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4 Download: 0

영어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학술지 논문 코퍼스에 나타난 결과 접속 부사 사용 비교

Title
영어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학술지 논문 코퍼스에 나타난 결과 접속 부사 사용 비교
Other Titles
Corpus-based analysis of the Korean EFL Learners’ use of result conjunctive adverbials in journal papers
Authors
구선화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학문적인 글쓰기는 학생들에게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진정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훌륭한 의사 소통 수단이다. 학문적인 글쓰기에서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작가는 이론이나 선행 연구의 결과 등을 토대로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표현한다. 따라서 작가의 의견이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언어학의 측면에서 학자들이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기 위하여 어떻게 언어를 사용하는지 분석하는 것은 좋은 연구 과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문적인 글에서 인과 관계를 표현하는 결과 접속 부사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코퍼스 연구를 통하여 영어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는데 코퍼스 크기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 50,000단어, 영어 원어민 학습자 50,000단어로 하였다. 2006년에서부터 2011년도까지 발행된 학술 논문을 코퍼스로 구성하였으며 영어 원어민의 코퍼스는 대학 교수 이상의 학자가 작성한 논문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코퍼스는 석사 과정이나 박사 과정의 학위 과정에 있는 대학원생이 단독으로 작성한 논문으로 구성하였다. 10개 접속 부사의 빈도수와 문장 내 위치를 기본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Wordsmith tools 어구색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개 결과 접속 부사의 총 빈도수는 영어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코퍼스에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선행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를 보고하는데 본 연구는 그 이유를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코퍼스가 다른 연구들과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한국인 코퍼스는 대학원생이 작성한 논문으로 구성된 반면 선행 연구의 한국인 코퍼스는 대학생이 작성한 에세이로 구성된 데서 기인한 차이로 해석하였다. 또한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은 모두 ‘therefore’와 ‘thus’를 다른 접속 부사에 비해 집중적으로 사용하였으며 빈도수가 낮은 접속 부사에서는 한국인 영어 사용자의 편중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영어 원어민에 비하여 접속 부사 ‘so’를 빈번하게 사용하였는데 본 연구는 그 원인을 두 가지로 해석하였다. 첫째로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영어에서의 문자 언어와 구두 언어의 체계 차이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며, 둘째로는 영어 교과서 등의 학습 자료에서 ‘so’를 빈번히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이 ‘so’의 과용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접속 부사를 문두에 사용하는 경향성이 강하였는데 한국인의 문두 선호 경향성은 모국어 ‘그래서, 그러므로’ 등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therefore’의 문중 세부 위치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이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으나 ‘thus’의 문중 세부 위치는 영어 원어민이 좀 더 다양한 구조에서 사용하였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넷째, 문두 위치에 사용된 접속 부사 뒤에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 모두 쉼표를 사용하였지만 문장의 구조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두 개의 절이 하나의 문장을 구성하는 구조에서 ‘thus’가 두 번째 절의 문두에 사용된 경우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thus’ 뒤에 쉼표를 생략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의 결과 접속 부사의 사용은 문장 내 위치, 쉼표의 사용, ‘so’의 사용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영어 원어민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보다 다양한 구조의 문장에서 ‘thus’를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Academic writing is an important device of communication because it gives genuine message to students in need of it. Academic writing is to express one’s idea or opinion based on the theory or result of research. It can be a good material for linguistics to analyze the language as device of communication. Analysis of how writers use language to express their ideas in academic writing is important in the field of linguistic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to analyze language use in academic writing. This study analyzed how to express causality, especially result conjunctive adverbials in research papers as academic writing. This study was to compare how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nglish learners use result conjunctive adverbial. Therefore, corpus-based analysis was chosen for the study. Corpus size was 50,000 words for Korean English learner corpus and another 50,000 words for English native speaker corpus. Papers from journal in English education field from 2006 to 2011 were chosen for each corpus. English native speaker corpus was composed of research from scholars. Korean English learner corpus was composed of research from graduate school students. To investigate frequency and position within a sentence, Wordsmith tools we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frequency of 10 result conjunctive adverbials was almost the same in English native corpus and Korean EFL learner corpus. This result was different from other research. This was because the kind of corpus was different from other research in that Korean English learner corpus was not from essay, but from research papers. Also English proficiency level of graduate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university students whose essays compose Korean corpus in other research. Both English native speaker and Korean English learner used ‘therefore’ and ‘thus’ more frequently than other result conjunctive adverbials. Korean English learners used the same conjunctive adverbials repeatedly especially in low frequency result conjunctive adverbials. Second, Korean English learners used ‘so’ more frequently than English native speakers did. This study explained the reason as two. Korean English learners can’t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written language system and spoken language system. Teaching materials like textbook can be the reason for Korean students’ overuse of ‘so’. Third, Korean English learners had a tendency to use result conjunctive adverbials in Initial position. This tendency was explained by Korea learners’ mother language‘keuraeseo, keurumeuro’. Korean English learners showed the similar result in the Medial position of ‘therefore’ and ‘thus. However, the position of ‘therefore’ and ‘thus’ in Medial position showed a different result in native English corpus. Native English speaker used ‘thus’ in diverse structure within Medial position. Fourth, comma was generally used with conjunctive adverbials in sentence initial position in native English and Korean English learner corpus. Furthermore, comma with ‘thus’ in initial position of second clause in a sentence was different between two corpus. Many Korean English learner omitted comma after ‘thus’ which is in initial position of second clause. All these results drawn from the research showed differences between conjunctive adverbial use of English native speaker and English native speaker in position in sentence, overuse of ‘so’ in Korean corpus, particular position in Medial position, and the usage of comma. However, this result is hard to be generalized as traits of Korean English learner because corpus size was not big enough and corpus field was limited to English education. In this sense, the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