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4 Download: 0

고려시대 과대(銙帶)에 관한 연구

Title
고려시대 과대(銙帶)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wadae(Government Official’s Belt) in Goryo Dynasty
Authors
설유경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gwadae(銙帶) used as government official΄s belt in official΄s uniforms in Goryo Dynasty(918〜1392). Belts that have ornaments[銙板] on the surface of leather belt or fabric belt are called gwadae(銙帶). Gwadae(銙帶) is named after in a different ways based upon the various materials used in ornaments. The different names of gwadae(銙帶) according to materials such as jade belt, golden belt, silver belt and rhinoceros΄s horn belt hold a great social significance since the materials themselves represent different social classes. In Goryeo, government official΄s belt, gwadae(銙帶) served as a representative symbol of social status. The system about government official΄s belt of Goryeo can be found in 『Goryeodogyeong(高麗圖經)』and 『Goryeosa(高麗史, The history of Goryo Dynasty)』. According to 『Goryeodogyeong(高麗圖經)』 records, the king would wear jade belt and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would wear jade belt, golden belt with the round pattern[毬文金帶], golden belt with the litchi pattern[荔枝金帶], red leather belt with rhinoceros's horn[紅鞓犀帶], black leather belt[烏鞓] as their ranks in the order. The unique patterns recorded in 『Goryeodogyeong(高麗圖經)』, golden belt with the round pattern[毬文金帶] and golden belt with the litchi pattern[荔枝金帶] were the government official΄s belt worn by high-rank officials and also could be discovered in the institution of Song(宋) Dynasty(960〜1279). 『Guitianlu(歸田錄)』by Ouyang Xiu(歐陽修, 1007〜1072) during Song(宋) Dynasty says that the golden belt with the round pattern[毬文金帶] of official rank[品] 1 and 2 and the golden belt with the litchi pattern[荔枝金帶] of official rank[品] 3 and 4 were established by Taizong(太宗, 976〜997) of Song(宋) Dynasty and confirmed in the gwadae(銙帶) institution of Shenzong(神宗, 1068〜1085) in 『Songshi(宋史, The history of Song Dynasty)』. The golden belt with the round pattern[毬文金帶] and the golden belt with the litchi pattern[荔枝金帶] worn by high-rank officials were also confirmed in the gwadae(銙帶) institution of Shizong(世宗, 1123〜1189) in 『Jinshi(金史, The history of Jin Dynasty)』. In 『Yuanshi(元史, The history of Yuan Dynasty)』, Gumungeumdae[毬文金帶] disappeared and the litchi pattern[荔枝金帶] remained only in the institution of official rank[品] 3 and 4. According to『Mingshi(明史, The history of Ming Dynasty)』records, the golden belt with the litchi pattern[荔枝金帶] was worn over the uniforms of official rank[品] 3 and 4. The golden belt with the litchi pattern[荔枝金帶] was made certain that it was a system of official uniforms of official rank[品] 2 and 3 in the Sejong's rule(1426) according to 『Annals of the Choson Dynasty[朝鮮王朝實錄]』. In short, the institution of the golden belt with the litchi pattern[荔枝金帶] started during Song(宋) Dynasty, affected Goryeo and Jin(金), was passed down to Yuan(元) and Ming(明) Dynasty, and finally was found its way to Joseon(朝鮮) Dynasty. Having enjoyed such long-lasting popularity, the golden belt with the litchi pattern[荔枝金帶] tops the Goryeo artifacts in number today. In『Goryeosa(高麗史)』, the gwadae(銙帶) institution during the reign of Uijong(毅宗, 1146〜1170) differentiated the material grades in the order of jade, Tongseo(通犀, rhinoceros's horn with cylinder-shaped pieces.), gold, Banseo(班犀, rhinoceros's horn with pattern), silver plating on gold, and rhinoceros's horn. However, the institution was not particularly subject to the king's order, and meanwhile, as the red leather belt[紅鞓] was considered good, only