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경-
dc.contributor.author김지혜-
dc.creator김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5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5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517-
dc.description.abstract우리의 식생활에 필요한 요소인 식기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를 갖는다. 그와 더불어 차 문화도 우리의 식생활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식사의 형태에 따라 식기의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여 지듯, 차 도구역시 종류와 형태의 다양성을 갖게 된다.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는 차도구의 사용과 사용 후 보관방법에 대하여 생각하였을 때 적재를 떠올리게 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차를 마시는 기능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적재를 통하여 미적기능을 갖는 조형물을 만들어보고자 하였다. 주전자, 잔 , 합, 접시 등 차 도구를 쌓은 형태를 통하여 차도구로 보이지 않는 다른 형태를 만들어 보고 싶었다. 그러한 형태를 게슈탈트이론에서 찾았고 차도구와 적재 그리고 게슈탈트이론을 통하여 차도구로서의 기능과 미적기능을 갖는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 게슈탈트이론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접근하였다. 게슈탈트이론을 적절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게슈탈트이론의 개념과 원리를 정리하였고, 그 중 '루빈의 잔'을 모티브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필자는 '루빈의 잔'처럼 전경(前景)과 배경(背景)의 공간형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를 설정하였다. 복잡하지 않고 간결한 형태를 통하여 게슈탈트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고, 우리나라 전통 도자기의 형태에서 그 이미지를 찾았다. 그리고 음료에 따라 달라지는 차 도구에 대하여 개념을 정리하였다. 필자는 우리 주위에 늘 보이는 도자기 이미지가 게슈탈트 형상을 보여주는 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그 중 병, 항아리 이미지를 중심으로 찾았고 눈에 보이는 형태를 배제하고, 형태의 배경(背景)에 초점을 두어 새로운 형태로 설정하였다. 그 이미지를 알맞게 나누어 주전자, 컵, 잔, 합, 접시 등으로 다자인 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모든 작품을 석고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성형기법을 사용하였다. 도자기의 매끄럽고 아름다운 곡선을 표현하기 위하여 전 작품을 제형기를 활용하여 원형을 만들었다. 몇몇 작품의 접시는 솔리드케스팅을 하여 압력주입 성형기법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작품은 배출기법을 사용하였다. 태토는 자기질 점토를 사용했으며 작품 5번과 10번에는 안료를 사용하여 게슈탈트 원리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식기로 사용되어지는 기능뿐만 아니라 적재를 통하여 사용 후 식기를 보관함에 있어서 장식성을 갖는 제품디자인을 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내용을 정리하여보면 차 도구를 만드는 데 있어 수납에 중점을 두었고, 그 한 가지 방법으로 적재를 적용하였다. 무차별적인 적재가 아닌 적재를 통하여 장식성을 갖는 또 다른 형태를 만들어내었고 게슈탈트이론을 통하여 사용의 기능과 장식의 기능을 갖는 차 도구를 만들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게 된 결론은 필자가 앞으로 게슈탈트이론을 심화하여 작품을 만드는데 있어 다양한 영역의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과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제품 디자인을 했을 때 실용적 기능과 장식적 기능을 갖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차 도구가 식기제품을 만드는 데 있어 기능에 중점을 둔 디자인뿐만 아니라, 사용 후 보관이 용이한 디자인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디자인이 자신만의 독특한 것을 찾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이라 생각한다.;Tableware, a necessary element to our dietary life, has a variety of kinds and shapes. With them, tea culture is also inseparable from our dietary life. As the kinds and shapes of meal become varied based on types of meals, When considering about its unique characteristic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use of tea utensil and way of keeping, 'carriage' came up to my mind. This research aims to produce a sculpture which possesses aesthetic functions through carriage as well as a function drinking a cup of tea. By stacking a tea sets including kettles, cups, brass vessels and plates, I want to create totally different form which is not to be seen as the tea utensil, and I have discovered such shape in Gestalt theory. Given the fact that a combination of tea utensil, way of carriage and the theory, enable us to begin this research, which can create a new product with its original and aesthetic functions as tea utensil. First of all, this research examined Gestalt theory. To properly apply Gestalt theory to the creation, I not only reconfirmed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the theory, but also picked up an image of 'Rubin's cup' as a motif for the research. Hence, I, as a researcher, set up an image which everyone can easily discover spatial forms of the front and background view like the cup. This is because the Gestalt principle can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its uncomplicated and simple shape. To this end, I found out the similar image in the shape of a Korean traditional ceramics. Then, I arranged concepts of tea utensil varying according to beverage. This research assumes that images of ceramics around us are appropriate to show the Gestalt's shape. Against this backdrop, I tried to look for an image of a bottle or a jar for the foreground; I set it up as a new shape by excluding the visible shape and focusing on its background . And we designed properly divided images into the new forms of utensils (e.g.a kettle, a cup, a brass vessel, a plate, etc.). This research adopted a casting - a shaping method of slop casting with a gypsum mould to create all works. To express a smooth, beautiful line of ceramics, I made a prototype for all works with a manufacturing machine. Some plates were produced by a pressure injection with solid casting. And the rest of works were created by an ejection method. I used porcelain clay, and used pigment for Works no. 5 and no. 10, in order to express the Gastalt principle. This research tried to create a product with a function of decoration when they are stored, through a carriage as well as a function of tableware. The followings are the main points that this research has made. First, I focused on its storage when making tea utensils. As an example, I applied a carriage to the production. Second, I created another shape with ornamentation through a non-random carriage. Finally, I created tea utensil with the functions of use and ornamentation, based on Gestalt theory. In conclusion,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create works through the intensified application of Gestalt theory to various fields, and through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it will contribute to designing products with practical and ornamental functions. Further, the creation of the above type of tea utensil will contribute to the devising of the designs including method of storing tableware as well as a after its use. Finally, such design will be one alternative for people who seek their own unique tas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내용 2 Ⅱ. 이론적 배경 3 A. 게슈탈트이론의 개념 및 원리 3 B. 차에 대한 정의와 차 도구 분류 9 Ⅲ. 적재(積載)와 게슈탈트이론의 적용 19 Ⅳ.작품제작 및 해설 22 A. 작품디자인 과정 22 B. 작품제작 방법 및 해설 45 Ⅴ. 결론 68 참고문헌 69 ABSTRACT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680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적재(積載)를 활용한 차 도구 제작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게슈탈트(Gestalt) 이론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ea Utensil Production to which Carriage is Applied:Gestalt Theory-
dc.creator.othernameKim, Ji-hye-
dc.format.page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