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민-
dc.contributor.author박지연-
dc.creator박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0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5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02-
dc.description.abstract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following purposes: first, to analyze the Africa units in the Geography textbooks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and identify implications for the reorganization of lesson content for future; second, to investigate the incumbent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frica units in the Geography textbooks and identify the limitations with the old geography lessons and plans to reorganize geography lessons for future; and finally, to reorganize lessons about the African cities and populations units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and examine changes to the formation of values and attitudes regarding Africa.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Africa and Europe units in the textbooks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and analyzed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m and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m. The units about population and cities were reorganized and then applied to lessons in order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diverse balanced material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 analysis results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offer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e textbooks were written from a colonial perspective, and there was a "dichotomous image" between Africa and Europe according to their comparison results. That i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lonial descriptions and visual materials apparent in the Africa units may fixate the students' related prejudices. Thus both the teachers and students need to try to read textbooks critically with the former providing the latter with balanced materials so that they will not reproduce biased knowledge. Second, the teachers were well aware of the problems with the biased knowledge provided by the Africa units but resorted to the textbook materials for lessons. Thus it is essential for them to arm themselves with implementation knowledge to improve the situation. It is also required for them to study implementa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directions of various methodologies in geography education and to connect it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y also need to present Africa's changes and growth through balanced materials and the latest data and help the students increase their critical literacy as to how damage and transformation happen in the process instead of focusing on results. Finally, the students changed their values and attitudes toward Africa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reorganized units about African populations and cities. Unlike the conventional units about cities and population that were organized around the developed nations and accelerated biased prejudices, the reorganized lessons showed the students the growth potential of Africa through balanced materials and helped them discard their essentialist perspective about Africa and realize their unconscious errors and prejudices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The students also understood that various understandings of other regions could follow, enhancing the idea that knowledge can be approached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교과 내용에서의 아프리카 단원을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향후 수업내용 재구성에 있어 시사점을 밝힌다. 둘째, 지리 교과에서 아프리카 단원에 대한 현장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기존 지리수업의 한계점과 수업재구성의 방안에 대해 파악한다. 셋째,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아프리카의 도시․인구단원 수업을 재구성해보고, 아프리카에 대한 가치관 및 태도 형성의 변화 대해 파악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아프리카 및 유럽단원을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교사의 인식 분석 및 학습자의 반응 분석을 병행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균형적이고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인구․도시 단원을 재구성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탈식민주의 관점에 입각하여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교과서의 서술방식이 식민주의 관점에서 쓰여 지고 있었으며, 아프리카 단원과 유럽단원의 비교를 통해 ‘이분법적 이미지’가 창출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아프리카 단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식민주의적인 서술과 시각자료들이 학습자의 편견을 고착화 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들은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읽는 작업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편향된 지식을 재생산 하지 않도록 균형적인 자료제시가 이루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아프리카 단원의 편향된 지식의 문제점을 스스로가 인지하고 있었고, 단지 수업이 교과서 자료에 의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사의 실행지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지리교육의 다양한 방법론의 적용 방향에 따른 실행지식을 연구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같이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균형적인 자료 제시와 최신자료를 통한 아프리카의 변화 발전의 모습을 제시하여, 결과에 초점을 두는 교육이 아니라 과정에서 어떻게 손상되고 변형되는지에 대한 비판적 문해력을 학습자가 함양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셋째, 재구성한 아프리카의 도시․인구 단원에서 학습자의 아프리카에 대한 학생들의 가치․태도의 변화를 살펴 볼 수 있었다. 또한 기존 도시․인구 단원의 교과 내용이 선진국 위주로 편성 되어 고정된 편견을 가속화 시켰지만 재구성된 본 수업을 통하여 균형적인 자료 제시와 함께 아프리카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여, 아프리카에 대한 본질 주의적 시각에서 탈피할 수 있었으며, 탈식민주의 관점을 통해 무의식적인 오류와 편견을 감지할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다른 지역에 대한 다양한 이해가 동반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으며,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지식을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을 함양시켰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7 A. 세계시민 교육 7 B. 지리교육의 탈식민주의 관점 11 Ⅲ.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아프리카 내용의 재구성 논의 16 A. 교과서의 아프리카 단원 분석 및 시사점 도출 16 B. 아프리카에 대한 현장 교사 인식 33 Ⅳ. 재구성된 아프리카 내용을 위한 수업 설계 및 적용 36 A.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재구성한 구성주의적 수업 설계 36 B. 수업 결과 분석 43 Ⅴ. 결론 및 제언 58 참고문헌 61 부록 65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853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등 세계지리교육에서 탈식민주의 관점의 적용과 수업 재구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아프리카 단원을 사례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 Post-Colonial Perspective and Lesson Reorganization in Secondary World Geography Education : A case of the Africa units-
dc.creator.othernamePark, Ji Yeon-
dc.format.pagevi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