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1 Download: 0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Title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program evaluation measurement of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s
Authors
조미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미영
Abstract
인구의 노령화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간호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으며, 간호사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인 보수교육을 통해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본 연구는 간호사 보수교육의 질 향상 및 효율적인 보수교육의 운영을 목적으로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예비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은 Donabedian(1980)의 구조-과정-결과 평가모델을 기본적 틀로 하고 Hawkins와 Sherwood(1999)의 피라밋 모델의 5가지 주요 개념을 평가단계로 하여 구성하였다. 평가도구 초안은 문헌고찰과 예비 평가도구에 대한 전문가 자문을 거친 후,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개별 인터뷰를 통해 개발하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간호사를 경력별로 3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시행하였고, 개별 인터뷰는 기관의 보수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후, 도출된 유의미한 내용을 평가도구 초안에 포함시켰다. 44개의 평가도구 초안에 대해 전문가 6인에게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46개 평가항목이 개발되었다. 간호사와 보수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한 결과, 5개 평가영역, 44개 평가항목의 평가도구(안)을 개발하였다. 평가도구(안)에 대해 간호사 452명과 보수교육 담당자 59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시행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성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6개 요인과 36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최종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6개 요인은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집단 정의,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수행, 프로그램 운영관리, 프로그램 성과, 프로그램의 효율성이었으며, 6개 요인의 누적 설명분산이 67.31%로 나타나 본 도구가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를 잘 설명하였다고 볼 수 있다. 최종 평가도구의 신뢰도 검증 결과, 하부 요인별 Cronbach's 는 .84에서 .92 였으며, 전체 평가도구의 Cronbach's 는 .97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검증, 평가하기 위해 간호사와 보수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평가요인별 중요도 인식의 차이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평가요인별 중요도 인식은 간호사에 비해 보수교육 담당자가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집단 정의(t=-6.817, p=0.000), 프로그램 기획(t=-3.857, p=0.000), 프로그램 수행(t=-6.759, p=0.000), 프로그램 운영관리(t=-7.891, p=0.000)와 프로그램의 효율성 (t=-4.871, p=0.000)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요도 인식의 차이는 직급과 교대근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직급에 따른 중요도 인식은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집단 정의(F=3.575, p=.029) 요인에서, 교대근무에 따른 중요도 인식은 프로그램 운영관리(t=-2.024, p=.044)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보수교육 담당자의 경우, 연령에 따른 중요도 인식이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집단 정의(F=3.183, p=.049) 및 프로그램 수행(t=3.718, p=.030) 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모두 검증되었으므로 간호사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질 향상과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e role of nurses has been expanded in recent years due to aging popu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across the country. Nurses are required to continuously take continuing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ir abilities to carry out nursing duties and meet the demands of society.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research that aims to develop the program evaluation measurement of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s and investigate its validity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management of continuing education, and quality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is study, the preliminary evaluation measurement of nurs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dopted Donabedian''s(1980) structure-process-result evaluation model as a basic framework, and Hawkins and Sherwood''s(1999) five key concepts of the pyramid model as stages of evaluation. The draft of the evaluation measurement was developed including contents drawn from after consultation of professionals,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in the group of nurses, and individual interviews done with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planners. 44 drafts of the evaluation measurement were reviewed by 6 professionals regarding content validity. Then the total of 46 items was derived from the opinions of professionals. A pilot-survey was implemented to nurses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planners in order to confirm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survey, time being taken, and items. Consequently, the draft of the program evaluation measurement of continuing education for nurses composed of 5 evaluation factors and 44 evaluation items was generated. After the draft of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measurement for nurses was administered to 452 nurses and 59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planners, construct validity was calcula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final continuing education evaluation measurement for nurses was developed consisting of 6 evaluation factors and 36 evaluation items. 6 evaluation factors include: 1) setting program goals and target audience, 2) program planning, 3) program performance, 4) operating and managing program, 5) program outcomes, and 6) effectiveness of program. The cumulative explanatory variance of six factors came out to be 67.31%, indicating that this measurement showed a good explanation of the program evaluation for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As a result of testing reliability of the final evaluation measurement, Cronbach''s α of sub-categories ranged from .84 to .92, and Cronbach''s α of the evaluation measurement as a whole was .97. In order to verify and evaluate the program evaluation measurement developed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factor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from a survey targeting nurses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planners. In terms of importance of evaluation factors,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planners had higher scores in setting program goals and target audience, program planning, program performance, operating and managing program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than nurses. In terms of importance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position and shift work were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whereas only a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planners. The program evaluation measurement of the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to get utilized as the evaluation measurement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programs since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has been prov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