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0 Download: 0

간호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 강인성 및 건강지각에 관한 연구

Title
간호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 강인성 및 건강지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Nurse Managers' Job Stress, Hardiness, and Health Perception
Authors
최미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영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강인성, 건강지각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간호관리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11년 10월 10일부터 10월 31일까지이며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6개 의료기관에서 근무 중인 간호관리자 93명을 편의추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직무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서 장세진 등(2005)이 개발한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도구 24문항을 사용하였다. 강인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Bartone(1995)이 개발하고 조진영(2011)이 번역한 DRS-15(Dispositional Resilience Scale) 15문항을 사용하였고, 건강지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Ware(1976)가 개발하고 이태화(1989)가 수정 보완한 건강지각 측정도구(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20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연령 40.6세, 학력은 대학원 졸업이 53명(57.0%)이었고, 근무경력은 평균 17.4년으로 중간관리자 경력이 평균 4.8년이었으며, 64.5%가 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 2. 간호관리자가 인지하는 직무스트레스를 100점 환산법으로 적용한 결과 44.47점(±9.14)이었으며, 하위영역으로 직무요구 63.98점(±15.65), 조직체계 48.84점(±14.67), 직무불안정 44.09점(±18.66), 직장문화 42.29점(±15.21), 보상부적절 40.98점(±11.69), 직무자율성 결여 36.47점(±11.45), 대인관계갈등 34.65점(±13.59) 순이었다. 간호관리자들의 강인성 정도는 4점 만점에 2.92점(±0.37)이었으며, 영역별로 통제성 3.05점(±0.47), 자기투입성 2.94점(±0.46), 도전성 2.78점(±0.43)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관리자들의 건강지각은 4점 만점에 2.81점(±0.78)이었다. 3. 간호관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는 근무기관의 총 병상 수(F=7.166,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강인성은 종교(t=5.665, p=.019)와 근무기관의 총 병상 수(F=3.424, p=.03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지각은 근무기관의 총 병상 수(F=3.297, p= .04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간호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 강인성, 건강지각과의 관계를 보면, 강인성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계수(r=-0.439, p<.001)는 음의 상관관계를, 강인성과 건강지각의 상관계수(r=0.391,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강인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고 건강지각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지각의 상관계수( r=-0.407, p<.001)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건강지각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관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강인성, 건강지각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근무기관의 특성 중 1,000병상 이상 군이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강인성과 건강지각은 낮았으므로 이들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관리 및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간호관리자들이 지속되는 직무스트레스 속에서도 내면의 에너지를 키울 수 있도록 강인성 훈련이 요구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관리자의 건강중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data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Nurse Managers. The study examined Nurse Managers’ job stress, hardiness, and health perception. It also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study sampled 93 Nurse Managers from 10 October to 31 October, 2011 at 6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developed by Jang Se-jin et al. (2005), “The Hardiness Scale” developed by Bartones’ DRS-15 (1995), and “The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Ware (1976), were as measurement tools in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in SPSS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cheffes’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job stress level perceived by Nurse Managers scored 44.47(± 9.14) in total on a 100-point scale. The following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Nurse Managers’ job stress: 'work need' 63.98(±15.65), ‘organizational system’ 48.84(±14.67), 'unstable work’ 44.09(±18.66), ‘work culture' 42.29(±15.21), ‘inadequate rewards' 40.98(±11.69), 'lack of work autonomy' 36.47(±11.45), and 'interpersonal conflicts' 34.65(±13.59). The mean score of Nurse Managers’ hardiness was 2.92(±0.37), which was categorized as: control 3.05(±0.47), commitment 2.94(±0.46), and challenge 2.78(±0.43). The mean score of Nurse Managers’ health perception was 2.81(±0.78). 2. Nurse Managers’ job stress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ir hospital beds (F=7.166, p=.001), and Nurse Managers’ hardiness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ir religion (t=5.665, p=.019) and on the number of their hospital beds (F=3.424, p=.037). Nurse Managers’ health perception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ir hospital beds (F=3.297, p=.042).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job stress, hardiness, and health perception. Thes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hardiness' and 'job stress' hav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r=-0.439, p<.001). 'Hardiness' and 'health perception'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r=0.391, p<.001). The higher hardiness is the lower job stress becomes. The higher hardiness is the higher health perception becomes. 'Job stress' and 'health perception' hav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r=-0.407, p<.001). The higher job stress is the lower health perception becomes. In conclusion, the analytic results reveal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of Nurse Managers’ job stress, hardiness, and health perception. This is especially the case in hospitals with over 1,000 beds, which has a high job stress, low hardiness and low health perception. Thus, developing stress controlling skills and health care is required. Hardiness training may improve Nurse Managers’ resilience. Furthermore, the findings provide some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Nurse Manag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