high-rank officials wore it. In comparison with the gwadae(銙帶) institution between Goryeo and its neighboring nations, it shows that they are not exactly match each other in terms of materials allowed for each class but share some similarities. Jade and Tongseo(通犀) were regarded as the best regardless of time and nation. In Goryeo, the gwadae(銙帶) was exchanged with the neighboring nations as ceremonial object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public business. Gwadae(銙帶), which was sent by neighboring nations, came from celebrating the king's birthday or in acknowledge of a tribute. The Goryeo kings would grant gwadae(銙帶) to those who were newly appointed in a government position, distinguished themselves in war, or excelled in political activities as a reward. Goryeo gwadae(銙帶) is showcased in various artifacts in museums at home and abroad even though they are not intact. An examination of those artifacts led to the following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gwadae(銙帶) : There are two gwadae(銙帶) structures; one is the common type and the other is Chan Die belt[䩞鞢帶] type with decorations hanging down. The common type is then divided into the straight type and combined type according to the buckle and Tami(铊尾). The straight type is in the simplest structure of one string and has many artifacts remaining today. The combined type consists of two or more strings and develops into Gakdae(角帶) during Joseon. The Chan Die belt[䩞鞢帶] type was part of the customs of northern nomads who added various goods to the waist. It made its first appearance in Chin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220〜280) and became a vogue during Tang(唐) Dynasty as the government official΄s belt for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There is no record about it in the Song(宋) documents. However, during Liao(遼) Dynasty, Chan Die belt[䩞鞢帶] continued to serve as the government official's belt with considerably many Chan Die belt[䩞鞢帶] artifacts remaining today. There is ornament, which seems to be part of Chan Die belt[䩞鞢帶], excavated from the Goryeo period, which directs attention to its relationships with Liao(遼). During Goryeo Dynasty,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patterns, and forms of gwadae(銙帶) were influenced by the neighboring nations, and vice versa. The golden belt with the litchi pattern[荔枝金帶] expressed in the same style as Song(宋) suggests Song(宋) influences on Goryeo's gwadae(銙帶). The reppouse[打出] technique of high relief and the ring-matting[魚子文] technique found in the metal gwadae(銙帶) of Goryeo are part of the characteristics of Liao(遼)'s metal crafts, which suggests that Goryeo must have been influenced by Liao(遼) with which it had frequent exchanges in the 11th and 12th century. The museums at home and abroad house gwadae(銙帶) artifacts of various patterns not even mentioned in the documents. The patterns inscribed in gwadae(銙帶) reflected the patterns in vogue in the area of craft and ceramic works of the times. The plant patterns include litchi, Bosanghwa(寶相華), peony, peony flower and vine, chrysanthemum, while the animal ones include monster, dragon, fish, peacock, giraffe, and young boy, and beyond that waterside landscape, statue of the Buddha. This study examined changes to the social class system according to the gwadae(銙帶) materials based on the literature and shed light onto the Goryeo gwadae(銙帶) housed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museums that had not been treated with significance. The study claim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s the existence of gwadae(銙帶) of various patterns and Chan Die belt[䩞鞢帶] not recorded in the literature.;이 논문은 고려시대의 관복에 품대(品帶)로서 사용된 과대(銙帶)에 관한 연구이다. 