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국내 공공도서관의 청각장애인서비스 지침 개선에 관한 연구

Title
국내 공공도서관의 청각장애인서비스 지침 개선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ements of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 to Deaf People in Public Library in Korea
Authors
조혜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연경
Abstract
지식정보사회에서 모든 사람에게 자료와 정보의 동등한 접근권을 구현하는 것은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책무이다. 우리나라는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접근권 보장을 위해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에서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을 제정하여 국가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도서관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인서비스는 주로 시각장애인과 지체장애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므로 청각장애인은 여전히 현실 속에서 차별과 소외 속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사서에게 청각장애인서비스의 길잡이 역할을 하는 청각장애인서비스 지침의 개선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국내외 지침과 매뉴얼의 비교․분석, 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의 청각장애인서비스의 현황과 지침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로 청각장애인의 정의와 특징, 필요한 도서관 서비스를 파악하였으며, IFLA의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 to Deaf People(2nd Edition), ALA의 Guideline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American Deaf Community, 일본의 「聴覚障害者も使える図書館に 図書館のためのマニュアル 改訂版」, 우리나라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과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을 비교․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청각장애인서비스와 관련된 도서관 현황과 지침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은 국내 공공도서관 중에서 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173개관의 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와 2000년부터 2011년까지 학술논문 중 청각장애인에 대한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와 문헌정보학 관련 학술지에 장애인서비스 관련 학술논문이 실린 학계 전문가 29명,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사서 7명이었다. 사서용 설문지는 총 173인 중 설문을 거부한 42인을 제외한 136명에게 발송하여 68부가 회수되어 50%의 회수율을 보였고, 전문가용 설문지는 총 37명 중 거부한 2명을 제외한 35부를 발송하여 27부가 회수되어 77.1%의 회수율을 보였다. 청각장애인서비스 현황과 지침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도서관에서 청각장애인서비스를 위한 사서 연수 프로그램이 실시되지 않았으며 도서관의 보조공학기기 구비 상황은 매우 열악하였다. 청각장애인용 장서는 주로 영상자료와 쉬운 내용으로 글보다는 그림으로 표현된 장서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66.2%가 청각장애인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지 않으며 그 이유로 청각장애인의 미방문, 예산과 인력부족이었다. 그리고 현재 실시중인 청각장애인서비스는 대출 관련의 단순 서비스가 대부분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공공도서관에서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지침 및 기준 혹은 매뉴얼은 80.9%가 사용하지 않았다. 지침이나 매뉴얼의 이점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인지하고 있었으나 장애인서비스 담당 사서의 반수이상은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직원 연수, 의사소통의 방법, 보조공학기기 및 장서의 종류, 자관 홈페이지의 접근성, 서비스의 목적, 서비스의 대상자, 방문자 서비스, 개인정보의 보호, 서비스의 접근성, 유관기관과의 협력, 프로그램의 종류, 홍보방법, 편의시설의 종류와 시설의 편의성은 리커트 척도 기준으로 모두 4점 이상의 중요도를 보였다. 다섯째, 사서의 자격조건, 청각장애인서비스 교과목 개설, 커뮤니케이션의 최신성, 장서의 선정 기준, 비방문자 서비스, 서비스의 기술적인 태도, 자관 홈페이지의 구성, 관련 용어의 정의 및 해설은 3점 이상의 중요도로 분석되었으며 청각장애인 사서의 고용과 전담부서의 설치는 3점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설문조사 결과로 요소별 중요도의 평균값이 4점 이상인 요소는 필수 요소로, 3점 이상-4점 미만인 경우는 권고 요소로 나누었다. 그리고 3점 미만으로 분석된 청각장애인 사서의 고용과 전담부서 설치도 권고 요소로 포함시켰다. 그 이유는 이 요소들이 이미 외국의 표준 지침에 명시되어 있으며, 국내 현황 조사 결과에서 사서와 전문가 집단 중 한 집단 이상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2009)을 중심으로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내․외부의 물리적 접근 항목에는 편의시설의 종류와 시설의 편의성을 필수 요소로 제안한다. 둘째, 장서구축 항목에는 장서의 종류를 필수 요소로, 장서의 선정 기준을 권고 요소로 제안한다. 장서의 종류는 청각장애관련 도서 및 청각장애인의 이해수준과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추가․기술할 필요가 있으며 선정기준은 장서의 내용과 이해 수준, 저술 관점 등에 관한 내용을 명시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서비스와 프로그램 항목에는 서비스의 목적, 서비스의 대상, 의사소통의 방법, 개인정보의 보호, 방문자 서비스, 서비스의 접근성, 프로그램의 종류, 홍보방법을 필수 구성요소로, 서비스의 기술적인 태도, 비방문자 서비스, 관련 용어의 정의 및 해설을 권고 요소로 제안한다. 청각장애인의 유형별, 연령별에 따른 서비스와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보조공학기기의 항목으로 보조공학기기의 유형를 필수 요소로, 커뮤니케이션의 최신성을 권고 요소로 제안한다. 보조공학기기의 기능과 특징,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보완과 새로운 기기와 기술로 자료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내용을 명시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웹 접근성과 유니버설 디자인 항목에서 필수 요소로 자관 홈페이지의 접근성을, 권고 요소로 자관 홈페이지의 구성을 제안한다. 청각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는 홈페이지의 구성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인력자원의 개발 및 활용의 항목에서 필수 요소로 도서관 직원의 연수, 권고 요소로 사서의 자격, 청각장애인 사서의 고용, 문헌정보학과의 청각장애인서비스 관련 교과목의 개설, 전담부서의 설치를 제안한다. 청각장애인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력의 적절한 교육과 연수, 청각장애인서비스 관련 과목 개설, 전담부서의 설치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곱째,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 항목에서 필수 요소로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제안한다. 도서관의 청각장애인서비스 개발과 계획에 청각장애인 관련단체의 참여와 국내외 청각장애 관련기관에 관한 정보제공을 기술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서비스의 현황 및 지침에 대한 사서와 전문가의 인식을 바탕으로 국내 청각장애인서비스지침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에서 청각장애인서비스의 지침이 명확히 제시되면 사서는 효율적인 청각장애인서비스 제공에, 청각장애인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blic library has offered equal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nd materials to everyone, and also sought to provide the disabled with various kinds of the services.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community were made by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in Korea, but the deaf community has been discriminated in re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community in the public library in Korea. The guidelines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deaf people to librarian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lementation of library services.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survey were performed.