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은경-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9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5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6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522-
dc.description.abstract최근에 급증하는 현대인의 불안장애는 현대인들이 안고 사는 불안을 잘 대변해준다. 불안과 함께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불안이 갖는 의미는 사회적으로는 단일하다. 그러나 불안을 현대인으로부터 억지로 분리하려는 것이 과연 정당한 것인지는 의문이다. 불안은 자신에게 찾아온 불청객이 아니라 자신이 놓인 상황에서 자연스레 갖게 되는 자아의 일부분이 아닐까? 불안의 역기능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던 기존의 관점과 달리 불안이 갖는 의미를 재해석 하는 것은 다원주의로 나아가는 우리의 사회에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안장애의 개념과 불안장애의 유형을 나누어 살펴본 후, 작품의 모티브가 된 이상의 작품 『오감도』시 제1호의 작가와 텍스트 및 해석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무용창작작품「제14인의 아해」를 안무한 후, 본 작품을 주제 및 내용, 움직임과 무대 이동 경로, 음악, 조명 및 의상으로 나누어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창작작품「제14인의 아해」는 시인 이상의 작품인 『오감도』시 제1호에서 모티브를 얻었다. 『오감도』시 제1호에 대한 해석은 매우 다양하지만 현대에는 작품에 나타나는 불안에 초점을 둔 해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착안하여 본 작품에서는 불안에서의 도피를 실패한 13인의 아해들에 이어 무용수 자신인 제 14인의 아해가 불안에서 도피하려는 시도를 그리고 있다. 작품의 1장에서는 인지하지 못한 사이에 잠복해 들어온 불안의 발생으로 불안의 모습을 지닌 자신의 모습을 낯설어하며 거부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2장에서는 불안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의 혼란과 불안장애의 유형을 특징적으로 묘사하였고, 3장에서는 불안장애의 행동적 특징과 불안으로부터의 해방 및 도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 4장에서는 불안의 흔적을 상징적으로 나타냄으로서 불안장애를 탈피하려하기보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수용하자는 메시지를 남긴다. 둘째, 무용수의 무대 이동 경로는 공통적으로 직선의 이동경로를 사용하여 불안장애가 주는 답답함과 억압을 표현하였다. 무용수의 움직임은 각 장면마다 다르게 설정되었는데 1장은 검은 끈으로 인한 움직임의 제한으로 높은 밀도감이 느껴지고, 손목의 곡선적인 움직임과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불안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었다. 2장은 다소 느린 움직임으로 당기기와 비틀기, 짓누르기, 끌어올리기 등을 사용하여 불안으로부터 오는 심리표현을 나타내었고, 손가락의 빠른 움직임과 웨이브(wave)동작은 불안장애의 유형을 표현한다. 3장은 주로 빠른 움직임으로 수직적인 움직임과 직접적인 시선은 불안으로부터 벗어남을 표현하였고, 마지막에는 오브제를 모두 벗어던짐으로써 불안으로부터의 해방을 나타내었다. 4장은 먼저 가슴이 수축하고 확장하는 움직임의 대비로 숨을 헐떡이는 모습을 묘사하였고, 이후 빠르고 갑작스러운 움직임과 함께 손목과 발목에 묶인 오브제를 응시하면서 마무리한다. 셋째, 음악은 1장과 4장에서는 효과음만을 사용하여 장면적 상황과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켰고, 작품의 몰입 도를 높여주었다. 2장에서는 월광 소나타 1악장을 사용하여 고요함 가운데 흐르는 단조롭고 무거운 선율을 통해 무용수는 자신을 억누르며 불안의 모습을 인정하려는 모습과 조화를 이룬다. 반면 가볍게 굴러가는 셋잇단음표의 반복은 불안과 초조로 인한 떨림과 같아 혼란스러운 심리상태를 나타내주었다. 3장에서는 Kundun OST 중 <Projector>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쉼표 없이 빠르게 달려가는 멜로디는 불안으로부터의 도피를 나타내는데 효과를 더하였다. 넷째, 조명은 불안의 모습을 지닌 자아를 투영시키고, 불안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소스퍼(source-four)조명기를 사용하였고, 이는 딱딱하고 차가운 분위기로 비춰진다. 특히 사각패턴의 길 조명은 강박장애를 표현함에 있어서 커다란 역할을 하였고, 공간의 제한과 확장, 빛의 강도 등을 통하여 작품의 긴장감과 메시지 전달에 초점을 두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무용작품을 통해 현 사회에서 불안을 불안하게만 여기며 살아가는 현대인의 정신적, 심리적 부담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즉, 현대인이 필연적으로 안고 살아가는 불안은 더욱 더 가중 될 수밖에 없기에 불안의 의미를 재해석할 필요성을 갖는다. 이러한 일은 오늘날 다원주의 사회에서 더욱 심각히 겪게 되는 불안에 대해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시각과 해석을 간구하는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Anxiety disorders that are increasingly fast these days, speak for the anxiety that the people of the modern era have to live with. To the people of the modern era who live along with anxiety, the meaning of anxiety is the same on the societal level.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attempt to separate anxiety from the people of the modern era forcefully is justified or not. Isn't anxiety part of the ego that one assumes naturally amidst the situation in which one is confined to instead of the unwanted visitor who came to oneself? Unlike the existing perspective that focused only on the illuminator's dysfunction,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anxiety is a very meaningful action in our society that is heading towards pluralism. Accordingly, this research examined this issue by dividing into the concept of anxiety disorders and type of anxiety disorders. Then, this research paper examined the author, text and interpretation of the creative piece, the poem 1 of 『Crow's eye view』 that became the motif for this piece. The creative ballet「The 14 Youngsters」 was choreographed based on this, and this piece was analyzed by dividing into theme and contents, movement, migration path on the stage, music, lighting and costu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reative ballet「The 14 Youngsters」 was inspired by the poem 1 of 『Crow's eye view』. Although there are many interpretations on the poem 1 of 『Crow's eye view』, there are many interpretations that focus