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6 Download: 0

제품디자인의 인터랙션 요소로서 빛의 움직임에 대한 사용자 감성연구

Title
제품디자인의 인터랙션 요소로서 빛의 움직임에 대한 사용자 감성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ser sensitivity about motion of light as emotional interaction factor upon product design
Authors
김주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디지털 테크놀로지(Technology)의 발달은 인간과 제품과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교류는 인간과 제품의 상호작용에 대한 탐구를 지속시켰으며, 그 영향으로 제품은 유용성(Utility)과 심미성(Aesthetic)의 가치를 지닌 대상을 넘어 비인간화 현상을 해결하려는 감성적 인터랙션 도구로 확대되고 있다. 21세기를 기점으로 인간 중심의 경험과 감성을 중요시하는 삶을 지향하면서 인간은 디지털 기술들과의 감성 인터랙션을 통해 새로운 커뮤니케이션들을 접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간과 제품, 인간과 인간의 교류가 보다 자유롭게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를 수용할 필요성이 높아져 감에 따라 제품의 인터랙션 적용이 구체화 되고 있다. 감성적 인터랙션이 가능한 제품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감성적인 요소들과 제품 어포던스(Affordance)의 적절한 결합이 필요하다. 인터랙션 제품디자이너는 제품의 움직임, 시간, 공간, 외관, 소리 등의 인터랙션 요소와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의 접점을 원활히 할 수 있어야 한다. 인터랙션 제품디자인에서 가장 주목할 요소 중 하나는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움직임은 무생물인 사물을 살아있는 생명체로 인식하게 하는 에너지를 가진 요소이다. 인간은 움직임의 형태를 만났을 때, 감성의 영향을 받게 된다. 감성은 인간의 감각기관인 오감을 통해 인간에게 심리적, 감정적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특히 감각기관 중 시각 기관은 감성을 자극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시각을 통해 인간은 빛을 받아들이고 빛에 의해 사물을 인지하게 된다. 기존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빛의 활용은 주로 정적인 심미적 디자인 요소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조명 기술이 발달하고 제품들이 디지털화 되면서 빛을 통한 인터랙션 제품 디자인의 표현 영역도 넓어지고 있다. LED가 1970년대 실용화되고 제품에 적용되면서 빛을 이용한 인터랙션 디자인의 발전 또한 가속화 되었고, 빛의 움직임에 대한 표현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빛은 움직임과 결합하여 빛 자체보다 더 큰 감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빛의 움직임을 응용한 다양한 인터랙션은 사용자와 풍성한 감성적 교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영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빛의 움직임을 통한 사용자 감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디자이너는 ‘사용자를 잘 안다’라고 생각하는 오류를 범하기가 쉽다. 디자이너는 인터랙션이 가능한 제품디자인을 할 때, 막연한 추측으로 디자인을 해서는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감성적 교감이 가능한 제품을 만들기 어렵다. 인터랙션 제품디자이너는 사용자가 어떤 형태의 움직임에 대하여 어떠한 감성을 느끼는지 바르게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할 때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제품을 만들 수 있고, 인터랙션 제품을 디자인할 때 바르게 적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감성 인터랙션 디자인을 위한 빛의 움직임 요소에 대한 가치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빛의 움직임에 대한 사용자 감성 연구는 이러한 사용자 감성니즈에 부합하는 감성 인터랙션 디자인을 위한 중요한 요소의 발견이며, 인간과 교감하는 제품 디자인을 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마련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장에서 빛과 움직임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바탕으로 3장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의 개념과 요소들을 살펴보고, 감성적 인터랙션을 위해 빛의 움직임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 사례들을 통해 앞으로 제품 디자인에서 빛의 움직임에 대한 활용을 조명해 보았다. 이어 4장에서는 감성에 대한 사용자 니즈와 감성적 요소로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유도하는 빛의 움직임에 대한 감성을 알아보았다. 4장에서 사용자와 감성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간과 제품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들을 마련하였다. 5장에서는 빛의 움직임에 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빛의 움직임을 속도차이, 색온도의 차이, 움직임의 형태차이를 두었고, 빛의 다양한 움직임이 있을 수 있겠으나 제품에서도 구현 가능할 수 있는 기본적인 움직임으로 적용하였는데 영상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Basic Motion의 움직임의 형태를 가지고 제작하였다. 제작한 시뮬레이션인 빛의 움직임에 대한 사용자의 느낌을 감성 어휘로 측정하였다. 사용자의 감성측정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계 수치로 검증하였다. 빛의 움직임에 대한 사용자 감성을 시각적으로 비교 대조하기 편리하도록 고바야시 이미지 스케일을 통해 감성어휘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빛의 움직임에 대한 속도 차이는 사용자의 감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가?’이며, 두 번째는 ‘빛의 움직임에 대한 색온도 차이는 사용자의 감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가?’ 세 번째 연구문제는 ‘빛의 움직임에 대한 형태차이는 사용자의 감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가?’이다. 이 연구문제를 가지고 실시한 실험 결과로 사용자는 속도, 색온도, 움직임의 형태 변화에 따른 빛의 움직임에 대하여 각각 감성적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빛의 움직임에 대한 속도, 색온도, 형태적 요소의 변화는 사용자에게 각 요소에 대한 영향에 따라 다른 감성이 나왔다. 각각 사용자에게 다른 감성을 유도 한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변인 요소들의 결합에 의한 영향들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붉은색과 속도가 빠른 움직임의 큰 형태를 만났을 때, 사용자는 붉은색이 가지고 있는 화려한, 역동적인 등의 이미지가 더 상승되었다. 반면에 붉은색과 속도가 느린 움직임을 만났을 때는 붉은색의 이미지가 약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움직임이 크고 빠르면 색의 이미지보다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움직임에 대한 감성적 이미지가 더 높아지고, 움직임이 느리고 작아지면 원래의 색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가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후 사용자 피드백(Feedback)을 통해 사용자는 빛의 움직임을 볼 때 자신의 경험적 기억에 영향을 받아 그 기억을 접목시킨 감성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사용자와의 감성적 교감을 위한 빛의 움직임을 제품에 적절하게 활용했을 때 그 제품을 사용자에게 더 친근하고 풍성한 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제품으로 거듭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감성적 인터랙션 요소로서 빛의 움직임의 다양한 표현과 제품에서 빛의 움직임을 적용하여 기존 제품의 고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빛의 움직임이라는 요소가 제품과 사용자간의 상호교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리하면서도 더 친근한 인터랙션 제품으로 효과적인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We live in an age when exchange between human beings and products is carried out actively due to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is kind of exchange makes an on-going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products necessary, and because of this influence the products are being expanded beyond a target that has values of utility and aesthetics as a emotional exchange tool that attempts to solve the dehumanization phenomenon. In the field of design as well, interaction application of products is being concretized as the necessity of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is increasing. As we lead a life that pays increasingly more attention to human-oriented experience and sensitivity starting with the 21st century, human