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칙센트미하이의 몰입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Negentropy」에 관한 연구

Title
칙센트미하이의 몰입이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Negentropy」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reative Dance Work「Negentropy」Based on Flow Theory by Csikszentmihaly
Authors
남궁은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Today's meritocratic society is often seen to be plagued by people whose passivity and limited thoughts drive them to pursue only the materialistic goals such as power, fame and status. It creates a society in which people do not understand what they truly want, yet continue to live meaningless lives seeking only momentary satisfaction. The experience of the flow is believed to be derived from certain internal motivations. The phenomenon suggests that there is a clear direction and purpose to life. Many historical existential efforts of seeking meaning in life beyond known human limits can be justified by the concept of flow. In the flow state, consciousness takes an orderly form. That is, chaotic shards of human consciousness point toward a single goal through deep concentration and allows the individual to display intrinsic abilities beyond self, achieving realization and self-growth. Flow therefore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reflect upon and communicate with ourselves. It provides clear purpose and initiatives for those who want to take control of their lives. This study analyzes the creative dancing work 「Negentropy」(2011) based on the Flow Theory by the renowned psychologist Csikszentmihaly. The experience of the flow allows one to maintain a high level of concentration and thus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e modern society's quest for meaning of life. It has the potential to change our passive society into a goal-driven community. 「Negentropy」 was choreographed to illustrate the different steps of the flow experience which climaxes with the state of transcendence that represents the highest level of flow, otherwise known as the optimal experience. The choreography was focused on such thematic illustration of the flow experience, its individual steps, and use of objet throughout the piece. The continuous step-by-step paths of the dancer also helps clarify each step of the flow experience to the audience. In Scene I, the dancer portrays an image of a suppressed life and the desire to escape from the stifling reality. This shows the non-flow state, which is spatially limited to the space behind stage left and using only the top lighting. Bendy and strong trembling motions of the limbs and sudden collapsing movements were used primarily to illustrate this state. With the stage light changes, the dancer attempted to show the start of the gradual change from unstability to stability as she interacts with the objet that is initially installed on her left chest. In Scene II, the dancer is shown to actively interact with flow, which is represented by the triangular objet installed on lower stage right. The blue lamp, an objet initially representing a fragment of the dancer's consciousness, merges with the triangular objet to complete the shape and suggest the beginning of flow. Once the two objets are merged, the blue lamp is symbolically transformed to a fragment of the flow experience itself, accompanying the dancer as she starts moving toward stage left. The dancer's prickling movements throughout this scene aims to illustrate her state of possessing a clear sense of direction toward the flow experience. In Scene III, the ultimate state of transcendence is expressed. Throughout this scene, the dancer expresses the state of the flow experience and finally reaches the peak, which is illustrated using rapid movements. The state of transcendence is reached when the dancer arrives in the small space behind