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명희-
dc.contributor.author유은조-
dc.creator유은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4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48-
dc.description.abstract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필두로 사이버 대학 등 다양한 형태의 국내 원격고등교육기관은 평생교육의 기회 확대라는 장점으로 인해 고등교육의 확산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상호작용의 감소, 정서적 유대감의 부재, 낮은 참여도, 중도탈락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교육의 질적 제고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 중 한 가지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것이 학습공동체의 활용이다. 학습공동체란 학습을 목적으로 여러 명의 학습자가 관련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학습자 모임으로, 학습공동체 내에서 학습자는 공동체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의미한 학습을 경험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학습공동체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학습 전, 학습 중, 학습 후의 통합적인 측면에서 학습공동체 운영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미미한 실정이다. 더 나아가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면대면과 온라인 학습공동체를 각각 분석하고 있을 뿐, 면대면과 온라인 학습이 혼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학습공동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형 학습공동체에 참가한 학습자가 인식하는 과제가치, 인지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선정된 변인들 간의 직·간접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혼합형 학습공동체 내 학습자가 인식하는 과제가치와 인지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은 성립하는가? 2. 혼합형 학습공동체 내 학습자가 인식하는 과제가치, 인지실재감, 학습성과 간에 유의미한 직·간접효과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국내 원격고등교육기관 중에서도 혼합형 학습공동체가 활발하게 운영 중인 B 대학교의 M학과 수강생 중 217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절차는 우선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을 한 후 AMOS를 사용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과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고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상정된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 1의 구조 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혼합형 학습공동체 내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과제가치와 인지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모형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문제 2의 변인 간의 직 ․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과제가치는 인지실재감과 학습성과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실재감 역시 학습성과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제가치가 학습성과에 인지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과제가치, 인지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통합된 구조모형으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는 통합 모형을 활용하여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를 적용한 학습의 전반적인 과정과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므로 학습의 총체적인 질적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특정 대학 내 혼합형 학습공동체에 참가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이 점을 유의하여야 하며 다른 상황에 일반화를 시도할 경우에는 매우 조심스러운 접근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는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연구의 일반화 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실행 측면을 고려하여 세 변인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확장시켜 다양한 학습자 특성 변인과 학습과정 변인을 추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혼합형 학습공동체 운영에서의 세부적인 지침이 더욱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성과 변인 역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외에도 학습전이나 학업성취도 등 다면적 평가를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A demand for Distance Learning is increasing because it is not constrained by space and time.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enrolling Distance learning courses. However, learners who are enrolled in the program are likely to be isolated and interaction will be limited. As a result, learners would participate less in the course and there is a high wastage rate of students. To solve this problem, providing a learning community can be suggested. Under a learning community students actively interact with others and share their own knowledge. Thus, they could experience meaningful learning.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effective management in an integrated view. According to a prior study, perceived task value is one of the factors that directly and strongly affects learning outcomes. For exampl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can be one of them. In addition, cognitive presence strongly affects learning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ructural model that explains learning outcomes focused on task value, cognitive presence and to examine the effects among these variables in a blended learning community.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Does the proposed model include perceived task value,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2. Are ther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perceived task value,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To m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a distance learning University was chosen and an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1. Instruments for measuring task value, cognitive presence, learning outcomes were adopted from the previous existing studies.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seven weeks of a semester and 217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llow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Lastly,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indirect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st, results from the SEM were found to support the proposed model. Second, the task value had a direc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Cognitive presence also directly affected learning outcomes. Thir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ndirect effects of variables. As a result, task value indirectly affected learning outco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specific responses, so more participants would need to be include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 other variables, not used in this study, need to be conducted for future studies. Third, it is expected that quantitative research with qualitative research would derive more in-depth resul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II. 이론적 배경 7 A. 혼합형 학습공동체 7 B. 학습성과 9 1. 학습만족도 9 2. 학습지속의지 10 C. 과제가치 11 D. 인지실재감 13 1. 실재감 13 2. 인지실재감 18 E. 관련 선행연구 21 1. 과제가치와 인지실재감 간의 관계 21 2. 과제가치와 학습성과 간의 관계 22 3. 인지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26 F. 연구가설 29 1. 모형검증 29 2. 직접효과 검증 29 3. 간접효과 검증 30 III. 연구방법 31 A. 연구대상 31 B. 연구도구 34 1. 과제가치 측정도구 35 2. 인지실재감 측정도구 35 3. 학습성과 측정도구 36 C.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37 1. 인지실재감 37 2. 학습성과 38 D. 연구절차 41 E. 자료 분석방법 41 IV. 연구결과 44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44 1. 기술통계분석 결과 44 2. 상관분석 결과 45 B. 측정모형 검증 46 1.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47 2. 측정모형의 타당도 검증 48 C. 구조모형 검증 50 D. 간접효과 검증 53 V. 결론 및 제언 55 A. 결론 55 B. 시사점 58 C.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60 참 고 문 헌 62 부 록 73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24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혼합형 학습공동체 구성원이 인식하는 과제가치, 인지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ers' Task Value, Cognitive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 in a Blended Learning Community-
dc.creator.othernameYoo, Eun Jo-
dc.format.pagevi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