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살풀이춤의 위상에 관한 일 고찰

Title
살풀이춤의 위상에 관한 일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tus of Salpuri Dance: Focusing on the Transition of Social Perspective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준식
Abstract
본 연구는 살풀이춤이 시대별로 형식과 의미를 달리하였음을 인식하고 20세기 초에서 21세기 초까지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살풀이춤이 언제, 누구에 의해, 어떠한 양상을 통해 형성되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는 첫째,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의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를 바탕으로, 살풀이춤의 사회적 인식 및 문헌 기록, 계보, 형식과 복식, 연행 공간과 관객을 살펴 1960년대 이전 살풀이춤의 양상을 알아보고, 둘째, 196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의 사회적 인식, 계보, 형식과 복식, 연행공간과 관객을 살펴보며, 셋째, 오늘날 통용되는 살풀이춤의 기원에 따른 정의와 계보, 반주음악과 복식, 연행공간과 관객층의 양상의 분석을 토대로 오늘날 살풀이춤의 형성에 관해 탐구하고 각 시대에 따른 살풀이춤의 위상을 연구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오늘날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살풀이춤이, 그 위상과 양상에 있어 1960년대 이전의 살풀이춤과 차이가 있음을 전제로 한다. 또한 현재의 살풀이춤은 196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한 1970년대와 1980년대 전통문화의 부상이라는 사회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밝혀, 살풀이춤이 사회 변동에 따라 변화를 수반하는 문화의 소산임을 증명한다. 오늘날 살풀이춤이 주로 흰 무복과 흰 수건을 사용하며, ‘한’의 정서가 내포된 제살성(制煞性)의 춤으로 연행되는 것이 보편적인 양상과 통념이라면, 20세기 초, 1960년대 이전의 살풀이춤은 주로 권번이나 요릿집에서 기생들에 의해 즉흥적으로 자신의 흥을 이입해 추는 유희적 측면이 강조된 춤이었다. 복식의 색이나 화려함에 제약이 없었으며, 수건의 사용 또한 지금과는 달리 수건 없이 추거나 짧은 수건을 사용해 추었다. 1960년대의 살풀이춤은 전통춤의 하나로 인식되었으며, 산조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1966년 한영숙의 발표회에서 소개된 비연무를 통해 살풀이춤이 사회적 관심을 얻게 된 것으로 보이며, 이 시기의 살풀이춤은 한국을 소개하는 민속무용의 하나로 해외 공연의 레퍼토리에 편성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한편 1970년대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인식과 존립에 관한 관심이 대학생 및 지식인 사이에서 널리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한국문화의 원류를 찾는 일련의 연구가 진행되었고, ‘굿’이 그 연구의 결과로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이 과정중 남도 씻김굿에서 파생된 춤이 살풀이춤으로 소개되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살풀이춤이 한국전통문화의 원형을 내재한 춤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 속에서 김숙자와 이매방의 살풀이춤이 중앙무대에 소개되면서 대중에게 인지도를 확보해 나갔다. 굿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실제적 연행을 통해 유래를 설명한 살풀이춤이 한을 표현하고 풀어내는 제살성의 춤으로 대중에게 인식되고 이에 따라 공연의 내용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은 1980년대에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이후 살풀이춤은 88올림픽의 폐막식 공연을 통해 세계에 소개되었고, 1991년에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게 된다. 살풀이춤의 역사에 관한 선행연구의 부재와 해방 후부터 1960년대 이전까지의 살풀이춤에 관한 문헌자료, 복식과 연희자에 관한 연구의 한계 그리고 지면을 통해 무용사 전반의 흐름을 미처 다 수록할 수 없었던 한계가 있었다. 그럼에도 이상의 연구를 통해 살풀이춤이 시대별로 의미와 양상을 달리하였음을 인식하고, 오늘날 살풀이춤의 형성 배경을 고찰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이 과거를 통해 오늘의 살풀이춤을 살펴봄으로서, 살풀이춤의 미래를 계획하고 발전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On the premise that the form and meaning of Salpuri dance changed along the times,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of change from early 20th century thru early 21st century and examined when, by whom, and through what aspects of change, the transmitted Salpuri dance practiced today was formed. The study, in terms of its methods and scope,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based on the report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by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unde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the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Salpuri dance prior to the 1960s looking into the social perception, literatures, genealogy, form and costume, performance space and audience during that period. Second, based on the report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Salpuri dance from the 1960s thru the 1990s and compared them to those prior to the sixties. Third, based on the analysis of difference aspects including the definition, genealogy, rhythm, costumes, performance space and audience according to the origin of Salpuri dance that is practiced today, the study explored the formation of today’s Salpuri dance and discussed the status of Salpuri dance in each period.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Salpuri dance practiced today is different in its aspects and status to Salpuri dance prior to the 1960s. In addition,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alpuri dance is a cultural product that accompanies transition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by verifying how the meaning and status of current Salpuri dance were formed by a social factor which is the rise of traditional culture during the 1970s and 1980s founded on the interest in traditional culture that began in the 1960s. While the common attributes of as well as the generally accepted idea of today’s Salpuri is a dance of preventing disaster by exorcising evil spirits and embodying the sentiment of ‘han’(i.e.Korean concept sorrow and regret) through the use of white shamanist costume and whites scarf, the Salpuri prior to the 1960s was a dance highlighted by its aspect of amusement as it was performed, usually at a kwonbeon(a gisaeng call-office) or a restaurant, by gisaengs(Korean geisha) who introduced their excitement to the dancing in impromptu style. In this earlier form of Salpuri, there was no limitation on the color or splendor of the dance costume as well as on the scarves, for some gisaeng did not use any scarf or used a short one in they did. Salpuri dance, in the 1960s,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traditional dances and was also understood in the same concept as sanjo(a type of folk music for instrumental solo performances). It seems that public interest for the dance form took off with HanYoungSook’s performance of ‘biyoenmu’ recital in 1966. Yet, one aspect of Salpuri dance during this period is that it found a place in the repertoire of performance presented abroad as a folk dance introducing Korea. On the other hand, in the 1970s, as interest and awareness for the existence of and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became widespread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intellectuals, a train of studies searching for the sources of Korean culture proceeded and,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gut’(exorcism) received recognition for its value in dance history. Importantly, Salpuri was introduced as derivative of Southern‘s sitgimgut’(exorcism for sending the spirit of the dead to the next world). Hence, Salpuri dance was recognized for its value as an archetyp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Wthin this line of progression, Salpuri dances by KimSukJa and YiMaeBang were introduced at central venues securing more and more public awareness. In addition, the 1980s is characterized by a rapid change in the performance aspect and social perception of Salpuri dance, as the form, illustrating the origin of gut through actual performance in the process of restoring gut, was interpreted as a dance that expresses and releases han in the manner of preventing disaster by exorcising evil spirits. Since then, the status of salpuri dance was further established, both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through its worldwide introduction in the grand finale performance at the ’88 Seoul Olympics and its official designation as an intangible cultural as set of Korea in 1991. The study is limited in covering the costumes, the performers, and the overall trend of the history of (Salpuri) dance due to the lack of preceding studies on the history of Salpuri dance and limited literatures related to Salpuri dance prior to the 1960s. Never the les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at the meaning and aspects of Salpuri dance changed along the times and provided evidenced accounts about the background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oday’s Salpuri dance. The study, reflecting on the present form of Salpuri dance through careful reading of its past, is presented in the hopes of contributing to future plans in search of positive ways to inherit and develop Salpuri d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