on anxiety that are manifested in the pieces created these days. With this as the inspiration piece, this piece depicts the way 14 youngsters, including the dancers try to escape from anxiety, following the youngsters in the 13 youngsters who failed to escape from anxiety. In the Act 1, the self-denial stemming from the sense of unfamiliarity one feels towards oneself is depicted since one's image is that of the illuminator due to the illuminator that had infiltrated unknowingly. Act 2 depicts the chaos and type of anxiety disorders during the process of accepting anxiety. Act 3 depicts liberation and escape from anxiety and from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anxiety disorders. Trace of illuminator is manifested in a symbolic manner in the last act, Act 4. As such, the message that entails embracing anxiety disorders as they are is left behind instead of trying to dodge. Second, migration paths of the dancers on the stage express the stuffiness and repression coming from anxiety disorders by commonly using the straight line floor patterns. Dancers' movements are set differently for each scene. In case of Act 1, high sense of density is felt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movement due to the objet of black string. Anxiety was manifested symbolically with wrist's curved movement and sudden movement. Act 2 depicts psychological expression deriving from anxiety by leveraging pulling, wringing, pressing down and pulling up with relatively slow movement and depicts psychological expression deriving from anxiety. Moreover, fast movement of the fingers and wave movement express type of anxiety disorders. In case of Act 3, vertical movement and direct sight line express deviation from anxiety with mostly fast movements. Lastly, all the objets are discarded to express the liberation from anxiety. In case of Act 4, gasping is depicted by contracting with the movement in which the chest is contracted and expanded. Since then, the act is concluded while gazing at the objet that is tied on the wrist and ankle along with fast and sudden movement. Third, only the sound effect is used for music in case of Act 1 and Act 4 to increase context of situation and ambience, elevating ability for the audience to concentrate in the piece. In the Act 2, Mondschein's first movement is used to form the harmony with the scene in which one tries to recognize the illuminator's image in oneself while dancers suppress themselves with simple and heavy melody that is heard amidst silence. Meanwhile, repetition of the triplet that rolls over lightly is like the vibrationcaused by anxiety and restlessness, showcasing chaotic psychology state. In the Act 3, <Projector> among the Kundun OST is used, which adds on the effect of depicting escape from anxiety by leveraging the melody that flows fast without rest. Fourth, lighting projects the ego that has the image of illuminator, and source-four illuminator is used to depict anxiety in a symbolic manner. This in turn is illuminated as solid and cold ambience. In particular, road lighting of the square pattern plays a major role in expressing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the focus is on the sense of piece's anxiety and on the delivery of message through the limitations and expansion of the space, intensity of light and others. As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sought to present new perspective on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burden felt by the people of the modern era who are anxious about anxiety in the present society through dance piece. In other words, anxiety that is inevitable burden on the people of the modern era is bound to increase. Thus, this is the re-interpretation and delivery of the illuminator's meaning. This is considered meaningful since it demands new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 in the case of the people ofthe modern era when it comes to the anxiety that the people feel even more in today's pluralist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4 II. 이론적 배경 5 A. 불안장애의 개념 및 유형 5 1. 불안장애의 개념 7 2. 불안장애의 유형 10 B. 이상의 작품 『오감도』시 제1호의 이해 19 1. 작가 소개 19 2. 텍스트 및 작품 해석 21 III. 무용창작작품「제14인의 아해」 작품 분석 25 A. 작품의 주제 및 내용 25 B. 움직임과 무대 이동 경로 28 C. 음악 51 D. 조명과 의상 56 IV. 결론 64 참고문헌 67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166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무용창작작품 「제14인의 아해」에 나타난 불안장애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nxiety Disorders, Manifested in the Creative Ballet [The 14 Youngsters]-
dc.creator.othernameKim, Ji Eun-
dc.format.pagex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