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수-
dc.contributor.author박기순-
dc.creator박기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4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449-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인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한국인 생활양식의 서구화와 함께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방암을 포함하는 암환자 사망원인의 주 원인으로 불량한 영양상태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술 시점과 수술 경과 1년 후에 나타나는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식품섭취빈도 및 일반적 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PG­SGA(Patient 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와 SGA(Subjective Global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PG­SGA가 SGA를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일치도 분석 결과, kappa value가 0.665로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었다. PG-SGA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계산한 결과, 민감도가 67.8%, 특이도가 95.4%로 나타났다. 또한 PG­SGA의 positive predictive value는 89.4%이며, negative predictive value는 83.6%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PG-SGA score에 의해 분류한 결과 영양적 위험이 없는 집단과 영양적 위험이 있는 집단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방암 338명의 환자들 중 수술 1년 후에 나타나는 영양적 손상의 증상 중 가장 많이 겪는 문제가 변비와 설사로 나타났으며,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로는 뼈마디와 관절부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양적 손상의 증상을 PG­SGA score에 따라 분류하여 영양적 위험이 있는 집단(n = 94)과 영양적 위험이 없는 집단(n = 244)을 비교하였을 때, 식욕이 없고 입맛이 없는 증상에서 영양적 위험이 있는 집단의 분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34).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에서도 영양적 위험이 있는 집단에서 뼈마디와 관절부위의 통증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기타 다른 문제에서는 영양적 위험이 있는 집단에서 우울증이 더 많이 나타나는 분포를 보였다(p = 0.002).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 1년 후에 나타나는 식품섭취변화와 신체활동 상태를 분석한 결과 식품섭취변화에서 62.4%의 환자가 음식섭취량의 변화가 없거나 더 많아졌다고 응답하였고, 영양적 위험이 없는 사람에서 식품섭취량의 변화가 없거나 더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더 적게 섭취한다는 질문에 응답한 사람(37.6%) 중에서 영양적 위험이 있는 집단이 더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신체활동 상태의 경우 PG­SGA score에 따라 영양적 위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을 분류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01). PG­SGA score에 의해 분류된 두 집단과 13개종 식품 항목에 대한 식품섭취빈도 사이의 관련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버섯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 for trend = 0.047). 반면, 평균식품섭취빈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는, 등푸른 생선의 섭취빈도에서만 영양적 위험이 없는 집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09). SGA category에 의해 분류된 두 집단과 13개종 식품 항목에 대한 식품섭취빈도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와 평균식품섭취빈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모두, 모든 식품 항목의 섭취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적 매개변수인 연령, BMI(Body Mass Index), 혈액 구성을 PG­SGA score에 의해 분류한 두 집단 사이의 비교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위와 같은 매개 변수들을 SGA category에 의해 분류된 두 집단 사이의 비교 분석 결과, BMI의 경우 영양적 위험이 있는 집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 = 0.028), WBC 분석 결과에서는 영양적 위험이 있는 집단이 혈액 속 분포가 더 낮게 나타났다(p = 0.021). 그러나 그 이외의 다른 변수들에서는 두 집단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시점과 수술 1년 후의 체중, BMI, 알코올 섭취는 감소하였고, 모든 환자에 있어서 폐경을 경험하는 환자들이 증가하였다(p < 0.05). 또한,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 시점과 수술 1년 후 나타나는 혈액 구성 상태를 비교한 결과, albumin, cholesterol, WBC, RBC의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수술 시점과 수술 1년 후의 식품섭취빈도 상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식품을 13개종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콩, 귤, 포도, 토마토, 등푸른생선, 가금류에서 수술 시점과 수술 1년 후의 식품섭취빈도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 < 0.05). 수술 1년 후, 콩, 포도, 토마토, 등푸른 생선의 섭취는 증가한 반면, 귤과 가금류의 섭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수술 경과 1년 후 영양적 위험이 있는 집단이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들의 부정적인 항목의 분포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술 시점과 수술 경과 1년 후의 비교 분석은 수술 1년 후에 영양상태가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식품섭취빈도에 있어서는 콩, 귤, 포도, 토마토, 등푸른생선, 가름류에서 뚜렷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영양 관리가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깨닫고, 유방암 여성들을 대상으로 수술 이후의 영양상태평가 및 식품섭취상태에 관한 더 많은 역학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Incidences of breast cancer in Korean women are rapidly increasing with the westernization of the Korean lifestyle. It is well-known that malnutrition (cachexia) is the primary cause of death in patients with cancer, including breast cance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nutritional status of women with breast cancer using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an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SGA) to compare baseline data with the 1-year follow-up data (data at 1 year after surgery). It was analyzed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ood frequencies in 388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sing a semiquantitative food-frequency questionnaire (FFQ). In the assessment of the PG-SGA scores to predict SGA, a ? value of 0.665 was obtained. The PG-SGA score had a sensitivity of 67.8% and a specificity of 95.4%.