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여대생의 체중조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여대생의 체중조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weight control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Authors
양현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변영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contribute to maintaining and promoting heal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identifying their body weight control behavior and influencing factors in hope to serve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weight control programs to help female college students establish healthy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behavior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00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A, College B in Seoul, College C in Jeonju. Data was collected from Oct. 21. 2011 through Nov. 3. 2011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to summarize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s and factors affecting weight control behavior. Student t 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s test and Enter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look at the influencing factors of weight control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On a scale of 5, weight-control behavior of female students showed the even evaluation mark of 2.65±0.54. 2. Weight-control behavior according to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s and weight-control behavior related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F=6.095, p= .003), monthly allowance(F=3.127, p= .012), interest in weight-control(t=2.092, p〈.001), current weight control effort(t=7.383, p〈.001), weight-control support from others(t=.342 p= .001), secret method for weight-control(t=6.048, p〈.001), eating breakfast(t=3.750, p〈.001), hours of media exposure per day(F=7.089, p= .001), and subjective BMI(F=3.195, p= .024). Weight-control behavior according to participants' gender role ident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drogyny(F=6.716, p〈 .001). The androgyny was the highest in level of the weight control behaviors. 3 Weight-control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ticipants' self-efficacy(r=.562, p〈.001), body image(r=.124, p= .032), objective BMI(r=.198, p= .001), and ideal BMI(r=.137, p= .017). 4 Factors influencing weight-control behavior were participants' self-efficacy(β=.449, p〈.001), secret method for weight loss(β=.181, p〈.001), monthly allowance below two hundred thousand won(β=.156, p= .006), weight-control support from others(β=.124, p= .013), eating breakfast(β=.119, p= .015), and age(β=.113, p= .023) with R-sq. value of 45.3%. Based on the results stated above, female college students' weight-control behavior were influenced by their self-efficacy, secret method for weight loss, monthly allowance below two hundred thousand won, weight-control support from others, eating breakfast, and age. These six factors combined explained 45.3% of the subject's weight-control behaviors. In addition, gender role identity types were different in weight control behavior.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for weight-control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for college females in the future should reflect these influencing factors and gender role identity.;최근 마른 체형을 매력 있는 이상형으로 규정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여성들은 정상 체중 이하의 마른 모습을 선호하고 있다. 특히 여대생은 미래의 어머니이자 가정에서 중요한 건강관리자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무리한 체중조절은 향후 태아와 모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여대생의 체중조절행위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여대생의 체중조절행위와 비만도, 성역할정체감, 신체상, 자기효능감을 포함하여 체중조절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여대생의 건강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건강교육과 체중조절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10월 21일부터 2주 동안 여대생 300명을 임의표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체중조절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정희섭(1987)이 개발한 도구를 정윤경(2003)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성역할정체감 측정은 이병숙, 김명애, 고효정(2002)이 개발한 한국인의 성역할정체감 검사도구(KGRII)를 사용하였다. 신체상 측정도구는 Mendelson과 White의 Body-Esteem 척도를 조지숙(1992)이 번안한 도구를 정윤경(2003)이 수정 보완한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CDSS(Child Dietary Self-Efficacy Scale; Guy, 1995), Eating Self-Efficacy Scale(Mathew, 1991),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Scale(Stewart, 1996), Exercise Self-Efficacy Scale(David, 1993)을 이정임(2001)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등의 서술통계와 t-test, ANOVA와 사후검정(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Enter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20.67세이며 신장과 체중은 각각 평균 161.5±6.8cm, 52.8±4.9kg이었고, 체질량지수(BMI)는 20.2±2.3(kg/m2)로 정상이었다. 90%의 여대생들이 체중조절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재 체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여대생은 144명(48%)이었다. 1년 동안의 체중조절 시도 횟수는 1~3회가 155명(51.7%)으로 가장 많았으며 체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외관상의 이유’가 208명(69.3%)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성역할정체감은 남성성이 평균 42.75±7.07, 여성성이 평균 49.21±6.15였고 성역할정체감 유형은 양성성 102명(34%), 미분화성 89명(29.7%), 여성성 57명(19%), 남성성 52명(17.3%)으로 나타났다. 신체상과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각각 29.85±4.56, 76.73±12.88이었다. 대상자의 객관적 비만도가 과체중 27명(9%), 비만 9명(3%)인 것에 비해 주관적 비만도는 과체중 79명(26.3%), 비만 16명(5.3%)으로 나타났으며, 희망적 비만도는 저체중이 211명(70.3%)으로 저체중을 선호하였다. 2. 대상자의 체중조절 행위 정도는 5점 척도 중 문항 평균평점이 2.65± 0.54였다. 3. 체중조절행위는 연령(F=6.095, p= .003)과 용돈(F=3.127, p= .012),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 유무(t=2.092, p〈.001), 현재 체중조절 노력 유무(t=7.383, p〈.001), 체중조절 시 주변의 도움 유무(t=.342 p= .001), 체중조절 비결 유무(t=6.048, p〈.001), 아침식사 결식 유무(t=3.750, p〈.001), 하루에 대중매체를 접하는 시간(F=7.089, p= .001), 주관적 비만도(F=3.195, p= .02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성역할정체감 유형에 따른 체중조절행위 정도는 양성성이 가장 높았다(F=6.716, p〈.001). 4. 여대생의 체중조절행위는 자기효능감(r=.562, p〈.001), 신체상(r=.124, p= .032), 객관적 BMI(r=.198, p= .001), 희망적 BMI(r=.137, p= .017)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여대생의 체중조절행위의 영향 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β=.449, p〈.001), 체중조절비결(β=.181, p〈.001), 20만원 미만의 용돈(β=.156, p= .006), 도움 유무(β=.124, p= .013), 아침식사 유무(β=.119, p= .015), 나이(β=.113, p= .023)로 45.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여대생의 체중조절행위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자기효능감과 체중조절행위에서 차이가 확인된 성역할정체감 유형을 중심으로 체중조절 프로그램 교육과 중재를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