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to explain the definitions and the features of deaf people, and the importance of library services for them. Then, the elements among guidelines and manuals for library services to deaf people which have developed by international and national library communities―IFLA(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LA(American Library Association),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in Korea, and JLA(Japan Library Association)―were analyzed and reviewed. Next, survey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to look into public library services for deaf people. The major findings of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raining of library staffs for deaf community was not conducted for the most libraries. The condition of assisting devices was very poor. Primarily, the collection was made of Video/DVDs and picture books which were easy to read. Second, 66.2% of the public libraries did not provide library services for the deaf people. The reasons were no visiting of deaf people and lacking of budget and personnel. Also, the library service for deaf people was limited to a basic service such as borrowing books. Third, 80.9% of public libraries didn't use guidelines and manuals for library services to disabled people. Many people recognized the advantages of guidelines and manuals for library services to disabled people.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 librarians answered that guidelines and manuals for library services to disabled people were not helpful. Fourth, 'training of library staff', 'communication', 'kind of assisting devices', 'type of collection', 'accessibility to local library homepage', 'service purpose', 'target', 'service for visitors', 'privacy protection', 'service accessibility', 'formation of collaboration plans with related agencies in deaf community', 'kind of programs', 'publicity', 'kind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convenience of facilities for deaf people' were more than 4 points in Likert-type scale. Fifth, 'degree and certification of librarian', 'opening th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uarantee of up-to-date devices', 'selection criteria', 'service for non-visitor', 'technical attitude for service', 'construction of content in local library homepage' and 'definition and commentary of related terms' were more than 3 points. 'Employment of deaf staff members' and 'group establishment for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community' was less than 3 points. Based upon the results, the mandatory and optional elements were suggested within the framework of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developed by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in Korea in 2009. First, in the aspect of the physical access to library, two mandatory elements were proposed, which were 'kind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convenience of facilities for deaf people'. Second, in the aspect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type of collection' was proposed as a mandatory element, and 'selection criteria' was suggested as an optional element. Related to the type of collection, it was required to add books and materials related to hearing impairments, relevant to understanding level of the deaf, helpful to the real life. Also, in the selection criteria, it was necessary to describe details such as content, understanding level, author's view, and so on. Third, in the aspect of services and programs, eight mandatory and three optional elements were proposed. As mandatory elements, there were 'service purpose', 'target', 'communication', 'privacy protection', 'service for visitors', 'service accessibility', 'kind of programs', and 'publicity'. Then, as optional elements, there were 'technical attitude for service', 'service for non-visitor', and 'definition and commentary of related terms'. It was desirable to add concrete content about developing services and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s and ages of the deaf. Fourth, in the aspect of assisting devices, 'kind of assistive devices' was proposed as the mandatory element, and 'guarantee of up-to-date devices' was suggested as the optional element. It was required to state clearly the functions, features, usages of assisting devices and materials or services available to recent equipments and techniques. Fifth, in the aspect of web accessibility and universal design, 'accessibility to local library homepage' was proposed as a mandatory element, and 'construction of content in local library homepage' was suggested as an optional element. It was desirable to describe basic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homepage accessible to the deaf in detail. Sixth, in the aspect of personnel, 'training of library staff' was recommended to the mandatory element. On the other hand, four elements were suggested as optional elements, which were 'degree and certification of librarian', 'employment of deaf staff members', 'opening the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group establishment for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community'. To provide services conforming to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deaf, it was proposed to train staffs properly, to establish courses related to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and to set up the department which took full charge. Finally, in the collaboration of related agencies, 'formation of collaboration plans with related agencies in deaf community' was proposed as a mandatory element. It was necessary to collaborate with the deaf community agencies in process of developing and planning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and to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international and national agenc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some basics of recognition of librarians and specialists for conditions an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 for deaf people. Based upon these elements, public libraries should modify and supplement the guidelines reflecting the local circumstances. Eventually, this guideline will help librarian to provide professional and effective library services to the deaf peop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