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변영순-
dc.contributor.author김희정-
dc.creator김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3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75-
dc.description.abstractIncrease in health care and the development of the latest medical technolog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health screening for the purpose of early detection and disease prevention. Nurses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 play a role to provide clients continuous and systematic health care service, so the scope of their role is being extended. However, a mix of tasks between nurses and diverse staff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 caused overloaded work and degraded the quality of the nursing expertise. There is a poverty of published research exploring the nurses' job description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ir works, to classify their job,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s of the professional health care service.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conducted to identify and gain consensus on for the nurses' job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general hospital in Korea, reviewing literature and the activity tracker and verifying content validity. Establishing the delphi expert panel required the rating with an content validity index(CVI), which 0.8 of CVI or greater would be acceptable level of consensus for each domains and specific tasks. Next, data was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from at least one-year experienced 58 nurses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May 10th to 27th 2011.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job descriptions could be grouped into 3 categories: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142 specific job tasks and skill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12 broad domains. 2. The draft of nurses' job description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 was classified 12 domains: nursing assessment, nursing diagnosis, nursing plan, nursing implementation & evaluation, education, collaboration, development of specialty, management, marketing, ethics, research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 3. Finally, the total modified draft indicators were developed: 12 duties, 32 tasks and 120 task elements. Th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It is the first attempt to explore nurses' job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nd it would be efficient to reduce work duplication or confusion between hospital staff and nurses. At clinical, clients who examine health check-up would be delivered high level of the professional nursing service. This job description c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job evaluation and ongoing research into nursing administration.;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최신 의료 기술의 발달로 조기 발견과 질병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 검진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종합병원 내 건강검진센터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건강검진센터 공급의 확대에 따라 그 역할의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인력간의 업무가 혼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한 업무 과중으로 인해 효율성이 감소하고, 전문성 있는 간호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기존에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을 다룬 연구가 없어, 본 연구는 건강검진센터에서 수행되는 간호 업무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를 분석함으로써 전문적인 업무 수행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 연구로서,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업무에 대한 문헌고찰과 작업일지를 바탕으로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안)을 개발하였다.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안)에 대해 현재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근무하는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58명의 간호사에게 실무 적합성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12개의 임무(duty), 32개의 일(task)과 120개의 일의 요소(task element)가 확정되었다. 내용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점수화하여 80% 이상의 합의가 이루어진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집단 및 실무 적합성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직무분석(안) 예비항목은 문헌고찰과 업무일지를 통해 12개의 임무, 34개의 일과 142개의 일의 요소로 작성하였다. 임무(안)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및 평가, 윤리, 교육, 협력, 자기계발, 관리, 홍보, 연구, 전문직 단체의 12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2. 분류된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안)은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전문가 집단 7명으로부터, 2차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시행하였으며 예비항목을 수정 및 보완하여 임무 12개, 일 33개, 일의 요소 127개로 정리되었다. 3. 수정된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안)은 현장조사를 시행하여 현재 종합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근무하는 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에게 적합성유무를 확인하였으며, 실무적합성은 91.6%로 나타났다. 4. 최종 12개의 임무, 32개의 일, 120개의 일의 요소로 구성된 건강검진 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 결과 건강검진센터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검진과 추후 관리과정 전반에 걸친 검사 흐름 조정과 진료연계 업무뿐만 아니라 타 직무와 다른 특징의 질병과 검사에 대한 건강 상담과 교육, 간호진단 업무를 수행하고, 행정 및 관리, 홍보 업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임상에서 건강검진센터를 이용하는 대상자에게 제공해야 할 업무를 명확히 하여 인력 간 업무 혼동이나 업무 중복을 피하고,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를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을 근거로 직무를 평가하고, 간호 조직 관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 정의 3 Ⅱ. 문헌고찰 5 A.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 5 Ⅲ. 연구방법 15 A. 연구 설계 15 B. 연구 대상 15 C. 연구 절차 16 D. 연구의 제한점 18 E. 윤리적 고려 1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9 A.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안) 예비항목 작성 19 B.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안) 내용타당도 검증 22 1. 예비항목(안)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일반적 특성 22 2. 예비항목(안)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23 C.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안) 실무적합성 확인 37 1. 실무적합성 확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7 2. 실무적합성 확인 37 D. 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 39 Ⅴ. 결론 및 제언 49 A. 결론 49 B. 제언 51 참고문헌 52 부록 59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679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건강검진센터 간호사의 직무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Nurses' job analysis in the health promotion center-
dc.creator.othernameKim, Hee Jung-
dc.format.pagev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