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생각틀(Thinking Maps)을 활용한 읽기 쓰기 통합 교수학습 방안 연구

Title
생각틀(Thinking Maps)을 활용한 읽기 쓰기 통합 교수학습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Utilizing Thinking Maps
Authors
정세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We tried to educate children for reading and writing on an integrated basis as those are in common and have a correlation with each other; nevertheless, it is the reality that such integrated work dosen't go through well in practice at school. Also, it is easily found that senior elementary students are troubling with reading and writing of the expository text despite being the most often exposed to such text. In this regards, a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utilizing Thinking Maps in line with the expository text and, to figure out how the application of such teaching method takes effect on improvement in reading and writing capabilities of learners. This research considered as a strategy for an integrated 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of the expository text, the Thinking Maps that elementary students can easily adopt. This research identifie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tructure of the expository text and provided a teaching method of learning integrated for reading and writing, utilizing the Thinking Maps for the structure of the expository tex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such teaching method of learning,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following issues; first, whether or not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within the Thinking Maps in line with the expository text results in a meaningful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of students; secondly, whether or not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by utilizing the Thinking Maps in line with the expository texts results in a meaningful improvement in writing ability of studen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case tested group of one class in the 5th grade at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fter the preliminary test on abilities of reading and writing, an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of the expository text implemented in 13 series. The reading ability was evaluated by abilities of understanding and retrospection while the writing ability being by contents, organization, and expression factors. Based on the preliminary test, the tested students were divided into groups of High, Mid, and Low in order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by utilizing the Thinking Maps.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reading and writing by utilizing the Thinking Maps was designed based on an integrat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reading and writing by utilizing Thinking Maps being applied with an explicit instruction method to the teaching-learning of Thinking Maps based on a process-focusing instruction for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phases of before, in the middle of, and after each of reading and writing, the following phases were provided; preliminary reading; figuring out of the structure of the text; organizing with Thinking Maps; preliminary writing; writing with Thinking Maps; and corrections. In each phase, students could return back to a previous phase through any discuss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and/or amongst the students. It was instructed to familiarize the students with types of thinking of Thinking Maps first, then to execute the teaching-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of the expository text according to a phased 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It was also instructed for the students to easily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expository text by applying the 8 types of thinking of Thinking Maps for each structure of the expository text; technical structure; timing-order structure; cause-and-effect structure; comparison-and-contrast structure; and, problem and resolution structure. The test on the primary and post reading ability included the questionnaire to assess the understanding and retrospection. The test on the writing ability was executed in way of grading per sub factors for evaluation on contents, organization, and expression, by three markers. The result of the preliminary and post tests was analyzed by t-test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The research result in the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is as below: First,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by using the Thinking Maps, resulted in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understanding ability out of the reading abilities. Out of the understanding ability, there were meaningful improvements all in factual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inferring and imaginative thinking. Nonetheless,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by using the Thinking Maps, had more effects to learners in the Mid and Low level groups than those in the High level group. Second,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by using the Thinking Maps, resulted in a meaningful improvement in retrospection ability out of the reading abilities.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trospection ability as resulting in improvements in all High, Mid, and Low level groups. Third,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by using the Thinking Maps, resulted in improvement in the writing ability. While having such improvement in all of contents, organization, and expression areas, the improvement in the organization area was the most obvious. The improvement in the writing ability, however, did not present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High level group, but in the Mid and Low level groups after the learning process, which showed that such teaching-learning was more effective in the Mid and Low level groups. With all consideration, the integrated teaching-learning for reading and writing, by using the Thinking Maps in line with the expository text, resulted in the overall effects on the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but being more effective in such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in the Mid and Low level group.;학교 현장에서는 읽기와 쓰기의 공통점과 상호 관련성을 바탕으로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교육하고자 하나, 실질적으로는 읽기와 쓰기의 통합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학생들은 설명적 텍스트(Expository text)를 자주 접함에도 불구하고 설명적 텍스트의 읽기, 쓰기 활동을 어려워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생각틀(Thinking Maps)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 이러한 교수․학습의 적용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 신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명적 텍스트의 읽기․쓰기 통합 학습을 위한 전략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생각틀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설명적 텍스트 구조의 특징과 유형을 알아보고, 생각틀을 활용하여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이 학생의 읽기 능력 면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이는가? 둘째,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이 학생의 쓰기 능력 면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이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을 사례 연구 집단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관한 사전 검사 실시 후, 총 13차시의 설명적 텍스트의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이 이루어졌다. 읽기 능력은 이해능력과 회상능력으로, 쓰기 능력은 내용, 조직, 표현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사전 검사에 따라 연구대상 학습자를 상, 중, 하 집단의 학습자로 나누어 각 집단의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의 효과는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은 과정 중심 읽기 및 쓰기 지도를 바탕으로 생각틀의 교수․학습에 현시적 교수법을 적용한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읽기 전, 중, 후, 쓰기 전, 중, 후의 각 단계에 따라 사전 읽기, 글의 구조 알아보기, 생각틀로 정리하기, 사전 쓰기, 생각틀로 글쓰기, 고쳐 쓰기의 단계를 제시하였다. 각 단계에는 교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의 토의와 토론을 통해 이전 단계로 회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은 생각틀의 사고 유형을 학습자가 먼저 익히는 단계를 거치고, 점차 단계적인 읽기 쓰기 학습에 따라 설명적 텍스트의 읽기 쓰기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설명적 텍스트의 구조를 기술 구조, 시간 순서 구조, 원인 결과 구조, 비교 대조 구조, 문제 해결 구조로 보고, 각 구조에 생각틀의 사고 유형을 적용하여 설명적 텍스트의 구조를 학습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전․사후 읽기 능력 검사는 이해, 회상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쓰기 능력 검사는 내용, 조직, 표현에 관한 하위 평가 요소별로 채점을 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읽기 및 쓰기 능력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은 읽기 능력 중 이해 능력의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또한 사실적 사고, 비판적 사고, 추리 상상적 사고 모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그러나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은 상 집단의 학습자보다는 중, 하 집단의 학습자에게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은 읽기 능력 중 회상 능력의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왔다. 상, 중, 하 집단 모두 회상 능력의 상승을 보여 회상 능력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셋째,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은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내용과 조직, 표현 영역 모두에서의 향상이 있었으나, 그 중에서도 조직 영역의 향상도가 뚜렷하였다. 그러나 쓰기 능력의 향상은 상 집단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중, 하 집단에서 학습 활동 후 유의미한 향상을 보여 중, 하 집단의 적용에 보다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설명적 텍스트를 중심으로 생각틀을 활용한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은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의 향상에 의미 있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중, 하 집단의 읽기 및 쓰기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