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영-
dc.contributor.author임은주-
dc.creator임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1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103-
dc.description.abstract신임교수는 대학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교수로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야 할 중요한 시기이다. 특히 여교수가 주류를 이루는 간호학전공 신임교수의 교수생활 경험을 통해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간호교육의 경쟁력을 제고 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학 신임교수의 교수생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이들의 삶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Max van Manen(1990)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3․4년제 간호대학에 전임으로 재직하면서 5년 미만의 경력이 있는 신임 여교수 총 11명을 목적적 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였으며 면대면 면담과 전화 면담을 이용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간호학 신임교수의 교수생활 경험의 본질적 주제는 ‘희망과 기쁨을 향유하며 출발함’, ‘강의와 실습에 부단한 열정을 쏟음’, ‘긴장된 업적평가 문화 속에서 고군분투함’, ‘지지적인 관계망으로 힘을 얻음’, ‘교수로서의 정체성에 혼돈을 겪음’, ‘일-가정 양립을 감당하며 타협점을 모색함’, ‘자의식을 가지고 현실을 재조명함’으로 총 7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는 전임교수라는 새로운 기회가 주어지면서 타자로부터 인정받고 교수라는 자화상에 대해 자부심을 가진 채 희망과 기쁨을 향유하며 출발하였다. 강의와 실습에 부단한 열정을 쏟으며 교육자로서 헌신과 정진을 다하면서도 연구로 인한 압박감과 과다한 행정업무 등 업적평가 문화 속에서 고군분투하지 않으면 신임교수로서 견디어낼 수 없었다. 참여자들은 임용동기 교수를 동병상련의 처지로 인식하고 선임교수의 조언과 격려에 의지하면서 지지적인 관계망을 통해 힘을 얻었다. 그러나 비전공 간호학 강의 준비에 한계를 느끼고 교수 본연의 역할 이외의 업무를 수용하기 어려웠으며, 무조건 순응해야 하는 대학 분위기에 압도당하면서 간호학의 정체성에 혼돈을 겪었다. 특히 기혼인 신임 여교수는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지지체계 방법을 총동원하였고 가족들의 희생에 미안함을 가지고 살아가면서도 가족의 도움과 지지가 버팀목이 되었기에 오늘의 이 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참여자는 자의식을 가지고 현실을 재조명하면서 대학에 적응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갈등을 유연하게 대처해 나가는 등 신임교수의 꼬리표를 조금씩 벗어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간호학 신임교수가 경험한 교수생활은 자신이 처한 현실이 힘들고 고달프지만 강의와 실습지도의 교수(敎授)활동에 애착을 가지면서 잠재된 역량을 발휘하며 내적 가치를 높여 나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임교수가 대학 사회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인적 네트워크 형성 및 멘토링 프로그램 등이 이들의 생활 세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지지를 바탕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지지체계 마련의 기초 토대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Newly appointed professors should build their identity as professors to successfully establish and reinforce their status. Especially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where most of professors are women, it is needed to create an effective plan to support newly appointed professors based on their academic work and life experience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nurs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of newly appointed professors of nursing by profoundly exploring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academic work and life experience. To this end, the study employed Max van Manen’s analytical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1990).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1 newly appointed female full-time professo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who had been purposely sampled from three or four-year nursing college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0 to December 2011 through the face-to-face interview and phone interview. Under the participants’ agreement,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Through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essential themes were produced based on the segmentation method. The analysis of the data generated a total of seven essential themes regarding the work experiences of newly appointed professors of nursing: ‘Starting feeling hope and delight’, ‘putting sustained energy into lecturing and training’, ‘struggling in the tense atmosphere where assessments are often conducted’, ‘gaining courage in an associated relationship network’, ‘experiencing confusion of the identity as a professor’, ‘seeking compromise, handling their work and housework’, and ‘shedding new light on reality with self-awareness’. The participants who had newly been employed as full-time professors received respect from others and embarked on their teaching job with pride in their statures, hope and delight. In order to maintain their positions, they, as newly employed professors, should devote themselves to teaching, putting their sustained energy into lecturing and training. Furthermore, they struggled to handle properly the pressure of research, excessive administrative tasks and to adapt to the atmosphere putting emphasis on the assessment of achievements. They sympathized with other professors who were employed at the same time with them, were cheered by senior professors’ advice and encouragement, and gained courage in an associated relationship network with others. They, however, felt their limits in preparing a nursing lecture, other areas of nursing than the area they majored in, had difficulty accepting proper roles required for the position of professor, overwhelmed by the university atmosphere that required them to unconditionally follow university rules, and experienced confusion of the identity of nursing. Especially newly appointed married female professors used all of the supporting method they could gain to balance their job and housework and felt sorry about the sacrifice of their families whose support and help gave them the strength. Above all, the participants tried to adjust to university life, shedding new light on reality with self-awareness, and smoothly handled the conflicts they were suffering. Through that, they began to drop the tag “newly appointed professors”. In spite of the hardships and the wearing work they faced in reality, newly appointed professors of nursing enhanced their inner values by developing affection towards their job of teaching and training, realizing their potentials and getting recognition for that.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offered the foundation for the creation of human resources networks and mentoring programs that help newly appointed professors to effectively adjust to university society on the basis of the sympathetic understanding of and support for their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연구 문제 4 II.문헌 고찰 5 A.교수 임용 5 B.신임교수의 교수생활 11 Ⅲ.연구 방법 및 절차 16 A.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16 B.체험의 본질로 돌아가기 19 1.현상에 대한 지향 19 2.현상학적 질문 형성 20 3.가정과 선 이해 설명 20 C.실존적 탐구하기 21 1.교수생활에 대한 연구자의 경험 21 2.관용어구 추적 24 3.문학과 예술에서의 경험적 묘사 27 1)문학 부문 27 2)예술 부문 48 4.연구 참여자의 경험적 진술 56 1)연구 참여자의 선정 56 2)자료 수집 방법 57 3)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59 5.해석학적 현상학적 분석 과정 60 7.연구의 질 확보 61 IV.연구 결과 및 분석 64 A.간호학 신임교수의 교수생활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인 반성 64 B.해석학적 현상학적인 글쓰기 98 Ⅴ.논의 102 A.간호학 신임교수의 교수생활 경험에 관한 논의 102 B.간호학적 의의 108 Ⅵ.결론 및 제언 110 A.결론 110 B.제언 112 참고문헌 114 부록 126 Abstract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57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간호학 신임교수의 교수생활 경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cademic Work and Life Experience of Newly Appointed Professors of Nursing Science-
dc.creator.othernameLim, Eun Ju-
dc.format.pageix, 13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