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이경은-
dc.creator이경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5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14-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인들은 과연 무엇을 ‘진짜’라고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연구자는 평소 ‘진짜는 무엇일까?’ 라는 물음을 가지고 있었다. 겉모습이 중요한 사회가 되었고, 의례적인관계가 많아 졌다. 하지만 연구자는 ‘진짜는 우리 마음속에 있다.’ 라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가치관으로 우리의 주변, 일상생활을 관찰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뉴욕이라는 지명이 쉽게 눈에 뛴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뉴욕’이라는 단어가 주는 인상은 세련되고, 젊으며, 활기찬 느낌 이라고 연구자가 간략하게 요약한데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바로, 이 점 또한 굉장히 흥미로운 점이라 여기게 되었다. ‘뉴욕’은 단순히 지명일 뿐인데, 우리는 실생활에서 뉴욕을 지명으로 지칭하는 일보다는 대게, 그 인상에 관하여 사용하고 있는 일들이 많았다. 이를 흥미로이 여기고 뉴욕에 관하여 조사 하던 중,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포털 사이트 지도검색에서 ‘뉴욕’을 검색하였더니, 우리나라 사이트에서는 1000여건이 넘는 수치가 검색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웹사이트 지도검색에서 뉴욕을 검색하게 되면 단 1건밖에는 검색되지 않았다. 이런 계기로 뉴욕에 속한 유명한 지명들을 검색해 보게 되었다. 꽤 많이 이와 같은 형식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진짜와 진짜처럼 보이는 것’을 주제로 삼을 수 있었고 ‘뉴욕 vs NEW YORK’ 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디자인 작업을 할 수가 있었고, 이를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이론들을 찾을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언어이미지와 언어적 착시에 관해 연구하였다. 디자인 작업의 결과와 같은 현상을 언어적 착시라고 명명하면서, 그 상위 개념인 언어이미지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이 부분에서는 언어도 이미지 역할이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엿보고 연구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형성은 그 언어가 지칭하는 객관적인 뜻만 가지고 모두 설명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 때문에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이론에 관하여 찾아보게 되었다. 그 이론은 문화사회학이다. 언어적 속성으로만 이해했을 때, ‘기호학’의 ‘기표와기의’의 개념으로 설명 할 수도 있겠지만, 연구자의 작업은 직관적인 작업으로 사회 전반적인 현상에 관하여 두루 살펴 볼 수 있는 문화사회학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하여, 언어적 착시에 관한 현상을 ‘문화사회학(Cultural sociology)’ 이론을 차용하여 이해했다. 문화사회학 이론 중에서도 ‘집합적 기억’과 ‘일상생활의 사회학’ 이 두 가지부분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서로 상호관계를 맺고 의사소통하며 문화를 만들어 낸다는 점을 알아냈다. 이 때,문화는 ‘해석적 공동체’들이 군집을 이루어 형성되어 사회적 맥락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작업물의 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미술의 방법적 특성을 이해해 보았다. 우선 개념미술을 판단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4가지 조건을 제시하였다. 그 4가지 조건으로 레디메이드(Ready-made), 개입, 자료형식, 언어로 개념미술의 방법적 특성을 이해하고 연구하였다. 또한, 현재 디자인의 흐름 중 개념미술의 성격과 비슷한 성격을 띤 디자인 사례를 통하여 개념미술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개념미술은 공통적인 특성은 있으나 일률적이지 않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기본적인 특성과 함께 본 연구가 지향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기준인 ‘해석적 공동체’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언어와 텍스트적 해석, 해석적 공동체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통하여, 우리는 ‘해석적 공동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문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는 점을 알 수가 있었다. 이러한 흐름은 사회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관심은 점차 일상적인 것들로 집중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뉴욕이라는 단어와 우리 사회현상들에 관하여 살펴 본 것으로 조금 단편적인 부분으로 우리의 일상을 살펴보았다. 이후, 연구자들이 다양한 사회적 분위기를 파악하여 우리의 일상을 다시 바라본다면, 조금 더 풍부한 이야기들을 디자인으로 재창출하여 서로 공유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해 본다.;What current society defines what is 'real'? This research focused how people define the definition of "real". Most people think that appearance is very important and it has formal relationship. When we look at the dictionary, the definition of 'real' has ambiguous meanings which eager me to search true definition of "real". Korean dictionary is defined 'real' as not to be fake but to be true. If it applies objects, it is an easy concept. However, it would be difficult and complicated if we start to apply our mind. In fact, I have thought 'real' is in our mind, so I observed daily life around me with my view of value. In the meantimes, I have been interested in the name of New York. It is not unnaturally to summarize the impression of New York as following: