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7 Download: 0

요골 골두 및 경부 골절에서 다중 검출 전산화 단층 촬영 (MDCT)의 진단적 가치 및 영상의 질 평가에 대한 연구

Title
요골 골두 및 경부 골절에서 다중 검출 전산화 단층 촬영 (MDCT)의 진단적 가치 및 영상의 질 평가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Diagnostic Value and Image Quality of MDCT in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
Authors
조현혜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지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agnostic value of plain radiography and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in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 And we want to analyze fractors affecting image quality and to suggest technical requirements of MDCT scanning for good image quality of MDCT. From January 2008 to June 2011, total 65 patients, who entered our ER, with radial head or neck fractures and underwent both plain radiographand MDCT scanning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And the patients who were not treated at our center and loss of follow up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We compared detection rate of fractures between plain radiograph and MDCT. And we compared the fracture types between those two imaging tools and final diagnosis. Final diagnosis was definedas radial head or neck fracture which was diagnosed by orthopedics,based on imaging findings from plain radiography and MDCT, and followup studies, and operative findings. To analyze the image quality of MDCT, we divided patients into two groups, good image quality group (Group A) and poor image quality group (Group B). And we recorded the factorswhich were thought to affect the image quality of MDCT, such aspatient’s arm positioning, flexion angle of elbow joint, cast applicationand bone marrow density, which was measured as CT Hounsfield unit by using ROI index at proximal radius portion avoiding fracture site. Detection rate of radius fracture was about 87.8% by plain radiography and 95.9% by MDCT scan. Eight cases were only detected by MDCT, in contrast, 3 cases were only detected by plain radiography. Fracture types were matched in 38 cases between radiograph and MDCT, and mismatched in 28 cases. Comparing of fracture types, there notedmatched 56 cases (84.8%) between MDCT and final diagnosis, and matched 48 cases (72.7%) between plain radiography and final diagnosis. Those, diagnostic accuracy of fracture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between MDCT scan and final diagnosis than that of plain radiograph (p <0.0001). Comparing two 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good (Group A) or poor image quality (Group B), there were more patients with raised their arms up at Group A, and more patients with lower their arms were noted at Group B. The mean flexion angle of elbow joint of Group A was noted significantly lesser than that of Group B, and mean bone marrow density of Group A was also noted higher than that of Group B (p value <0.05). Immobilization of elbow joint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 A and B (p >0.05). The detection rate of radial head and neck fracture was slightly higher at MDCT than radiograph. For better image quality and accurate diagnosis, MDCT scan with raising arm position and full extension of elbow joint (as possible as patient can) is recommended. ;이 연구의 목적은 요골 골두 및 경부 골절에서 단순촬영과 다중 검출 전산화 단층 촬영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이하 MDCT로 약함.)의 진단적 가치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MDCT 영상의 질을 평가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촬영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본원 응급실을 내원하여 주관절 단순촬영과 MDCT을 모두 시행한 65명 환자의 요골 골두 및 경부 골절 6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를 받지 않고 경과추적이 되지 않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단순촬영과 MDCT 영상에서 골절의 유무와 골절형 (type of fracture)을 분류하여 진단하였으며 이를 최종 임상 진단과 비교하여 골절에 대한 진단율을 평가하였다. MDCT에서 영상의 질에 대한 평가를 위해 대상 연구군을 영상의 질이 좋은 군 (A군)과 나쁜 군 (B군)으로 분류하여 영상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기 위해 촬영 시 환자의 팔의 위치, 주관절의 굴곡 각도, 주관절 고정 유무, 근위부 요골 CT 감쇄 계수를 이용한 골밀도를 두 군에서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요골 골절의 진단율은 단순촬영에서 58예 (87.8%), MDCT에서 63예 (95.5%)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05). MDCT에서만 골절이 진단된 경우는 8예였고, 단순촬영에서만 골절이 진단된 경우는 3예였다. 요골 골절형의 분류는 단순촬영과 MDCT 간에 38예 (57.6%)에서 일치하였으며 28예 (42.4%)에서는 일치하지 않았다. 최종 임상 진단과 비교하여 골절형의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진 경우는 MDCT가 56예 (84.8%), 단순촬영이 48예 (72.7%)로 MDCT에서 최종 진단과의 일치율이 단순촬영에서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0.0001). 66예의 요골 골절 중 27예가 A군, 39예가 B군으로 분류되었다. 영상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촬영 시 손을 올리고 찍은 경우가 A군에서 B군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며, 평균 주관절 굴곡 각도는 A군에서 B군보다 유의하게 작게 나타났으며, 요골 근위부의 평균 골밀도는 A군에서 B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0.05). 주관절 고정 유무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05). 결론적으로 요골 골두 및 경부 골절의 발견율은 MDCT와 단순촬영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골절형의 진단율은 MDCT가 단순촬영에 비해 높았다. MDCT에서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 촬영 시 환자의 팔을 올리고, 정복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주관절 굴곡각도를 가능한 한 작게 하여 신전상태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