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이유경-
dc.creator이유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4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84-
dc.description.abstract읽기는 많은 양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수용 능력으로서, 학생들의 독서 이력이 대학 진학에 반영될 정도로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읽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연구(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읽기 성취에서 최상위권 성적을 보고하는 반면, 읽기에 대한 흥미가 낮고 다른 국가 학생들에 비해 읽기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읽기 태도와 읽기 성취 간의 영향 관계를 보고하는 선행 연구들을 통해 볼 때, 읽기 태도는 읽기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 읽기 태도는 부모나 교사의 관심과 격려를 통해 긍정적으로 확립될 수 있으므로, 교사의 동기부여가 읽기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읽기 활동은 개인의 자발적인 의지와 학습전략이 뒷받침될 때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읽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적절한 읽기 전략을 구사하는 학습자가 그렇지 않은 학습자에 비해 높은 성취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기에 읽기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하나로 학습전략을 꼽을 수 있다. 1930-40년대에 읽기에서의 성별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었으나(Hogrebe, Mark, Sherrie Nist, & Isadore Newman, 1985), 이후 1960년대에 이르러 초등 여학생들의 읽기 능력이 남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상회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Gates, 1961). 이후의 연구들에서도 초등 수준에서 남녀 학생의 읽기 성취에서의 차이는 지속적으로 보고되었고, 1980년대에 이르러 중등 학교 학생들의 경우에도 읽기 능력에서의 남녀 간의 성차가 보고되었다(Ma, 2008).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 2009 데이터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읽기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전략, 읽기 태도, 교사의 동기부여를 선정하여 구조적이고 통합적인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각 잠재변수의 잠재평균 차이와 연구모형의 각 경로에서의 영향력 차이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학습전략(시연, 정교화, 초인지), 읽기 태도, 교사의 동기부여는 읽기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학습전략(시연, 정교화, 초인지), 읽기 태도, 교사의 동기부여, 읽기 성취에서 차이가 있는가? 3.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학습전략(시연, 정교화, 초인지), 읽기 태도, 교사의 동기부여가 읽기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PISA 2009에 참여한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데이터에서 결측치가 있는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484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이 중 남자는 2521명, 여자는 2326명이었다. 수집된 데이터가 구조방정식의 가정을 충족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SP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측정모형에 대한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AMOS를 사용하였으며,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읽기 성취 및 읽기 성취 영향 변수들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의 차이 및 경로계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잠재평균 분석 및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태도, 초인지의 순으로 읽기 성취에 영향을 미쳤고, 시연, 정교화, 교사의 동기부여는 읽기 성취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남학생을 참조집단으로 하여 잠재평균을 분석한 결과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읽기 태도, 초인지, 시연, 읽기 성취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연, 정교화, 초인지, 읽기 태도, 교사의 동기부여 및 읽기 성취에서의 경로계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을 소수에 국한하지 않고, 우리나라 만 15세 모집단의 특성을 보다 폭넓게 반영한 PISA 2009 데이터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그 결과의 일반화가 다소 확보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ading is a critical ability of receiving information contemporary society where a great deal of information is flooding on a real time basis. And its importance is highly focused throughout our society to the extent that reading portfolio of students is reflected in university admission criteria. According to the result of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reading achievements of Korean students are shown as one of the top level, whereas interests in reading is low and time for reading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nes in other countries. However,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achievements, I would claim that reading attitude should be considered as a main factor impacting reading achievement. Also, reading attitude can be established positively through cares and encouragement from parents and teachers, therefore teachers’ motivation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factors in reading achievement of student. Along with these above, reading activity can be more effective when learning strategy as well as willingness and initiatives of individual students are accompanied. Learners who proactively participate in reading activity and establish appropriate reading strategy show higher level of achievement than those who do not. Therefore, learning strategy can be one of the factors in reading achievement of student. Conventional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studies have focused on academic achievements and gender differences as on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which impact to academic achievements. These studies pointed out that female student showed higher level in reading sectors other than mathematics or science compared to the ones of male student.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students at 15 years old in Korea based on a reference of PISA 2009 data. I have selected factors that may impact to reading achievements; learning strategy, reading attitude and teachers motivation in order to examine systematic and integrated cause and effect and to find out latent means differences of each latent variables per each sex and to identify influential differences at each path of each research model.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learning strategies(rehearsal, elaboration, meta-cognition), reading attitude, teacher motivation have effect on reading achievement? 2. Is there an latent means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gender in terms of learning strategies(rehearsal, elaboration, meta-cognition), reading attitude, teacher motivation, reading achievement? 3. Is there an influence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gender in terms of learning strategies(rehearsal, elaboration, meta-cognition), reading attitude, teacher motivation, reading achievement? To mee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students' data at 15 years old in Korea based on a reference of PISA 2009 data were chosen. A total of 4847 students' data selected for this study. Among the 4847 respondents, 2521 students were boys, 2326 students were girls.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administrated. The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us were performed in a row using SPSS and AMOS. Also, latent means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see the latent means difference and the influence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gend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ading attitude and meta-cognition had effects on reading achievement significantly, and rehearsal, elaboration and teacher motiv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reading achievement. Second, latent means analysis(LMA) where boys were used as the reference group, girls showed higher latent mean values on the reading attitude, meta-cognition, rehearsal and reading achievement. Third, there was no influence difference based on students’ gender in terms of rehearsal, elaboration, meta-cognition, reading attitude, teacher motivation and reading achievement. This study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generalization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n a sense that this research is not limited to small group, but to use PISA 2009 data that reflected broadly features of students’ population at the age of 15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 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문제 4 C.용어의 정의 5 1.읽기 성취 5 2.학습 전략 5 3.읽기 태도 6 4.교사의 동기부여 6 Ⅱ.이론적 배경 7 A.읽기 성취 7 1.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읽기 성취 7 2.국제 학업성취도 비교연구(PISA)에서의 읽기 성취 9 B.읽기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2 1.학습 전략 12 가.시연 13 나.정교화 13 다.초인지 14 2.읽기 태도 14 3.교사의 동기부여 15 C.관련 선행 연구 17 1.학습 전략과 읽기 성취 17 2.읽기 태도와 읽기 성취 18 3.교사의 동기부여와 읽기 성취 20 4.읽기 성취에서의 성별 차이 21 Ⅲ.연구방법 25 A.연구대상 25 B.연구절차 26 1.선행연구 분석 26 2.결과 분석 27 C.측정도구 28 D.자료의 분석방법 31 Ⅳ.연구결과 36 A.측정변수간의 상호상관행렬 및 기술통계치 36 B.측정모형의 검증 39 C.구조모형의 검증 41 D.성별에 따른 구인동일성 검증 44 1.형태 동일성 검증 44 2.측정 동일성 검증 47 3.절편 동일성 검증 49 4.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비교 52 E.주요변인 간 경로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 56 Ⅳ.결론 및 논의 66 A.결론 및 논의 66 B.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75 참고문헌 77 부록 88 ABSTRACT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274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별에 따른 학습전략, 읽기 태도, 교사의 동기부여 및 읽기 성취 차이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ifference Analysis of Gender Among Learning Strategies, Reading Attitude, Teacher Motivation and Reading Achievement-
dc.creator.othernameLee, Yoo Kyung-
dc.format.pagex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