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치료적 음악감상이 연부조직 변성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Title
치료적 음악감상이 연부조직 변성에 의한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alidity of music therapy as a pain-relieving tool will be tested by the experiment in which subjects listen to relaxing music
Authors
김수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인용
Abstract
최근 사회의 변화에 따라 질병양상은 급성, 감염성 질환보다 만성 질환의 유병율이 높아졌고 특히 근골격계 질환 유병율이 급증하였다.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은 만성 통증으로 인해 오랫동안 지속적인 신체, 정서, 행동에 불편을 겪게 되지만 이에 따른 효과적인 통증치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 질환 만성통증환자의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적 음악 감상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객관적·주관적 통증 척도에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통증 수준이 낮아졌을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 감상을 제공받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통증수준 변화 차이를 비교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수도권에 소재한 J한의원 4개 분원에서 연부조직변성에 의한 근골격계 환자 240명에게 단일회기로 실험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실험에서 조사된 선호곡 122곡을 치료적 요소가 포함된 42곡으로 간추린 후, 치료적 요소를 숫자로 환산한 총점이 40점 이상 되는 12곡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 2~3명 그룹에게 20분씩 치료사의 연주로 제공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침 치료만 제공하였다. 두 집단 모두 침 치료 전·후에, 세 가지 척도검사를 통해 양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객관적 통증척도로 혈압과 맥박을 측정하였으며, 주관적 통증척도로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검사를 하였다. 집단 간 동질성 검정을 위해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고,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으며, 통증 수준 동질성은 SPSS/win 12.0으로 검정하였다. 가설 검증은 실험 전후, 집단 간, 통증 차이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집단 간 동질성 변화 확인을 위해 Pearson’s Correlation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집단 간 사전, 사후 통증 수치 변화에 대한 검정에서 실험집단은 혈압 t=3.305, 맥박 t=9.162, VAS t=10.926이므로 실험 전·후 수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반면에 통제집단은 혈압 t=-1.156, 맥박 t=-.674, VAS t=.217이므로 전후 수치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두 집단은 사전 Levene의 등분산 검정 및 t검정 결과 동질한 집단으로 나타났으나, 음악 감상을 한 실험집단은 수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통제집단은 변화가 없었으므로(*p<.05 **p<.01), 음악 감상 중재로 인해 두 집단은 통증수준에 동질성을 잃고 서로 다른 집단이 되었다. 그러므로 감상을 시행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증수치가 더 낮아질 것이라는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또 척도 간 상관관계 검정에서 실험집단의 혈압변화량과 통증변화량은 .246, 맥박변화량과 통증변화량은 .338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제집단 역시 혈압변화량과 통증변화량에 .625, 맥박변화량과 통증변화량에서 .680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즉 두 집단의 객관적 척도와 주관적 척도 수치 간에 정의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으므로 가설 2도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일 척도의 측정으로 다른 척도의 수준을 추측 가능하게 하며, 치료적 음악 감상이 만성통증을 가진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에게 생리적 이완과 정서적 안정을 제공함으로써 통증 완화에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음악 감상 치료가 통증 관리를 위한 다양한 임상현장에서 더욱 폭 넓게 도입될 수 있음을 제언하는 바이다.;In modern societies, chronic diseases are prevalent but acute infectious diseases are on the decrease due to the constant change of lifestyle and population structure. Joint diseases are one of the most common ailments and people with those troubles suffer from the pain continuous and hard to remove. However, there are few therapies available to alleviate these pains.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music therapy as a pain-relieving tool will be tested by the experiment in which subjects listen to relaxing music.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iental medicine clinic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Korea, and the 240 subjects were suffering from chronic pain and being treated with acupuncture. During the treatment,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listening to relaxing music as an independent variable. Both groups were asked to mark VAS as a subjective pain scale and to have their pulse rate and blood pressure measured as an objective pain scale.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s a single-session and during the 20-minute-acupuncture treatment, each experimental group(composed of 1 to 3 members) listened to 10 to 12 relaxation music played from a synthesizer by music therapists, and each control group was given no music treatment except acupuncture treatment itself. To verify homogeneity of each group,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calculated by a real number and percentage and analyzed by chi-square test. Pain-scale comparison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music therapy was analyzed by SPSS/win 12.0, and correlation between each figure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Difference in figures of each group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alyzed to identify changes in homogeneity between each group. To sum up experiments, as an objective pain scale of both group changed, so did a subjective pain scale of both group after bo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refore identifying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subjective and objective pain-scale(*p<0.05 **p<0.01). Secondly,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changes in VAS(objective pain scale), maximum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after music therap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music therapy (*p<0.05 **p<0.01). Third, both group represent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ximum blood pressure and subjective pain and between pulse-rate and subjective pain (p<.01). This paper identifi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pain, and verified listening to relaxing music can be effective to patients with chronic pain who are suffering from joint ailments. This suggests that listening to relaxing music as a way of music therapy can be of help in relieving pain and that music therapy can be used as a treatment method in much more medical and clinical trea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