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4 Download: 0

군 조직내 여성군무원의 리더십 성향과 직무만족

Title
군 조직내 여성군무원의 리더십 성향과 직무만족
Other Titles
Leadership tendency and job satisfaction of female civilian workers in the military organization
Authors
김성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숙연
Abstract
Although participations of female continues to increase in the community these days, female members in the army including female soldier, female civilian worker in the military, and female public official are less than 10% of the entire members. Among them, 'Female civilian worker in the military' is the only position which places on every strategic point, fulfills in consistent and long-lasting business sector. Meantime because of their minority gender and minority position as a limit, "Defense Women's Studies' was in the blind spo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emale civilian worker's leadership type upon job satisfaction, and to suggest desirable leadership which can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done by hypothesis model based on advanced research of leadership theory. A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of 200 female civilian worker in the military who were working at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Joint Chiefs, navy, air force and army, the investigator used self-reporting type questions. Questionnaire was consist of 30 questions which are 10 questions for hygiene factor and motivator and 20 questions for leadership type (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masculine, feminine) This study was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of introduction, the goal, necessity, content, subject and method of study were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of examin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 important conceptions of leadership were established and the conception and component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ere described. In addition, the theory of job satisfaction was arranged. Preceding studies were introduced mainly in relation to leader,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female civilian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were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of survey design, the investigator established the model, hypothesis and analytic model of study as analytic tool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describe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variables, the composition of measures, the selection of study subjects,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the composition of questionnaire and the technique of analysis. In the fourth chapter of analysis of study finding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ing tools were analyzed together wit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mpirical examination of study samples' characteristics and hypotheses. In the fifth chapter, results, limits, and development plans were suggest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for analysis of the study, job satisfaction of female civilian workers in the military was generally low.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female civilian workers in the military seems to have positive effects on hygiene factor and motivator of job satisfaction. Thir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female civilian workers seems to have positive effects on motivator of job satisfaction. It is analyzed that the more transactional leadership which is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the more positively affected by achievement of job itself. Fourth, Gender leadership (masculine, feminine) seems to have no crucial effects on job satisfaction. Fifth, the leadership types which is needed for female civilian workers in the military are transformational and feminine leadership. Masculine leadership also needs to be complemented. This research shows likewise proceeding studies of a job satisfaction by female civilian worker in the military, who are minority of military society, the leadership types, when female civilian worker in the military strengthened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 gives positive effects of better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Especial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female civilian worker in the military should be developed for one's and organizations, because it is what organizations expecting from female civilian worker in the military.;여성의 사회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오늘날 군대내 여성 구성원은 여군 및 여성 군무원과 여성 공무원을 합하여 전체의 약 10% 미만이다. 그 중에서도‘여성군무원’은 국방조직 내 요소요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국방조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일관된 업무분야를 장기간 지속하고 있는 유일한 신분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 군대내 군무원이라는 소수 신분과 동시에, 여성이라는 소수 성별로서의 한계에 부딪혀 ‘국방 여성 연구’의 사각지대에 있었다. 본 연구는 남성중심조직인 군대에서 여성군무원이 어떠한 리더십성향을 가지고 있을 때 가장 직무만족도가 높은가에 대한 연구를 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여성군무원의 어떠한 리더십 성향을 구현할 것인지를 제시하고자 리더십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양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는, 각군 및 합참, 국직부대 여성군무원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설문지에 자기기입(Self-Reporting)방식을 적용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 설문지는 위생요인과 동기요인으로 구성된 직무만족도 10문항, 리더십성향별 변혁적, 거래적, 남성적, 여성적 리더십은 각각 5문항씩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장 서론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의 내용,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관한 고찰로서, 리더십에 관한 주요개념과, 직무만족의 이론 및 국방조직에 관한 이해를 정리하여 기술하였고, 선행 연구 검토 부분에서, 리더,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술하였다. 제3장 조사 설계에서는 분석모형 조사도구의 설계로, 연구의 모형, 가설의 설정, 분석모형을 설정하여,리더십과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분석 및 가설 설정이 이루어 지고, 변수의 정의와 척도의 구성,자료의 수집방법으로 조사대상자 선정 및 수집방법, 설문지 구성 및,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조사 결과 분석으로, 표본의 특성, 실증분석 및 가설검증으로 측정도구의 신뢰성 분석과 타당성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연구의 결론과 한계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요약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 군대내에서 여성군무원의 직무만족도는 대체로 낮은 수준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둘째, 여성군무원의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의 위생요인과 동기요인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여성군무원의 거래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의 동기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성군무원이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역할의 거래적 리더십 성향일수록 직무 자체에 대한 성취 등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넷째, 성별 리더십 성향인 남성적 리더십과 여성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여성군무원에게 필요한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과 여성적 리더십이고 보완해야 할 리더십은 남성적 리더십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군대내 소수인 여성군무원의 리더십 성향에 따른 직무만족이 기존의 많은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여성군무원 스스로의 변혁적 리더십이 강할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조직구성원이 여성군무원에게 기대하는 리더십성향과도 일치하여 여성군무원의 변혁적 리더십은 개인과 조직을 발전을 위해 꾸준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