New York is sophisticated and vibrant. We can figure out interesting things here. New York is just the name of city, but we recognize the impression of New York not the name in our daily life. I found an interesting fact under investigation. The fact is that there are more than 1,000 results on korean portal sites when I searched New York in a map service on the sites. Ironically, however, I got only one result about New York on the web site based on the U.S.A. With this results, thus, I started to observe another same phenomenon except the results above. As a result, it had the same phenomenon in terms of not only the name of New York but also many famous places in New York. Therefore, my topic is " Real and look like real" and I could design with my title,「뉴욕 vs NEW YORK」. Also, I could find theories supporting the fact above. The first of all, I researched language image and linguistic optical illusion. Linguistic optical illusion was defined as the same phenomenon like findings of design work. Also, I approached another theory, Cultural society because the language image can`t explain only objective meanings of word. If we understood language in terms of linguistic attribute, it can be explained by a theory, signifier and signified of semiotics. However, I judged that Cultural society is more suitable because my study was very instinctive and I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all phenomenon around our society. Focused on these premise, second, I explained 'Cultural sociology' theory. In the theory, especially, collective ceremony and sociology of a daily life were suggested. In this way, community members have relationship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produce culture in everyday life. At this moment, culture is made by interpretive communities and cultural change occurs by the social context. Lastly, I studied terms of conceptual art to explain conditions of my design work First above all, I suggested the most basic four conditions to judge conceptual art. The four conditions in terms of conceptual art I understood and studied are ready-made, intervention, documentation and words. Further, I studied features of conceptual art through design examples being similar to features of conceptual art on design trend now.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conceptual art has a common rule but it always does not apply to every cases. Thus, I additionally suggested ‘interpretive communities’ as a standard to explain a direction of this study with the four condition I mentioned abov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interpretation of language and text and interpretive communities which play important role in this case. Consequently, I can conclude that we constantly interact with interpretive communities and make culture. The trend like this appears overall societies and interests of the trend are focusing on everyday life. However, a design work for supporting this study was motivated by a word of NEW YORK but the word of NEW YORK is only partial social phenomenon of our daily life.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at many researchers study our daily life reflected social trend and share recreated design works made of various sources of our daily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내용 3 Ⅱ. 언어 이미지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관점 7 A. 언어 이미지에 대한 고찰 7 1. 언어 이미지의 개념 7 2.언어적 착시에 관한 디자인 사례 16 B. 문화사회적 관점의 이해 24 1. 문화사회학으로 본 집합적 기억 28 2. 문화사회학으로 해석한 일상생활의 사회학 38 Ⅲ. 언어 이미지를 위한 개념미술의 방법적 특성 44 A. 개념미술의 방법적 특성의 이해 44 1. 개념미술의 이해 44 2. 개념미술의 방법적 특성을 통해 본 개념 디자인의 방법 48 Ⅳ. 언어적 착시를 바탕으로 한 작품 전개 63 A. 작품제작 의도 및 표현 방법 63 1. 작품 제작 의도 및 의의 63 2. 작품의 표현 방법 65 B. 작품 제작 66 Ⅴ. 결론 112 참고문헌 114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396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일상에서의 '언어적 착시'에 따른 실험 디자인 개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spect of design study of ‘linguistic optical illusion‘ in daily life-
dc.creator.othernameLEE, Kyung Eun-
dc.format.pageix,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