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6 Download: 0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Model for Presidential Libraries Based on Archival Resources
Authors
이진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상용
Abstract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는 대통령기록관의 기능 중 하나로 교육을 상정하고, 동법 시행령에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 대통령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은 소장자료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여야 하며, 대통령기록물을 교육에 직접 활용함으로써 이용자의 기록물 분석능력 신장 및 대통령기록물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필요한 세부 구성요소와 운영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분석,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헌연구를 통해 기록자원에 기반한 교육의 개념과 의의를 살펴보고, 관련 해외 지침 및 학습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대통령기록물의 정의, 형태, 특성 및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프로그램 개발단계적 측면, 교육대상적 측면, 내용적 측면, 방법적 측면에서 추출하였다. 사례분석에서는 모형 구성요소의 선별을 위해 국내외 대통령기록관에서 실제 운영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사례 및 현황을 조사하였다. 국외 사례조사 대상기관은, 미국의 13개 대통령기록관 중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 않거나 홈페이지 개편 관계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2개 기관을 제외한 루즈벨트, 트루먼, 아이젠하워, 후버, 존슨, 케네디, 포드, 카터, 레이건, 부시, 클린턴 대통령기록관의 11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의 경우 대통령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이상의 국내외 사례를 교육대상, 내용, 방법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문헌연구 결과를 기초로, 교육대상은 핵심그룹과 일반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교육내용은 대통령직, 대통령 개인, 역사, 시민교육, 기록관리와 그 외 영역으로, 그리고 교육방법은 교수학습 활동 영역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 교육프로그램 모형의 구성요소와 운영방안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외 사례조사 대상기관 12곳의 교육부서 근무자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조사와 전자우편 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배포된 87부의 설문지 중 답변이 미흡한 3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5부가 회수되어 52%의 응답률을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설문결과의 심층분석, 보완을 위한 면담조사를 국내외 사례조사 대상기관 중 면담을 허락한 5곳의 교육전문가 및 교육프로그램 전담 인력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면담에 응한 기관은 트루먼, 케네디, 레이건, 루즈벨트 대통령기록관, 그리고 국내 대통령기록관이며, 면담자의 사정에 따라 직접 방문, 전화, 전자우편을 통한 방법을 병행하였다. 설문조사 및 면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높았으며, 기관홍보와 이용자 서비스적 관점에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가장 절실히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체계적인 기록자원기반 교육프로그램 제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부서 설치와 전문 인력 확보가 최우선적으로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육프로그램의 평균 실시 횟수는 국내가 국외보다 현저히 적었으며, 교육프로그램 사전·사후활동은 국외에선 한 곳을 제외하고 모든 기록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선 실시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교육내용에 대한 핵심 이용자그룹의 요구조사에서,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들은 대체로 역대 대통령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나 대통령이 하는 역할 및 선출 과정에 대한 내용, 중학생은 대통령 재임시절의 역사와 시대상 교육, 고등학생은 역사 영역의 교육주제와 함께 시민교육 내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관련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 교육프로그램 모형을 위한 구성요소의 중요도를 교육프로그램 개발단계적 측면의 4개 영역 17개 구성요소, 교육대상적 측면의 2개 영역 9개 구성요소, 교육내용적 측면의 6개 영역 17개 구성요소, 교육방법적 측면의 1개 영역 16개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5점 리커트 척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취학 아동’은 3.00 이하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어 모형의 구성요소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교육프로그램의 가장 핵심적 효과는 대통령기록관의 존재와 기능 및 대통령기록물의 보존 인식 제고, 학습자의 직접적인 대통령기록물 체험 경험, 자국의 역사와 정부에 대한 생동감 있는 이해 제공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제고 방안으로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인적·물적 자원 확보와 제도적 뒷받침, 관련 전문가 및 단체와의 협력, 온라인서비스와의 적극 연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 교육프로그램 모형안을 교육프로그램 개발단계적 측면, 교육대상적 측면, 교육내용적 측면, 교육방법적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운영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교육프로그램 개발단계적 측면의 모형안은 4개 영역 17개 요소로 구성되며, 교육프로그램을 처음 기획하거나 관련 경험이 거의 없는 담당자들이 업무에 실질적으로 참고할 수 있도록, 기획부터 평가까지의 개발 전 과정을 다루도록 구성하였다. 기획 영역의 구성요소는 교육프로그램 시행의 필요성 인식, 성문화된 서비스 정책 수립, 교육프로그램의 기본 계획 수립, 인적·물적 자원 확보, 이용자 요구조사이다. 설계 영역의 구성요소는 교육 대상 선정, 교육 과제정의와 관련 교과 분석, 교수학습 방법 선택, 관련 소장자료 탐색·선정, 교육안과 교구 개발, 교육프로그램 홍보이다. 실행 영역의 구성요소는 사전활동, 교육프로그램 목표와 문제제시, 기록물제공과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 및 결과물 산출, 교육내용 정리와 사후활동 안내, 사후활동이다. 마지막으로 평가 영역의 구성요소는 이용자 피드백과 프로그램 개정이다. 교육대상적 측면의 모형안은 2개 영역 8개 요소로 이루어져있으며, 이용자를 세분화 하되 핵심그룹과 일반그룹으로 구분하여 주요 이용자층에 대한 전략적 선택과 맞춤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핵심그룹의 구성요소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고학년 학생, 중학생, 고등학생이며, 일반그룹의 구성요소는 교사, 대학(원)생 및 연구자, 가족단위 이용자, 일반대중이다. 교육내용적 측면의 모형안은 6개 영역 17개 요소로 이루어져있으며, 소장자료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대통령기록관만의 차별화된 교육내용이 부각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대통령직 영역의 구성요소는 대통령의 직무와 역할, 대통령의 주요 자질과 자격요건, 대통령 선거제도와 선출과정이다. 대통령 개인 영역의 구성요소는 대통령 개인의 생애, 대통령 재임시절 주요 업적, 대통령 관저에서의 일상생활, 영부인이다. 역사 영역의 구성요소는 대통령 재임시절의 시대상, 대통령 재임시절의 주요 사건·사고·인물, 민주주의이다. 시민교육 영역의 구성요소는 리더십, 입법 활동의 절차와 운영시스템, 시민의식이다. 기록관리 영역의 구성요소는 기록물 검색과 이용에 관한 이용자교육,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교안 개발, 기록보존의식 제고이다. 마지막으로 기록분석 영역의 구성요소는 대통령기록물의 효과적인 분석전략 수립이다. 교육방법적 측면은 16개 요소로 이루어져있으며, 기록자원에 기반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소장자료인 대통령기록물이 교육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세부 구성요소는, 기록물 분석, 연결 짓기, 시청각, 지리학 결합, 문서기반질문, 극적 발표, 역할극, 작문, 만들기, 게임, 브레인스토밍, 토론, 의사결정, 강의, 견학, 스토리텔링이다. 