stage right lit by a small lighting. When the dancer is in this region of the stage, her movements are based primarily on jumps, head swings and winding arm motions. Rapid change of pace in leg motions can also be found. Such movements aim to illustrate the loss of self-consciousness and a distorted sense of time, which are two key phenomena experienced by the person in a flow state. The end of this scene also creates an image of a triangle, again representing the flow experience, with the blue lamp objet, triangular objet, and the dancer herself forming the three vertices of the triangle, and the lights forming the three lines. This image signals the finale of the piece. In the work 「Negentropy」(2011), the dancer attempted to describe the flow experience first suggested by the psychologist Csikszentmihaly. The dance aims to inspire and suggest to the audience that the flow experience can be the ultimate key to pursuit of happiness in life.;오늘날 능력주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사회적 제도나 권력구조에 지배되어 살아감으로써 수동적인 행동습관과 제한적인 사고를 가지게 되었다. 높은 지위와 권력, 명예와 같이 순간적인 만족만을 제공하는 외적보상들에 순응하는 우리들의 모습은 스스로를 더욱 의미 없는 삶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또한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이 아무런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주체성이 결여된 삶은 진정 원하는 것을 돌아보지 못한 채 많은 시간을 목적의식 없이 허비하게 만든다. 내적동기로부터 시작하는 몰입경험은 우리에게 뚜렷한 삶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목적의식을 가지게 하는데 이것은 인간의 의미를 찾고자 하는 집중에 대한 의지이며 인간의 존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몰입에서 의식은 질서를 이루고, 깊은 집중은 자아를 초월하여 내재되어 있던 능력들을 발휘시킴으로써 자아의 실현과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가치 있는 삶으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내면의 소리로부터 시작되는 몰입은 우리가 그 동안 돌아보지 못했던 깊은 자아와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진정 원하는 것을 찾고 그 안에서 자신의 역할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삶의 열쇠가 된다. 본 연구는 심리학자 칙센트미하이의 몰입이론을 바탕으로 창작된 무용작품「Negentropy」(2011)에 대한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고도의 집중상태를 유지하는 몰입경험은 내적동기로부터 출발하여 자기목적성을 가지고 성장된 자아를 발견하여 우리의 삶을 목표 지향적이며 주체적인 삶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작품은 자기목적의식을 가지고 최적경험으로 이끄는 몰입경험의 단계를 자기목적적 동기의 발생, 자기목적적 행위와 경험, 자아의 초월상태로 나누어 총 3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주제 및 내용, 오브제의 이미지, 장면별 구성, 이동경로와 움직임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안무하였다. 작품의 1장에서는 억압된 삶에서 느끼는 허무함과 답답함에서 벗어나고 싶은 자아의 모습을 다루었다. 비 몰입 상태의 자아는 하수 뒤의 제한된 공간과 탑 조명 안에서만 진행되도록 하여 초점의 분산과 몸의 굴절을 이용한 꺾기 동작, 팔 다리의 강렬한 떨기와 무너지기를 통해 그 모습을 강조시키고자 하였고, 몰입이 처음 시작되는 상수 앞 공간과 대조적인 구도를 통해 차이가 명확히 구분되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자아가 상수 앞의 몰입대상을 발견하면서 바뀌는 길 조명과 그 조명을 따라 하나의 초점을 가지고 낮게 기어가는 무용수의 움직임을 통해 불안정한 모습에서 점차 안정된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2장에서는 내적동기의 발생으로 인해 경험하게 되는 몰입의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자기목적성을 가진 자아가 몰입대상을 탐구하여 가지는 의식의 통제력과 삶의 주도권을 경험하는 모습을 다루었다. 무용수의 가슴에서 나온 푸른 램프는 상수 앞 삼각 틀의 빈 꼭짓점을 완성하면서 몰입의 시작을 암시한다. 완성된 꼭짓점에 놓인 푸른 램프는 몰입을 통하여 삼각 틀의 파편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것은 무용수에 의해 하수 앞으로 이동되면서 몰입을 통해 자유로움을 얻은 자아의 내면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무대의 전면을 수평적으로 이동하는 무용수의 찌르는 듯한 움직임을 통해 몰입 속에서 뚜렷한 방향성을 가진 자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3장에서는 완전한 몰입을 통해 이르게 되는 자아의 초월상태를 표현하면서 자아성장의 과정을 다루었다. 작은 탑 조명을 이용하여 상수 뒤쪽의 깊은 대각선으로 굴러들어가는 빠른 움직임을 통하여 몰입이 고조되어 절정의 상태에 도달했음을 나타내었다. 이 장에서는 전체적인 움직임이 빠르고 느린 속도의 변화를 이용한 점프와 머리의 스윙, 휘감는 듯한 팔 동작과 강하게 내리꽂는 다리동작을 중심으로 하여 몰입에서 경험하는 자의식의 상실과 그 안에서 느끼는 왜곡된 시간 개념을 표현하고자 했다. 3장은 초월의 상태를 지나 현실로 돌아오는 자아의 모습까지 다루고 있는데 마지막 장면에 삼각 틀, 몰입 파편, 무대 중앙에 위치한 무용수가 이루는 확장된 모습의 삼각 구도를 통하여 몰입의 세 단계를 거치면서 성장된 자아를 나타내도록 이미지화 하였다. 본 연구는 몰입경험을 바탕으로 한 무용작품「Negentropy」(2011)에서 몰입을 통해 주체적인 삶으로 변화되고 행복에 이를 수 있음을 보여주면서 궁극적으로 목표지향적인 삶의 방향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음을 전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