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경옥-
dc.contributor.author최슬기-
dc.creator최슬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7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내 고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과 사회적 지지를 파악하고, 우울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여 정신건강증진 및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의 추출한 인천지역에 소재하는 4개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604명(남학생 320명, 여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인관계성향, 사회적 지지, 우울정도의 총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정도에서는 학업성적(F=3.03, p=.03), 아버지 직업(F=2.67, p=.05), 사회 경제적 수준(F=7.44, p=.001), 부모와의 동거여부(F=3.61, p=.03), 건강수준(F=37.32, p=.000)이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인관계성향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우울은 대인관계성향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139, p=.001). 대인관계성향의 영역을 살펴보면 사회관계성향(r=-.236, p=.000), 표현성향(r=-.100, p=.013)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각 하위 영역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우울은 ‘사교성-우호성 성향’과 가장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71, p=.000). ‘지배성-우월성 성향’을 제외한 다른 성향에서도 r=.101∼.239(양쪽)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우울은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r=-.497, p=.000). 각 하위영역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의 지지(r=-.497, p=.000), 친구의 지지(r=-.431, p=.000), 교사의 지지(r=-.271, p=.000), 지역사회의 지지(r=-.263, p=.000) 모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체 영역(일반적 특성, 대인관계성향, 사회적 지지)에 대한 우울정도의 설명력은 32.5%였으며, 본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6.150, p=.000). 영역별로 살펴보면 일반적 특성에 대한 우울정도의 설명력은 11.9%, 대인관계성향에 대한 우울정도의 설명력은 10.5%, 사회적 지지에 대한 우울정도의 설명력은 11.7%로 나타났다. 세 영역 모두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대인관계성향보다는 사회적 지지에 대한 우울정도의 설명력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우울에 관련된 요인 특성으로는 일반적 특성에서 학업성적과 건강수준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즉, 학업성적이 낮을수록(β=-.076, p=.031), 건강수준이 낮을수록(β=-.182, p=.000)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성향에서는 ‘동정성-수용성, 반항성-불신성 성향’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즉, ‘동정성-수용성 성향’이 높을수록(β=.095, p=.026), ‘반항성-불신성 성향’이 높을수록(β=.164, p=.000)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부모의 지지, 친구의 지지, 지역사회의 지지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즉, 부모의 지지(β=-.225, p=.000), 친구의 지지(β=-.219, p=.000), 지역사회의 지지(β=-.096, p=.021)가 낮을수록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ocial support for the domestic high school students, clarify the causes for depression, and provide the founding data for improving the mental health and public heal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604 students in 4 college bound high schools in Incheon areas were selected with convenience sampling (320 males and 284 females). The research tool is compri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ocial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lev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epression level fro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s(F=3.03, p=.03), father’s career(F=2.67, p=.05), socioeconomic status(F=7.44, p=.001), cohabitation with parents(F=3.61, p=.03), and the health(F=37.32, p=.000)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relationships and the depression showed that depression has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personal interactions (r=0.139, p=.001). The areas of the personal interactions showed that the social relationship trends(r=-.236, p=.000) and expressive tendencies(r=-.100, p=.013) showed the inverse relationship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correlation of the subcategories in each area showed that depression has the highest inverse relationship with “extroversion-friendlines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r=-.271, p=.000). Other correlations, excluding “dominance– superiority tendencies,” showed about r=.101∼.239 of the relationship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3.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r=-.497, p=.000). The relationship for the subcategories showed parental support(r=.497, p=.000), friends’ support(r=-.431, p=.000), teachers’ support(r=-.271, p=.000), and regional support(r=-.263, p=.000)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4. The power for the depression was 32.5% in the overall areas (general characteristics, personal interactions, social support) and this regression model has a power of 11.9% for depress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10.5% for depression of personal interactions, and 11.7% for depression of social support. They were relatively similar, but the power for social support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personal interactions. 5.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depression showed that the academic grades and the health were the factors that affected depression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as the grades are lower(β=-.076, p=.031), the depression rate was higher. In the personal interactions, the “empathy–accepting, resistance–distrust tendencies” affected depression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empathy–accepting tendencies” become higher(β=.095, p=.026), and “resistance–distrust tendencies” become higher(β=.164, p=.000), depression rate also becomes higher. In social support, parental support, friends’ support, and regional support significantly affected depression. In other words, as the parental support(β=-.225, p=.000), friends’ support(β=-.219, p=.000), and the regional support(β=-.096, p=.021) become lower, the depression becomes wor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1. 고등학생 5 2. 대인관계성향 5 3. 사회적 지지 5 4. 우울 6 D.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8 A. 대인관계성향 8 1. 대인관계의 개념 8 2. 대인관계성향 구성 요소 10 3.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연구동향 14 B. 사회적 지지 15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15 2.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동향 16 C. 우울 17 1. 청소년 우울의 현황 17 2. 우울의 개념 18 3. 청소년 우울의 특징 20 4. 청소년 우울에 관한 연구동향 21 Ⅲ. 연구 방법 24 A. 연구 설계 24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5 1. 연구대상자 25 2. 자료수집 방법 25 C. 연구도구 및 내용 26 1. 일반적 특성 27 2. 대인관계성향 28 3. 사회적 지지 30 4. 우울 32 D.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33 Ⅳ. 연구 결과 34 A. 연구 대상자의 특성 34 1. 일반적 특성 34 2. 대인관계성향 36 3. 사회적 지지 37 4. 우울 37 B.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정도 38 C. 대인관계성향과 우울 간의 관계 40 D.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의 관계 41 E. 우울과 관련된 요인 특성 42 논의 45 결론 및 제언 51 참고문헌 54 부록(설문지) 65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200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부 고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의 관련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rrelation among the Social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Select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Choi, Seul Ki-
dc.format.page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보건관리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