beings are experiencing new communications through emotional interaction with digital technologies. And through this, exchange between human beings and products and exchange between human beings and other human beings are expanding more freely. For emotional interaction of product design, it is necessary to have an appropriate union between emotional factors and product affordance. An interaction designer should be able to broaden communication points with the users through union with such interaction factors as motion, time, space, appearance, and sound. One of the most noteworthy factors in emotional interaction product design would be motion. Motion is a factor that has energy which makes us recognize it as a living organism. Human beings are affected by sensitivity when encountered with moving forms. Sensitivity occurs through five senses as a form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s. Especially, visual organ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stimulating sensitivity. Visual organs receive lights and make objects recognized by light. In existing product design, light was utilized mainly as a static aesthetic design element. However, as illumination technology is developed and products are digitalized, representation area of interaction product design through light is also expanding. As LED is commercialized and applied to products during 1970s, utilization of interaction design using light became much more diversified and free. When combined with motion, the light can provide much greater sensitivity to users than the light itself. Diverse interaction applying motion of light is an area that enables rich emotional communion with the users. Nevertheless, research on user sensitivity through motion of light is still very much lacking. Designers are prone to make errors thinking they 'know the users well'. When engaged in product design, it is not easy to create products that are capable of sensual communion which meets the needs of the users if a designer proceeds with a vague guess. Interaction product designers need to know properly what kind of sensitivity a user feels on what forms of a motion. Only then, the designers can create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the users and apply that knowledge to interaction products properly. A research on user sensitivity regarding motion of light enables a discovery of important factors for emotional interaction design that meets the sensitivity needs of the users, and contributes to the securing of basic data for product design that communes with human beings. Hence, there is a need to pay fresh attention to the values of motion of light factors for emotional interaction design. Accordingly, based on general understanding of light and motion as discussed in Chapter 2, this study considered the concept of interaction design and relevant factors in Chapter 3. In Chapter 4, an inquiry was made into the user sensitivity regarding interaction product design and motion of light in an effort to lay the ground for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products. In Chapter 5, tests are carried out to find out changes in sensitivity that the users feel, and their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tests on motion of light, allowances were made for the difference in speed, color temperature, and formal difference of motion. Feeling of the users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sensual vocabularies through the movement of light that was created with movement forms of a basic motion that was used in the vide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Does the speed difference in the motion of light affect emotional change of the use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Does the color temperature difference in the motion of light affect emotional change of the user?'. And the third research question was 'Does the formal difference in the motion of light affect emotional change of the user?'. As a result of these tests, we were able to discover that there were emotional differences of the users regarding motion of light based on speed, color temperature, and formal change of the motion. In conclusion, we were able to verify that change in speed, color, and formal factors in the motion of light causes emotional effect for each factor to appear on the users together with the emotional effects that are caused by the union of such factors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when encountered with a large form of red color and high-speed motion, the users were more stimulated by the image that the red color has and received greater emotional effect from the movement. On the other hand, when encountered with red color and a low-speed motion, the image of red color tended to be weakened. And we were also able to verify that, if the motion is large and fast, the users were more affected by the motion than the image of the color, so that the emotional image for the motion was more enhanced. But if the motion gets slow and small, sensitivity of the image that the original color had tended to be more enhanced. Besides, we were able to learn through feedback after the tests that, when looking at the motion of light, the users often grafted their experiential memory to it to cause emotional un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learned that appropriate utilization of the motion of light for emotional communion with the users will cause the product to be reborn as a product that is more familiar to the users and that can provide richer sensitivity. Hence, we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study not only on the motion of light but also on diverse emotional factors that are grafted to the motion of light. It is our sincere wish that an effective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interaction products will be possible through appropriate utilization of the motion of ligh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