혁대(革帶) 또는 포대(布帶)의 표면 위에 장식품을 달아 만든 허리띠를 과대(銙帶)라고 한다. 과대(銙帶)는 사용되는 장식품의 재료에 근거하여 명칭을 부여한다. 옥대(玉帶), 금대(金帶), 은대(銀帶), 서대(犀帶) 등은 재료에 의한 과대(銙帶)의 명칭으로 재료 자체가 계급을 의미하는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고려시대의 과대는 품대(品帶)로서 계급표시의 대표적인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고려시대 품대(品帶) 제도는 『고려도경(高麗圖經)』과 『고려사(高麗史)』에서 살펴볼 수 있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왕은 공복(公服)에 옥대(玉帶)를 착용하고 문무백관들은 관직에 따라 옥대(玉帶), 구문금대(毬文金帶), 어선금대(御仙金帶), 홍정서대(紅鞓犀帶), 흑정각대(黑鞓角帶), 오정(烏鞓)의 순으로 착용하였다. 『고려도경』에 기록된 특정무늬인 구문금대(毬文金帶)와 어선금대(御仙金帶)는 고위관리들이 착용하는 품대(品帶)이며 송(宋)의 제도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송(宋) 구양수(歐陽修, 1007~1072)의 『귀전록(歸田錄)』에 의하면 1·2품의 구문금대(毬文金帶)와 3·4품의 어선화금대(御仙花金帶)는 송 태종(太宗, 976~997)이 제정한 제도이며, 『송사(宋史)』신종(神宗) 원풍(元豐) 5(1082)년의 과대제도에서 확인된다. 고위 관리들이 착용하는 구문금대와 어선화금대는 『금사(金史)』세종(世宗) 대정(大定, 1161~1189) 년간의 과대제도에서도 확인되며, 『원사(元史)』여복지에서는 구문금대가 사라지고 어선화 즉, 여지금대(荔枝金帶)만이 3·4품의 제도로 남아있다. 어선화는 여지와 같은 것으로 용어가 혼용되었다. 『명사(明史)』여복지에 의하면 3·4품은 공복에 여지금대를 착용하였다. 조선시대에도『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세종(世宗) 8(1426)년에 2·3품의 공복(公服)의 제도로 여지금대가 확인된다. 이렇듯 여지금대의 제도는 송(宋)에서부터 시작되어 고려와 금(金)에 영향을 미치며, 원(元)과 명(明)으로 이어졌고, 조선시대에서도 나타난다. 이토록 오랫동안 사랑받은 여지금대는 고려시대의 유물 중 가장 많이 남아있다. 『고려사』 의종(毅宗, 1146~1170)조 의례상정(儀禮詳定)의 공복(公服)에 나타난 과대제도는 통서(通犀), 금(金), 옥(玉), 반서(班犀), 금도은(金途銀), 서(犀)의 순으로 계급별 재료의 차등을 두었다. 그러나 왕명에 의해 특별히 계급에 구애받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홍정(紅鞓)을 좋은 것으로 여겨 고위관리들만 홍정(紅鞓)을 착용하였다. 고려의 제도와 주변국과의 과대제도를 비교해보면 계급별로 사용하는 재료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으나 유사하다. 옥(玉)과 통서(通犀)는 시대와 국가를 막론하고 가장 좋은 것으로 여겨졌다. 서(犀)는 통서(通犀), 반서(班犀), 화서(花犀), 서(犀), 오서(烏犀) 등 종류가 다양하며 종류에 따라 차등을 주었다. 고려 우왕(禑王) 이전의 과대제도에서는 주변국들과의 동등한 계급의 과대를 착용하였으나 우왕(禑王)때 제정된 관복제도는 명(明)에 비해 이등체강 원칙에 따라 정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등체강의 제도는 조선시대의 과대제도로 이어진다. 고려시대에는 주변국가와 공무(公式) 사행(使行)에 따른 의례품으로 과대(銙帶)를 주고받았다. 주변국으로부터 고려에 보내온 과대(銙帶)는 왕의 생일 선물 또는 공물에 대한 답례품으로 보내왔다. 또한 고려왕은 신하들에게는 벼슬과 함께 과대를 하사하였고, 전쟁에서 큰 공을 세운 경우와 정치적 활동에 대한 포상으로도 과대를 하사하였다. 고려시대 과대는 완전한 모습은 아니지만 국내외 박물관에 다양한 과대유물들이 전해지고 있다. 유물을 통해 살펴본 과대의 종류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과대의 구조는 일반형과 띠 아래 장식을 늘어뜨리는 첩섭대형(䩞鞢帶形)으로 나뉜다. 일반형은 다시 띠고리와 띠끝장식판의 구성의 차이로 일자형(一字形)과 결합형(結合形)으로 나뉜다. 일자형은 허리띠가 한 줄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로 가장 많은 유물들이 전해진다. 결합형(結合形)은 두 줄 이상의 허리띠로 구성되며 조선시대 각대(角帶)로 발전한다. 첩섭대형(䩞鞢帶形)은 허리에 여러 가지 패물을 다는 북방 유목민족의 풍속으로, 중국에서는 육조시대(六朝時代)부터 시작하여 당(唐)에서 유행하였으며, 문무관원의 품대(品帶)로도 착용되었다. 송(宋)의 문헌에서는 첩섭대의 착용 기록은 찾아볼 수 없으나, 『요사(遼史)』에 의하면 요대(遼代)에는 첩섭대가 품대(品帶)로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첩섭대 유물이 출토되었다. 고려시대에도 요(遼)의 첩섭대와 유사한 띠꾸미개가 남아있어 요(遼)와의 관계가 주목된다. 고려시대 과대의 제작기법과 무늬 및 형태는 주변국가와의 영향을 주고받았다. 동일한 양식으로 표현된 여지무늬 과대를 통하여 송(宋)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금속과대에 나타나는 고부조(高浮彫)의 압출기법(押出技法)과 어자문(魚子文) 기법은 요(遼)의 금속공예의 특징으로 11~12세기 빈번한 교류를 했던 요(遼)의 영향도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고려시대 과대유물은 문헌에 기록된 여지금대를 비롯하여 문헌에 언급되어 있지 않은 다양한 무늬의 과대들이 국내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과대에 새겨진 무늬는 당시 공예품이나 도자기에 유행하였던 무늬가 반영된 것으로 식물무늬로는 여지, 보상화, 모란, 국화, 연화넝쿨무늬가 있으며, 동물무늬로는 괴수, 용문, 어문, 공작, 기린, 동자가 있고, 그 외 물가풍경무늬와 불상무늬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논문은 문헌을 통해 품대(品帶)로서 사용된 과대 계급제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그동안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국내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다양한 무늬의 고려시대 과대를 재조명해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려시대에 다양한 무늬의 과대와 첩섭대(䩞鞢帶) 형태의 과대가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