기록자원에 기반한 대통령기록관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으로는, 독립된 교육부서와 교육전문가 확충 및 교육 공간 조성, 관련 전문가 및 단체와의 긴밀한 협력, 전시 및 온라인서비스와 교육프로그램의 연계 운영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프로그램 모형은 각 대통령기록관에서 소장자료에 기반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에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통령기록관 소장자료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대통령기록물의 이용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residential Records Act determines practicing education as one of presidential archives' functions,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clearly states that presidential archives would have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programs of presidential archives should sufficient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holdings, and they could contribute to increase users’ analytic ability on documents and to boost use of presidential records by directly using their holdings in the program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opose detailed elements and operation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model for presidential libraries based on archival resources.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concept and meaning of education based on archival resource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lated guidelines overseas and teaching-learning model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Furthermore, the definition of presidential archives, its formats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necessity and types of education programs were search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elements of education program model based on archival resources were selected in terms of four aspects such as steps of program development, education users, contents, and methods. In the case studies, education programs of selected Korean and US presidential libraries were analyzed for specifying three aspects of education users, contents, and methods. 11 US presidential libraries, such as Roosevelt, Truman, Eisenhower, Hoover, Johnson, Kennedy, Ford, Carter, Reagan, Bush and Clinton librar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wo of the thirteen US presidential libraries were excluded, since they do not have education programs or do not offer educational information on the Internet due to their homepage revision. In addition to this, education programs in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were analyzed. Furthermore,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three aspects such as education users, contents, and methods.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education users were divided into core group and general group. Education contents were divided into presidency, president, history, civic education, records management, and the other section. Finally, education methods were analyzed in teaching-learning section. As a next step,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roposing detailed elements and operation plans of education program model based on archival resources. The survey was administrated on education staff in the selected 12 presidential libraries in Korea and the U.S. by personal visits or e-mails. 87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45 of them(52%) were retrieved. Along with this survey,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4 foreign education specialists and a staff in charge of education programs in Korean library. The 5 presidential libraries are Truman, Kennedy, Reagan, Roosevelt library and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by personal visits, phone calls or e-mail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First, the awareness of necessity of education programs was very strong in the light of the libraries' publicities and services for their users. Second, it was found that establishing education departments and employing education specialists should be a top priority for providing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based on archival resources. Third, the average operation frequency of domestic presidential archives was lower than that of US libraries. When it comes to pre and post-visit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domestic archives did not perform those activities while most US libraries conducted them. Fourth, the user needs of core group about education contents were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ually preferred basic information about presidents in history,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presidential election. Second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historical contents about his or her era during the presidency. High school students preferred civic education and historical subjec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presidential library need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about those subjects. Fifth, the importance of element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5 point Likert scale for education program model in presidential libraries based on archival resources. The draft model consisted of 17 elements in 4 sections in terms of steps of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 9 elements of 2 sections in the education users aspect, 17 elements of 6 sections in the education contents aspect, and finally 16 elements of 1 section in the education methods aspect. As a result of evaluation, the element of preschoolers was removed because the average value of the element was less than 3.00. Sixth,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was identified that the main effects of education programs are enhancing the public awareness of presidential libraries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records management, hand-on experiences of presidential archives for users, and vivid understanding of its history and governments.