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한국 다낭난소증후군 환자의 우울증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식습관과의 관련성

Title
한국 다낭난소증후군 환자의 우울증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식습관과의 관련성
Other Titles
Dietary intake and dietary habits by depression in Korea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uthors
김승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수
Abstract
본 연구는 다낭난소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 이하 PCOS) 환자의 우울증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과 식습관 차이를 조사하고, 우울증과 관련된 식품 및 식이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는 16-39세의 가임기 여성 중 35일 이상 월경이 없는 경우이거나 혹은 1년에 10회 이하의 월경을 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서울 소재의 E 대학병원에서 진행되었고, 최종 분석 대상자는 475명이었다. 대상자들을 비연속적인2일간의 24시간 회상법과 식습관 조사를 통하여 영양 섭취 상태 및 식습관을 평가하였으며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한국어판을 이용하여 22점 이상인 대상자를 우울증군, 16점 미만인 대상자를 비우울증군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간의 일반 특성을 보면 연령, 키, 체중, BMI, 직업은 우울증군과 비우울증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일간의 24시간 회상을 통한 식품섭취 분석에서 우울증군이 비우울증군 보다 적게 섭취한 식품 및 영양소는 곡류/감자 및 전분류/당류, 우유 및 유제품, 식물성 단백질, 총 칼슘과 식물성 칼슘이었으며, 어패류의 섭취는 우울증군이 비우울증군 보다 많았다. 3대 영양소의 열량 구성비에서 탄수화물과 지질 구성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단백질 구성비는 우울증군이 비우울증군 보다 유의적으로 섭취 비율이 높았다. 아침식사 횟수, 간식 횟수, 식사량, 커피 섭취 횟수, 영양 보충제 섭취 여부, 최근 1년간 다이어트 실시 여부, 체중 감량 방법과 같은 식습관을 조사하였으나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다. 하지만, 비우울증군과 우울증군의 MDA(Mini dietary assessment) 총 점수의 평균은 각각 33.4?6.0점, 31.5?6.4점으로 우울증군이 비우울증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MDA 10가지 항목 중 우울증군과 비우울증 간에 유의적인 분포 차이를 보인 것은 ?김치 이외의 채소를 식사할 때마다 먹는다?, ?아이스크림, 케익, 스낵,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등)을 간식으로 매일 먹는다?와 같은 항목이었다. 각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과 우울증 발생 위험을 알아보기 위해 섭취량을 기준으로 하여 3군으로 나눈 후, 하위 섭취군을 표준비 1.000으로 두고 중위와 상위 섭취군의 교차비(Odds ratio)를 산출한 결과, 곡류/감자 및 전분류/당류와 총 섭취 열량에 대한 탄수화물 섭취 비율은 선형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 섭취군 대비 중위의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낮았다. 섭취가 많을수록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은 어패류, 동물성 단백질, 총 섭취 열량에 대한 단백질 섭취비율이었고, 섭취가 많을수록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감소하는 것은 우유 및 유제품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PCOS 환자에서 우울증군이 비우울증군에 비해 곡류/감자 및 전분류/당류와 우유 및 유제품을 더 적게 섭취하고, 3대 영양소의 열량 구성비 에서 단백질 섭취 비율과 어패류 섭취가 더 많음이 관찰되었고, 이러한 식이 요인이 우울증과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Some studies have suggested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in women with PCOS (polycystic ovary syndrome). The importance of research into the possible role of dietary intake in depressive symptoms is emphasized by the fact that diet is modifiable. However, no research to date has described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nutritional intake among women with PCO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intake and dietary habits by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and depression in Korean women with PCO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08 to December 2009 and 51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424 controls without depression participated. Th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was used as a measure of depression. Dietary intake data were collected by a 24-hour recall method on two non-consecutive days, 7 days apart, and the average of the two days was used as usual daily dietary intake. The intakes of cereals/potatoes/sugar products, milk and milk products, plant protein, total calcium, and plant calcium by depression pati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epression patien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of energy intakes delivered from protein and intakes of fishes and shellfish than the control group. The total MDA (mini dietary assessment) score of the depression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milk and milk products intake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OR (95% CI) for the highest quartile compared to the lowest: 0.390(0.177 - 0.857); p for trend=0.016].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the following: intake of fish and shellfish [OR (95% CI) for the highest quartile compared to the lowest: 2.319(1.128 - 4.770); p for trend=0.009], animal protein (p for trend=0.049), and percentage of energy intakes delivered from protein [OR (95% CI) for the highest quartile compared with the lowest: 2.546(1.156 ? 5.609); p for trend<0.025]. These results show that depression patients have poor dietary habits and significantly lower intakes of cereals/potatoes/sugar products, higher intakes of fishes and shellfish, and higher intakes of percentage of energy intakes delivered from protein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without depression. In addition, these dietary intakes a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depression in Korean women with PCOS. Therefore, continuous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good dietary habits and balanced nutrition are needed to prevent depression and improve its symptoms along with successful treatment in Korean women with PCO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