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원-
dc.contributor.author강은영-
dc.creator강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1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5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57-
dc.description.abstract영재교육은 영재학생들의 특성을 개발시킬 수 있는 학습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반성적 사고를 통해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는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영재특성 중에서도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사고력의 개발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사고력의 개발시키는 문제만들기 활동과 동료를 통해 반성적 사고를 하는 동료평가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이것들이 영재학생의 어떤 일반적 영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영재반학생들이 만든 문제와 이를 토대로 동료평가한 내용에서 변화된 점들을 찾고, 일반적 영재특성과 연관 지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영재반학생들이 문제만들기와 동료평가 진행과정에서 갖는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진행을 위해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중등과학과정을 이수할 한반(20명)을 섭외하였다. 매 수업일마다 문제만들기 과제를 부여하였고, 만들어진 문제로 동료평가를 진행하였다. 메일을 통하여 과제물과 평가내용을 주고받았다. 이렇게 얻어진 문제만들기 과제와 동료평가 내용을 심층분석 하기위해 면담참여자를 모집하였다. 면담은 20명의 연구 참여자 중 모둠면담 5명과 개인면담 2명의 참여자를 모집하여 진행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문제만들기 과제, 동료평가 내용, 면담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문제만들기 과제와 동료평가는 중등과학 영재반학생들에게 다음의 일반적 영재특성에서 변화를 보였다. 과학영역에 대한 지적탐구 호기심과 반복적인 과학적 개념 언어화 능력이 향상되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보다 쉽게 산출해 내고 조직하는 모습도 보였다. 무엇보다 많은 자료를 재구성하고 다양한 답안을 통해 융통적이고 개방적인 사고를 넓혔다. 좋지 않은 평가가 주어질 때에도 반성적 사고를 통하여 자기발전을 위해 노력하였고, 동료에게 쉽게 표현 못했던 비판적인 평가 내용을 표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가능성을 보았을 뿐, 직접적인 근거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둘째, 중등과학 영재반학생들의 대부분이 인식한 것은 문제만들기 과제와 동료평가에 대해 과학지식 정리와 기억력 향상이었다. 특히 과학영역에서 문제를 만들 때, 실생활에서 과학원리를 많이 찾아보았던 만큼 효과가 높을 것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밖에 과학학습을 완벽하게 하여 문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으로 그림이 함께 있는 전문자료와 교사의 설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문제는 수업내용을 되새겨 볼 수 있는 문제로 과학습에 도움이 되는 문제가 좋은 문제로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만들기 과제와 동료평가는 중등과학 영재반학생들의 일반적 영재특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많은 가능성을 보였다. 영재반학생들이 많은 자료를 찾을 수 있고, 서로의 아이디어를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해주고, 평가 시 익명성을 보장해 준다면 새로운 아이디어와 다양한 사고방식을 통해 일반적 영재특성을 개발되어지는 변화를 확실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등과학 영재반학생들은 문제만들기 과제와 동료평가에 대해 가장 큰 효과를 복습으로 인한 과학지식 정리와 기억력 향상으로 인식하였다. 학생들의 문제만들기 과제 완성도를 높이고, 효과를 학생들에게 주지시키며, 정밀한 자료와 함께 교사의 평가가 함께 주어진다면 문제만들기 과제와 동료평가의 긍정적인 효과를 인식하고 자신의 학습방법으로까지 사용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문제만들기 과제와 동료평가는 중등과학 영재반학생들의 일반적 영재특성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과학에 재능을 보이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자료로 이용되기에 충분하다. 특히 과제처럼 충분한 시간 속에서 할 수 있어야 영재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properties of gifted students, and requires assessment methods to expand thinking skill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Especially, it lays stress on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skill and creative thinking.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problem-posing activity for developing problem-solving skill and creative thinking, and peer assessment for reflective thinking through peers. Furthermore, it analyzed how they influence general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To begin with, changes in peer assessment on problems posed by gifted students were discovered and a correlation between those chang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was analyzed. Then, cognition of gifted students during the problem-posing activity and peer assessment was identified.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a class(consisting of 20 students) who is going to complete secondary science courses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affiliated with an university for gifted students. Students were asked to pose problems every class and to assess peers, based on problems posed. Then, they exchanged tasks and assessments through e-mails. Lastly, interview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o analyze problem-posing activities and peer assessments in depth. After conducting a group interview with 5 students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2 students and analyzing problem-posing tasks, peer assessments and interview materials, the following results were extracted. First, the problem-posing activity and peer assessment showed lots of possibilities of positively shift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In general, students' curiosities for an intellectual inquiry into science and abilities to verbalize repeated scientific concepts were highly improved. Students also came out with and organized new ideas, more easily. Above all, they could reconstitute a lot of materials and widen ways of thinking in a flexible and open way by themselves using a variety of answers. Even when they were unfavorably assessed, they tried to develop themselves with reflective thinking. Moreover, they didn't hesitate to express critical assessments that weren't easy to tell peers. However, there was no direct basis for that but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problem-solving skills. Second, science-gifted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recognized that review is the biggest effect of the problem-posing activity and peer assessment. Especially, they expected that these activities would be very effective for science studies. In addition, students became interested in them over time, although they felt anxious, at first. They got rid of anxiety using professional materials with paintings and needed teacher's explanations. They also considered principles, reasons and application importantly and resolved themselves to do harder, when assessed to try more by peers. Normally, students thought that problems to help them review what they learned, are goo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posing activity and peer assessment showed lots of possibilities of positively shift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If gifted students are able to find many resources, are given an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able to share their ideas together, and given the anonymity when they are evaluated, we are able to see for sure that the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through new ideas and various ways of thinking will be developed. Second, science-gifted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recognized that review is the biggest effect of the problem-posing activity and peer assessment. If the problem-making assignment given to the gifted students improves in its percentage of completion, the effects are known to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who teach them are also evaluated with precise data, they are able to recognize the positive effects of both the problem-making assignment and colleague evaluation and even use their own way of learning as wel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blem-posing activity and peer assessment have high possibilities of improving general features of science-gifted students. Accordingly, it appears that they are enough to be used for science-gifted students as effective learning materials. Particularly, teachers need to know that students are able to express their talents, only when there is enough time to do those activ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2 C. 연구 제한점 3 II. 이론적 배경 4 A. 과학영재 4 B. 문제만들기 6 C. 동료평가의 정의 및 효과 8 III. 연구방법 11 A. 연구 참여자 11 B. 연구 절차 12 C. 자료 수집 14 D. 자료 분석 18 IV. 연구결과 20 A. 문제만들기와 동료평가가 일반적 영재특성에 미치는 효과 20 B. 문제만들기와 동료평가에서 학생들이 갖는 인식 31 V. 결론 및 제언 39 참고문헌 41 부록 44 ABSTRACT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54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문제만들기 과제와 동료평가가 중등과학 영재반학생들의 일반적 영재특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mpact of Problem-Posing Activity and Peer Assessment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dc.creator.othernameKang, Eun-Young-
dc.format.pageix,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