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현섭-
dc.contributor.author김우정-
dc.creator김우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6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4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67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anxiety and communication attitude between school-age children who stutter(CWS) and normal children, and a characteristics of anxiety and communication attitud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tutter. Participants were 36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7 and 13 who stutter, their mothers and 36 normal children with age and sex matched. The tool used are TAI-C(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Communication Attitude Test for children, and TAI(Trait Anxiety Inventory) for mothers who stutters. SPSS 20 for Windows was used for data analysis. A t-test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differences of two groups on anxiety scores and communication attitude scores.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study the difference of groups on anxiety and attitude according to stuttering severity. Person's simple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to assess the relatonship between the anxiety, communication attitude, stuttering severity and mother's anxiety of group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nxiety scores and communication attitude scores were observed among the groups(CWS and control group). CWS showed the higher scores the normal groups in anxiety and communication attitude. Second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anxiety scores and communication attitude scores were seen in stuttering severity in CWS. Thirdly, CWS anxiety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attitude scores and mother's anxiety scores. Results form this study indicated that CWS were more anxious and had more negative communication attitude than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ttering severity. And anxiety scores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communication attitude and mother's anxiety scores. The results support that anxiety tes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children with suttering disorder. And the emotion and attitude should be evaluated independently of the stuttering behavior.;본 연구에서는 만성적인 말더듬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는 학령초기 아동을 포함한 학령기 전체 말더듬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불안 연구를 통해 말더듬 아동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학령기라 할지라도 말더듬 아동의 양육자인 어머니의 정서 및 양육태도는 아동의 치료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므로, 말더듬 아동의 정서적인 부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불안과 아동의 불안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말더듬 아동과 부모를 상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불안 및 의사소통태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아동용 특성불안척도(Spielberger, 1973; 조수철․ 최진숙, 1989)를 사용하여 학령기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불안 점수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의사소통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인『파라다이스 유창성검사Ⅱ』(심현섭․신문자․이은주, 2010)의 초등학생용 의사소통태도 검사를 사용하여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의사소통태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정도(약함, 중간, 심함)에 따라 불안점수 및 의사소통태도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고, 말더듬 아동의 불안점수, 말더듬 정도, 의사소통태도점수, 어머니 불안 점수 사이에 상관을 봄으로써 말더듬 아동의 불안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학령기 말더듬 아동(약함 12명, 중간 12명, 심함 12명)과 일반 아동 각 36명씩, 총 72명과 말더듬 아동 어머니 36명이다. 모든 아동에게 아동용 특성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을 평가하였고, 『파라다이스 유창성검사Ⅱ』(심현섭․신문자․이은주, 2010)의 초등학생용 의사소통태도 검사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태도를 평가 하였고, 성인용 특성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말더듬 아동 어머니의 불안을 평가하였다. 말더듬 아동 집단의 경우 말더듬 정도의 평가를 위해서 󰡔파라다이스 유창성검사󰡕의 필수과제를 실시하였다. 말더듬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 불안점수와 의사소통태도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정도에 따른 불안점수 및 의사소통태도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말더듬 아동의 불안 점수, 말더듬 정도, 의사소통태도점수, 어머니 불안 점수 간 피어슨 단순적률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불안점수 및 의사소통태도가 높았다. 둘째,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정도(약함, 중간, 심함)에 따라 불안점수 및 의사소통태도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말더듬 아동의 불안점수는 의사소통태도 점수 및 어머니의 불안 점수와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 불안점수와 말더듬 정도와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말더듬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 집단에 비해 불안 점수가 더 높으며, 의사소통태도가 더 부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정도에 따라 불안점수 및 의사소통태도점수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말더듬 정도와 감정 태도와는 독립적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말더듬 아동의 불안점수와 의사소통태도 간의 정적 상관이 있고, 말더듬 아동의 불안점수와 어머니의 불안 점수 간에 낮은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 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6 C.용어정의 7 II.이론적 배경 9 A.말더듬 성인 및 아동 불안 연구 9 B.말더듬 아동의 의사소통태도 연구 12 C.말더듬 정도와 불안 및 의사소통태도와의 관계 13 D.아동의 불안과 부모와의 관계 및 말더듬 아동 부모의 특성 16 III.연구방법 20 A.연구대상 20 B.검사 도구 21 C.연구절차 23 D.자료분석 방법 24 E.자료의 통계적 처리 25 IV.연구 결과 26 A.학령기 말더듬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 불안점수 및 의사소통 태도 점수 비교 26 1.말더듬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 불안 점수 비교 26 2.말더듬 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의사소통태도 점수 비교 27 B.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정도(약함,중간,심함)에 따른 불안 점수 및 의사소통태도 점수 비교 28 1.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정도에 따른 불안 점수 비교 28 2.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정도에 따른 의사소통태도 점수 비교 29 C.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불안점수,말더듬 정도,의사소통태도점수,어머니 불안점수 간의 상관 31 V.결론 및 논의 33 A.결론 및 논의 33 B.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37 참 고 문 헌 39 부 록 46 Abstract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95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학령기 말더듬 아동의 불안 및 의사소통태도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xiety and communication attitude in children who stutter-
dc.creator.othernameKim, Woo Jung-
dc.format.pagevii,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