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6 Download: 0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조음복잡성에 따른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 및 비유창성 특성

Title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조음복잡성에 따른 비단어 따라말하기 수행 및 비유창성 특성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Nonword Repetition Performance and Disfluency in Preschool-age Children Who Stutter according to Phonological Complexity
Authors
안영순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심현섭
Abstract
말더듬은 언어 습득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후에야 발생하는 말장애이다. 말더듬 아동이 다른 언어 장애와 달리 언어 습득 측면에서 어려움을 나타내는 경우는 일부 중복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언어발달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유창한 말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말더듬 아동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일반 아동과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져 왔다. 그중에서도 말더듬이 말장애라는 점에서 말더듬 아동의 음운 처리 능력에 대한 관심은 최근 Oyoun 외(2010) 연구에까지 이어져 왔다. 음운 처리 능력은 대부분 비단어 따라말하기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말더듬과 관련하여 음운론적 특징으로 조음복잡성은 비유창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이 이은주․한진순․심현섭(2004)의 연구 결과 확인되었다. 이은주(2008)는 조음복잡성을 변인으로 하는 그림이름대기과제를 이용한 후속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음복잡성이 말더듬 아동에게 끼치는 영향을 더 면밀하게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어휘 지식이나 문화적 배경과 같은 언어적 문화적 조건을 통제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비단어 따라말하기는 어휘적 배경지식과 문화적 영향을 통제할 수 있으므로 조음복잡성의 영향을 더 객관적이고 심층적으로 측정해 준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조음복잡성을 비단어 과제에 적용함으로써 말더듬 아동의 말 산출에 주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조음복잡성에 따른 비단어 따라말하기를 이용하여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수행 차이를 통해 말더듬 아동의 음운 작업 기억 능력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말더듬 아동 선별 검사로서의 가능성을 예측해 본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유창성을 증진시키는 기존의 말더듬 치료법에서 조음복잡성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알아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국 본 연구는 초기 말더듬 아동들의 조음복잡성에 따른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의 수행 특성을 파악하여 아동의 비유창성을 촉발시키는 원인과 심화시키는 요소를 추론해 봄으로써 말더듬 아동의 평가와 중재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0∼6;9세인 말더듬 아동 23명과 성별과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23명씩 총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아동에게 실험 과제 이외에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김영태 외, 2009) 및 우리말 조음․음운 평가(U-TAP, 김영태․신문자, 2004)를 실시하여 집단 간 언어 능력 및 조음 능력을 통제하였다. 말더듬 아동의 경우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Ⅱ(P-FA-Ⅱ, 심현섭·신문자·이은주, 2010)로 말더듬 유무를 판단하였다. 두 집단이 조음복잡성에 따른 비단어 따라말하기 정반응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말더듬 아동 집단 내에서 조음복잡성에 따른 정상적 비유창성과 비정상적 비유창성의 빈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반복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 아동집단과 일반 아동집단 간 비단어 따라말하기의 정반응율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조음복잡성 정도(고/저)에 따른 정반응율 역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집단과 조음복잡성 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말더듬 아동집단 내에서 조음복잡성 정도에 따라 비유창성 빈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비유창성의 두 가지 유형 중 비정상적 비유창성이 정상적 비유창성에 비해 뚜렷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조음복잡성과 비유창성 유형의 상호작용 역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셋째, 말더듬 아동집단 내에서 비유창성의 세부 유형별 빈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고와 저 조음복잡성 조건 모두에서 비정상적 비유창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비운율적 발성과 반복2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말더듬 아동이 비단어 과제 수행에서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정반응율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음운 작업 기억 능력에서 일반 아동과의 차이를 추론할 수 있다. 조음복잡성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를 통해 말더듬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음운복잡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조음복잡성에 따라 집단 간 수행의 차이가 있다는 것은 조음복잡성이 비교적 말더듬 아동을 효과적으로 변별해 줄 수 있는 변인으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반영하였다.    말더듬 아동집단 내에서 조음복잡성과 비유창성에 관한 주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두 변인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조음복잡성이 질적, 양적인 측면 모두에서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음복잡성은 말더듬 아동의 평가 및 중재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인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nonword repetition performance between children who stutter(CWS) and children who do now stutter(CWNS) according to phonological complexity.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onword repetition ability between CWS and CWNS. Futherm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number and type of disfluencies in the CWS group according to phonological complexity. Twenty-three CWS and twenty-three CWNS between the age of 4;0 and 6;9 were identified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ies. A nonword repetition task of this study was adopted for this purpose. The task consisted of a total of sixty nonwords. These nonword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phonological complexity(low and high). The children's verbal responses to the nonword responses were analysed in the aspect of quantity.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to measure the rate of correct responses. And CWS's responses were analysed in the frequency and types of disfluencies. The statistics methods of two-way mixed ANOVA and two-way repeated ANOVA were adopted to this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onological accuracy between CWS and CWNS was found. Phonological accuracy depending on the level of phonological complex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groups and phonological complexity. (b) CWS were more likely to stutter on phonologically high complex nonwords than on low complex nonwords. (c) There were more abnormal disfluencies in the CWS group during the task performance.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nonword repetition task according to phonological complexity could be a sensitive tool to differentiate CWS from CWNS. And CWS's stuttering is influenced by the phonological complexity. Therefore, the phonological complexity is a variable that measures characteristics of CWS‘s phonological working memory and disfluen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