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4 Download: 0

여대생의 출생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

Title
여대생의 출생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and Differentiation of Self of Female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hild-Reaing Attitude of Mother
Authors
문예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방희정
Abstract
본 연구는 여대생의 형제지위가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여대생의 출생 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를 중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제석봉(1989)이 제작한 자아분화 척도와 Parker의 부모-자녀 결합 형태검사지(PBI: Parental Bonding Inventory)이다. PBI는 송지영(1992)이 번안하여 표준화하고 문경주, 오경자(2002)가 수정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여대에 재학 중인 543명이었으며, 자료는 SPSS 12.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 지각된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 자아분화는 출생 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맏이가 둘째보다 어머니를 유의하게 더 애정적이라고 지각하였으며, 둘째는 맏이보다 어머니를 유의하게 더 통제적이라고 지각하였다. 또한 맏이가 둘째보다 더 자아분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삼원분산분석 결과, 출생 순위와 형제간 연령차의 이원 상호작용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출생 순위와 형제 연령차는 각각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서로 상호작용하여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주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형제간 연령차가 5세 이상인 경우에만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를 지각함에 있어 출생 순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둘째가 맏이보다 어머니를 더 애정적으로 지각하였다.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삼원분산분석 결과, 출생 순위의 주효과와 출생 순위, 형제 성별, 형제 간 연령차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둘째일수록 어머니를 더 통제적으로 지각하였으며, 형제 성별과 형제간 연령차는 각각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효과를 미치지는 않았지만 출생 순위와 상호작용하여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에 대한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단순 상호작용효과의 분석 결과 둘째의 경우 형제의 성별과 연령차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둘째이면서 형제와 연령차가 2세 이하인 집단과 둘째이면서 형제와 연령차가 3-4세인 집단에서 각각 형제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에 대한 지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둘째의 경우 손위 형제와 연령차가 4세 이하일 때 오빠보다는 언니가 있을 경우 어머니를 더 통제적으로 지각하였다. 그러나 둘째이면서 형제와의 연령차가 5세 이상일 때는 형제 성별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는 출생 순위와 자아분화의 관계를 완전중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일수록, 어머니를 통제적으로 지각할수록 낮은 자아분화 수준을 보였으며 출생 순위는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에 대한 지각을 거쳐 자아분화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둘째의 자아분화가 더 낮게 나타난 것은 둘째가 어머니를 더 통제적으로 지각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sibling status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and (2)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and differentiation of self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543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two kinds of questionnaires o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erceived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Data was analyzed by t-test, three-way ANOVA, and three step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significant birth order difference in percerved mother's love, perceived mother's control, and differentiation of self. Firstborns percieved their mother more loving, and less controlling than second-born students, and firstborns showed higher degree of differentiaion of self. Second,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between birth order and sibling age spacing on perceived mother's love. Second-born students perceived their mother more loving than first-born students when the age spacing was more than 5 years. Also, the main effect of birth order and three-way interaction of birth order × sibling sex × age spacing on percieved mother's control were significant. Second-borns generally reported higher control of their mother, and when the age spacing was less than 4 years, second-borns having older sister perceived their mother more controlling than second-borns having older brother. Third, perceived mother's control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order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eing second-born and reporting mother's higher control predicted lower differentiation of self, and birth order had an indirect effect on differentiation of self through the perception of mother's control. Therefore, the result that second-borns showed lower separate sense of self can be explained by their higher perception of mother's controlling attitu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