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would be increased by gaining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with institutional support, cooperating with related experts and agencies, and interconnecting with online servic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education program model based on archival resources was proposed in terms of four aspects such as steps of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education users,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methods. The concrete operation plans were also suggested. In the steps of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e model is designed to include the whole steps from planning to evaluation to help those staff in the archive profession who are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time and have little or no experience of handling those education programs. The model consists of 4 sections and 17 elements. The plan section is composed of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education programs, establishing a written policy of Education Service, building a master plan for education programs, gaining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and identifying user needs. The design section is made up of selecting a user group, education subject definition and analysis of textbooks, choosing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s, searching and selecting related holdings, development of lesson plan and education tools, and advertising of education programs. The implementation section is constructed of pre-visit activities, orientation and raising issues, presenting primary sources and various activities for getting results for solving problems, organizing the activities and guiding post-activities, and post-visit activities. Lastly, the evaluation section consists of user feedback and program modification. In the education users, the model is designed for the education developer to be able to strategically choose the users and develop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by dividing the users into core group and general group. The model consists of 2 sections and 8 elements. The core group is made 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wer grad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gher grades),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general group is constructed of teachers, university students and researchers, families, and general public. In the education contents, the model is designed to highlight the differentiated contents of presidential librarie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archives. The model consists of 6 sections and 17 elements. The presidency section is made up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president, qualifications of president, and presidential election. The president section is constructed of president's personal life, achievements of president, daily life in the Presidential residence, and first lady. The history section consists of his or her era during the presidency,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and democracy. The civic education section includes leadership, legislative steps and activities, and citizenship. The records management section has user education on searching and using archives, development of lesson plan, and enhancing public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Finally, the document analysis section is made up of document analysis strategy for Document-Based Questions. In the education methods, the model focuses on those methods in which presidential archives are directly used fo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archival resources. The 16 elements are document analysis, drawing connections, activity based on audio-visual materials, activity using maps, document-based questions, dramatic presentation, role-play, writing, arts and crafts, game, brainstorming, discussion, decision making, attending lectures, tours, and storytelling. As effective operation plans for education program in presidential libraries based on archival resources,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education department, employment of education specialists, arrangement of education room, cooperation with related experts and agencies, interconnection with exhibits and online services are offered. The proposed model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when a presidential library develops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ir holding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help increase the use of presidential archives by the public by reflecting holdings directly in the education programs of presidential libra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기록관리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