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89.4%, while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83.6%. Nutrition risk in patients was assessed on the basis of the PG-SGA scores. In the follow-up study subjec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the nutrition risk (n = 94) and without nutrition risk (n = 244) groups. A majority of the patients (n = 203) experienced constipation, diarrhea, and arthritis or sore joints at 1 year after the surgery. The percentage of inappetence and taste change were higher in the patients in the nutrition risk group as compared to patients in the without nutrition risk group (p < 0.034). Patients in the nutrition risk group experienced more pain in case of arthritis/sore joints (p < 0.001) and more depression than patients in the without nutrition risk group (p = 0.002). With regard to changes in food intake at the 1-year follow-up, 62.4% patients responded as ?unchanged? or ?more than before?;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responded as ?unchanged? or ?more than before? was higher in the without-nutrition-risk group. Conversely, 37.6% patients responded as ?less than before?, and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responded as ?less than before? was higher in the nutrition risk group (p < 0.001). With regard to physical activity levels assessed on the basis of the PG-SGA scor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patients in the nutrition-risk and without nutrition risk groups (p < 0.001). Using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it was found that a high intake of mushrooms was associated with reduction in nutrition risk in breast cancer patients (odds ratio (OR) [95% cumulative incidence (CI)] for highest vs. lowest intake quartiles; p for trend: 0.54 [0.28?1.05], p = 0.047).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verage food frequency indicated that food frequency of bluefish was higher in patients in the without nutrition risk group (p = 0.009). However, on comparison on the basis of SGA,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2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the 2 groups on the basis of the PG-SGA scores and assessments of nutritional parameters (age, body mass index (BMI), albumin, cholesterol, WBCs, RBCs, Hb, and lymphocytes). However, on comparison of the groups on the basis of SG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in both groups were detected only with respect to BMI and WBCs. The BMI was higher (p = 0.028) and WBC count was lower (p = 0.021) in patients in the nutrition-risk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baseline data, at the 1-year follow-up after surgery, weight, BMI, and alcohol consumption decreased, while menopause was increased in all patients (p < 0.05). Additionally, in comparison with the baseline data, at 1 year after the surgery, results of blood composit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reductions in albumin, cholesterol, WBC, and RBC levels in all patients (p < 0.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intake frequencies of legumes, mandarins, grapes, tomatoes, bluefish, and poultry between baseline data and data at the 1-year follow up in all patients (p < 0.05). At 1 year after the surgery, the daily intake frequencies of legumes, grapes, tomatoes, and bluefish increased, while the daily intake frequencies of mandarins and poultry decreased in all patients. In conclusion, the nutritional status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orsened at 1 year after the surgery. In addition, as compared to the baseline data, there were appreciable changes in the intake frequencies of legumes, mandarins, grapes, tomatoes, bluefish, and poultry at the 1-year follow-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ystematic nutritional education and management are necessary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Furthermore, more epidemiological studies on the nutritional status assessment and food intake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re re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내용 및 방법 3 A. 연구 대상자 선정 및 기간 3 1. PG­SGA와 SGA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경과 1년 후의 영양상태 평가 및 분석에 관한 연구 3 2. 수술시점과 수술경과 1년 후의 식품섭취빈도 및 영양상태 비교 및 평가에 관한 연구 3 B. 조사 내용 및 방법 4 1. 일반 특성 설문조사 및 식품섭취 조사 4 가. 수술 시점의 일반특성 설문조사 및 식품섭취조사 4 나. 수술 경과 1년 후의 일반특성 설문조사 및 식품섭취조사 5 2. 조사 방법 및 자료 수집 6 가. 수술 시점의 조사방법 및 자료수집 6 나. 수술 경과 1년 후의 조사방법 및 자료수집 6 C. 자료 분석 및 통계적 자료의 처리 6 1. 조사 자료 분석 7 가. 일반 특성 설문조사 자료 분석 7 나. 식품섭취조사 자료 분석 7 2. 통계적 자료의 처리 8 가. PG­SGA와 SGA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경과 1년 후의 영양상태 평가 및 분석에 관한 연구 8 나. 수술시점과 수술경과 1년 후의 식품섭취빈도 및 영양상태 비교 및 평가에 관한 연구 9 Ⅲ. 연구 결과 10 A. PG­SGA와 SGA를 이용한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경과 1년 후의 영양상태 평가 및 분석에 관한 연구 10 1. 유방암 수술 1년 후 대상자의 일반 특성 10 2. 유방암 수술 1년 후 나타나는 영양적 손상의 증상분포 12 3. 유방암 수술 1년 후 나타나는 식품섭취변화와 신체활동상태 14 4. PG­SGA와 SGA의 일치도와 SGA를 예측하는 PG­SGA의 능력 16 5. PG­SGA score에 의해 분류된 두 집단과 식품섭취빈도 사이의 관련성과 비교 분석 18 6. SGA category에 의해 분류된 두 집단과 식품섭취빈도 사이의 관련성과 비교 분석 22 7. 영양적 매개변수에서 PG­SGA score와 SGA category 분류에 따른 두 집단과의 비교 분석 26 B. 수술시점과 수술경과 1년 후의 식품섭취빈도 및 영양상태 비교 및 평가에 관한 연구 29 1.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시점과 수술 경과 1년 후의 일반특성 29 2.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시점과 수술 경과 1년 후의 혈액구성 31 3.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시점과 수술 경과 1년 후의 식품섭취빈도 비교 분석 33 Ⅳ. 고찰 37 Ⅴ. 요약 및 결론 45 참고문헌 49 부록Ⅰ. 일반 특성 설문 조사지 57 부록Ⅱ. 식품섭취빈도 조사지 61 부록Ⅲ. 일반 특성 설문 조사지: 수술 경과 1년 후 76 부록Ⅳ. 식품섭취빈도 조사지: 수술 경과 1년 후 77 부록Ⅴ. PG­SGA 설문지 81 부록Ⅵ. SGA Assessment Categories 83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418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방암 환자들의 영양상태 평가 및 식품섭취빈도 분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and analysis of food frequency in breast cancer patients-
dc.creator.othernamePark, Ki-Soon-
dc.format.pagev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