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8 Download: 0

긍정정서와 삶에 대한 만족 관계에서 긍정사고, 의미발견 및 의미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Title
긍정정서와 삶에 대한 만족 관계에서 긍정사고, 의미발견 및 의미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Other Titles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Thought, the Search and the Presence for Meaning in Life on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Authors
윤민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긍정정서와 삶에 대한 만족 관계를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삶의 의미의 두 하위차원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긍정정서가 삶의 만족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임을 설명하는 선행연구와 Fredrickson(1998, 2001)이 주장한 긍정정서의 인지적 확장효과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긍정정서가 삶의 만족을 직접적으로 높이는 동시에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 수준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확장 및 축적 이론‘을 실질적으로 검증하고자 연구모형에서 긍정정서가 삶의 만족에 이르는 직접 경로를 제외한 경쟁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에는 서울, 경기, 충청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487명의 학생이 참여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긍정 및 부정정서 척도, 긍정적 사고 질문지, 삶의 의미 척도, 삶에 대한 만족도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질문을 포함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비교 검증한 결과, 경쟁모형이 연구모형에 비해 보다 간명하고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긍정정서와 삶에 대한 만족 관계에서 긍정적 자동적 사고, 의미추구, 의미발견의 완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즉, 긍정정서는 긍정적 자동적 사고, 의미추구, 의미발견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삶에 대한 만족을 설명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선택된 모형은 Fredrickson(1998, 2001)의 긍정정서의 ‘확장 및 축적 이론’을 뒷받침 한다. 둘째, 최종구조모형에서 잠재변인들 간의 직접효과와 개별경로의 매개효과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긍정정서, 긍정적 자동적 사고, 삶에 대한 만족 관계에서 긍정적 자동적 사고는 긍정정서와 삶에 대한 만족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고, 각 변인들은 모두 정적인 관계에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긍정정서경험이 긍정적 자동적 사고로 이어져야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짐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한 개인이 자신의 삶을 보다 만족스럽게 평가하기 위해서 다양한 긍정정서 경험을 통해 자신, 세상,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가질 수 있어야한다. 셋째, 긍정정서, 긍정적 자동적 사고,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 삶에 대한 만족 관계에서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의미발견은 긍정정서와 삶에 대한 만족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한편,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의미추구는 긍정정서와 삶에 대한 만족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정서가 주의, 인지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어, 삶에 대한 인지조망이 넓어져 긍정정서가 삶의 의미발견과정을 촉진한다는 Fredrickson(2000)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한다. 넷째, 삶의 만족에 대해 의미발견은 정적인 영향력을, 의미추구는 부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의미발견은 삶에 대한 만족 수준을 높이지만, 의미추구는 삶에 대한 만족 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 의미를 발견한 후에 더 이상 의미를 추구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긍정정서와 삶의 만족 관계에서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의미발견 및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Fredrickson(1998, 2000)의 확장 및 축적이론을 실제적으로 확인하고, 관련 연구를 누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의미발견이 개인의 안녕감에 갖는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긍정심리학 연구에 중요 시사점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내담자들이 긍정정서 경험을 통해 일상의 스트레스에 대하여 유연하고 긍정적 관점을 갖고, 삶에 대한 조망이 넓어져 의미를 발견하게 함으로써 이들이 만족스러운 삶을 사는데 도움을 주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상담 장면에서 삶이 무의미함을 호소하며 어려워하는 내담자들에게 변화시킬 수 없는 상황을 바꾸고자 노력하기보다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개입하는 방향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automatic thought, the search and the presence for meaning, in the relation of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In previous studies, positive affect was a key variable to predict life satisfaction and had ‘broaden-and-build effect' (Fredrickson, 1998, 2000). After reviews about relevant theories and earlier studies, two structural models were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supposed that the positive affect had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automatic thought, the search and the presence for meaning would mediate in the relation of two variables. Also, with intention of testing Fredrickson's theory(1998, 2000), the competitive model was set up eliminating direct path of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from the research mode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87 undergraduate students at university in Seoul, Kyung-gi, and Chung-cheong,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the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Positive,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Ultimately, 467 valid data were tes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EM, and Sobel method.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aring results of testing the research to competitive model, the competitive model seemed to be more parsimonious and revealed that had better fit indices than the research model. Second, in the competitive model, positive automatic thought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level.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positive automatic thought and the presence for meaning and was not significantly mediated by positive thought and the search for mea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certained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affect’(Fredrickson, 1998, 2000).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have a profound understanding of positive automatic thought and the presence for meaning in the positive psychology. And it also implicated that there was the need for helping client’s positive view and the presence for meaning in stressful situation. Through this effort, counselors will support individuals to feel that life is more meaningful and happier than they thin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