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조직문화, 조직학습, 감성역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Title
조직문화, 조직학습, 감성역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emotional competency
Authors
장은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지연
Abstract
현대사회는 지식기반사회, 즉 지식과 정보의 생산과 활용이 근간이 되는 사회로서 인적자원개발은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여성인력의 활용은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높아진 여성의 교육수준 및 경제발달로 인하여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도 활발해지고 있다. 여성인적자원을 통하여 경제적 이득을 얻는다는 인식보다는 여성들의 다양한 역할과 상황을 여성 스스로 이해하고 준비하여 만족스러운 사회구성원이 될 수 있도록 독려하는 것이 우선적이라 할 수 있다. 미래의 조직에서는 여성노동력이 수적으로 급증할 것이며 중대한 역할을 할 것임은 확실하다. 그러한 환경에 대비하여 여성인력의 성공적인 조직적응을 위한 대책을 세우는 일은 매우 시급하고 중대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인력의 조직학습과 관련이 있는 요소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선행연구의 고찰에 의하여 여성인력의 조직학습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 조직문화유형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감성역량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를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인력이 인지하는 조직문화유형이 조직학습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해 보고 감성역량이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조직문화유형은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시장지향문화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고 조직학습은 지식창출, 지식공유, 지식저장, 지식활용의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인력이 인지하는 조직문화유형이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둘째, 여성인력이 인지하는 조직문화유형이 조직학습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 감성역량이 조절효과를 지니는지 살펴본다.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인터넷설문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양한 특성의 응답자를 모집하기 위하여 설문대상자의 성별을 제외한 인구통계학적 사항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수거된 응답지 중 298부를SPSS 18.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인력이 인지하는 조직문화의 유형에 따라 조직학습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시장지향문화는 조직학습의 과정 중 지식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관계지향문화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지향문화는 조직학습의 과정 중 지식공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는 조직학습의 과정 중 지식저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위계지향문화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지향문화 및 시장지향문화는 조직학습의 과정 중 지식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시장지향문화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인력이 인지하는 조직문화유형이 조직학습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감성역량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시장지향문화의 정도가 높아져 지식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조절효과가 있었다. 위계지향문화의 정도가 높아져 지식공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시장지향문화의 정도가 높아져 지식공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도 조절효과가 있었다. 조직문화유형이 지식저장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장지향문화의 정도가 높아져 지식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여성인력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조직학습에 관한 연구들과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여성인력의 조직학습이 감성적인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은 여성인력의 조직학습에 있어 적절한 문화를 조성함과 더불어 그에 따른 조직구성원의 자신과 타인의 감성에 대한 인지 및 관리능력을 시기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는 교육을 실시하여 더욱 효과적인 여성인력의 조직학습을 통한 업무성과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각 조직들의 여성인력을 위한 조직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조직학습의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직의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조직구성원들이 부족한 점은 파악하고 개선하여 효과적인 학습과정을 통한 여성인력의 조직적응이 이루어지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제시한다. ;Modern society is knowledge-based society whose basis is production and practical u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refor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from nation-wide viewpoint. In particular it is getting gradually higher attention how to make use of female work force. Due to women’s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better economic position than ever before, their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is getting more and more active. It should be first considered how to encourage women to become satisfactory members of society through better understanding of situation and effective preparation for various roles, rather than just how to get maximum economic profits from women workers. In future organizations, it is certain that labor force of women is going to increase rapidly in number and they may be able to play a primary role. Preparing for that, setting up measures for women workers’ successful adaption to organization is important and urg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s which have relation with the organizational learning of female work force. In this research,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emotional competency as mediator variable. All the variables above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relationships with women workers’ organizational learning, based on the precedent literature review and judgment of the auth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women work force’s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also to analyz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competency on that relatio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consist of sub-factors such as hierarchy culture, market culture, clan culture, and adhocracy culture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onsists of sub-factors such as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sharing, knowledge storage, and knowledge utilization in research model. The research questions are aimed as follows.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men workers’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organizational learning. Seco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competency on the relation above. The data for the research was collected via Internet survey, and no demographic-statistical limitations except for sex distinction were applied in order to collect participants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Out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298 were used in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18.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rganizational learning shows different statistical significances by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Clan culture, adhocracy culture and market culture had positive effects on knowledge creation out of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and among them; clan cultur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knowledge creation. Clan culture had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out of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Clan culture, adhocracy culture and hierarchy culture had positive effects on knowledge storage out of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and among them; hierarchy cultur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knowledge storage. Clan culture and market culture had positive effects on knowledge utilization out of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and between them; market culture had greater influence on knowledge utilization. In the investig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 for control effects of emotional competency, emotional competency had control effect on the positive effect of market culture on knowledge creation. Emotional competency had control effects on the negative effect of hierarchy culture on knowledge sharing, and the negative effect of market culture on knowledge sharing. Emotional competency did not have control effect 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knowledge storage. Emotional competency had control effect on the positive effect of market culture on knowledge util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 to compare and analyze with other existing studies about organizational learning as the object of the study is female office workers. Second, organizations could promote outcome of workforce through more effective organizational learning, if they apply appropriate culture to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and operate the education that improves workers’ ability to properly recognize and control emotion of both their own and other colleagu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women workers’ organizational learning has connection with an emotional factor.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in-depth analyses about the organizational culture for women workers should be conducted and organization members should understand and improve problems to form organizational culture that positively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Through those constant efforts, effective learning process will contribute to women workers’ adaption to organ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