalized the values of the society. Here, linkage to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Southern Blacks - that is, the Black root ? is presented as the power that can preserve the Black identity bye allowing resistance to the distorted values of the ruling society. From Sula to Beloved, the writer explores various alternatives for the Black women to escape from gloomy reality portrayed in The Bluest Eye. In Sula, Morrison portrays the Black woman who defied overall patriarchal system of the Black community. The writer tires to show through Sula that the spirit that recognized and asserts the precious value of self can become very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Black women’s future. At the same time she indicates that Sula’s self-centered pursuit for her individual freedom and self is not enough to change the unequal social structure. In Song of Solomon, the so-called traditional old woman, Pilate, who has achieved a harmonious balance between self-understanding and black community, history, and culture, and upper-middle class women who, in comparision, have lost only understanding of Black history and culture but also their own voice, are portrayed. And Morrison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women and the inability of the female descendants to inherit Pilate’s positive spirit from the point of Black’s mobilization of social class. Compared to Sula, who has had no choice but to immerse in self from lack of specific tool for self-realization, Jadine, the heroine of Tar Baby, is a modern woman with favorable conditions to realize her self. Jadine pursues individual freedom, seld-expansion, and social position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Black women’s fetters, but in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she loses her root as a Black through internalization of the values of the Western Whites. Through Jadine, the writer poses the ques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Black women’s self-identification and the racial or cultural identity. In Beloved, Morrison goes back to the history of slavery, the most severe period for Black women, to uncover its buried stories, and examines one slave woman’s process of self-recovery and its relation to the community. And the writer examines the spiritual heritage to be found from the ancestors’ life. The conclusion to be gathered from the examination of the Black women characters’ various modes of self-awareness and search for self is that despite the fact that Morrison asserts the need for the Black women to define their ‘self’ from an autonomous viewpoint, the writer still does nor let go of the tie to the Black community which has sexist ideology. This is because of the writer’s perception that in the present society, where Black are considered as the other, individual self-pursuit without establishment of racial or cultural identity brings nothing more that rootless existence. Therefore, although Morrison primarily deals with the life of Black women, she does not limit its perspective to women only, but rather expands it to whole Black community including the Black men who have experienced racial oppression together with the Black women. And Morrison seeks for the source of power for the modern Black women as well as the Black community to survive wholly in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contains the history of the Black community to survive ad especially in the inheritor of that culture, the foremother. This is related with the writer’s remarkable pride of Black women. Morrison, while exposing the pain inflicted upon the Black women by sexually discriminative oppression, emphasizes the values that Black women as mere passive victims of oppression. In other words, Morrison has found positive power in the community of traditional Black women which has made possible for the Black community to survive without losing their human dignity inspite of their living-history of multiple oppression from racism and sexism. It is precisely because women are the very source that has led Black history that the writer approaches the crisis in modern Black society through Black women. Ultimately, what Morrison has pursued through the problem of Black women’s self-recognition is the direction for the right way of life for the Black people in the contemporary America society. Morrison’s such attempt is most persuasive in revealing the contradiction of the American society and in trying to overcome such a contradiction, for Black women are the most alienated group in the America history that has most intensively suffered from the oppressive structure of the American society, and the quest for a better life for the American society and the Black people therein must begin from these wom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The Bluest Eye : 지배가치의 내면화와 소외의 현실 ------------------ 29 Ⅲ. Sula : 닫힌 공동체안의 자아추구 ----------------------------------- 56 Ⅳ. Song of Solomon: 전통적인 흑인 여성의 삶과 그 단절 ---------------- 81 Ⅴ. Tar Baby : 자아실현의 욕구와 뿌리의 상실 --------------------------107 Ⅵ. Beloved : 역사와 정신적 유산의 탐색 -------------------------------132 Ⅶ. 결론 --------------------------------------------------------------160 ABSTRACT --------------------------------------------------------------1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386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Toni Morrison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흑인 공동체와 여성의 자아인식-
dc.format.pagevii, 18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