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朝鮮後期 詩銘白磁 硏究

Title
朝鮮後期 詩銘白磁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White Porcelains with Chinese Poetic Inscriptions during Late Joseon Dynasty
Authors
이금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고에서 언급하고자 하는 詩銘白磁는 白磁의 표면에 詩의 일부 내지는 全文, 箴銘文, 오랜 시간동안 전해 내려오는 格言과 俗談, 고전 산문 속의 구절 등이 靑畵, 鐵畵, 陽刻, 象嵌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시문 것들을 총칭한 백자류를 말한다. 朝鮮後期에는 詩銘白磁의 제작이 이전 시기에 비하여 늘어나게 되며 기종 및 시문 양상에도 변화가 온다. 본 논문은 朝鮮後期, 詩銘白磁가 이전 시기보다 다량 제작될 수 있었던 시대적 배경과 시명백자의 현황을 비교하여 그 상관관계를 알아봄과 동시에 시명문의 시문 주체 및 주문자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선후기라는 기존의 도자사적 시기구분을 염두에 두고, 본 논문에서는 17세기를 조선후기에 포함하여 다루었다. 15- 16세기의 시명백자는 청화백자전접시를 위주로 다소 제한적인 양상이 나타났으나 17세기에는 해당시기로 추정되는 가마터 발굴 결과 詩句가 시문된 병 파편이 출토될 뿐만 아니라 이 시기부터는 唐. 宋詩의 선호도가 뒤바뀌는 등 문화계 전반에도 변화가 생기므로, 18세기에 나타나는 시명백자의 다양화는 17세기부터 이미 싹트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시명백자의 제작이 활성화 될 수 있었던 배경을 알아본 뒤, 시명백자의 현황을 살펴보고 유물에 시문되는 사례와 비교, 史料, 개인의 문집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시명문 시문의 주체 및 시명백자의 주문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시명백자 제작의 배경은 사회, 제도, 문예계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일어나던 17- 18세기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17세기는 중국에서 유입된 文人文化와 書齋文化 및 古董書畫 감상문화가 문인층에 확산되고 있었다. 이러한 시점에 詩.書.畵 분야의 탁월한 능력과 직업적 특성을 활용한 재력을 두루 갖춘 중인층이 등장하여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새로운 계층으로 부상하였다. 이들뿐만 아니라 상품 화폐경제를 잘 활용한 부호 양인층 역시 예술품을 구매할 수 있는 경제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러한 계급변화와 동시에 사옹원 분원에서는 17세기 말부터 사번을 허용하게 되어 상품자기의 제작에 박차를 가하게 된다. 즉, 수요층의 욕구가 보다 반영되는 백자의 생산이 촉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17세기부터는 문예계 전반에 변화가 생기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먼저 唐詩의 유행이 시작되는데, 宋詩를 높이 보던 한문학의 조류는 唐詩를 시의 正宗으로 여기는 경향으로 바뀌고 18세기부터 시행되던 差備待令畵員 祿取才의 화제에서도 唐詩가 가장 높은 빈도로 출제되었음은 이미 연구된 바 있다. 또한, 明末부터 중국에서 폭발적으로 제작되던 畵譜類와 版畵集 및 書.畵 結合의 문화가 磁器 시문양식에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조선으로도 유입되어 백자의 시문양식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되었다. 시명백자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기종 및 시문양식을 분류하였다. 기종은 크게 甁, 壺, 전접시, 文房具類로 나뉘며 그 중, 수량이 많은 병과 문방구류는 기형에 따라 세분화 하였다. 각 기형별로 시구의 시문방식을 살펴본 결과 크게 시구가 단독으로 시문되는 유형, 사군자문이 및 초화문과 함께 시문되는 유형, 산수문과 시문되는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병과 문방구류의 경우 18세기에 들어서면서 그 기형이 다양화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특히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중국자기의 영향을 많이 받은 편병이나 죽절형병이 나타나며 문방구류에서도 선형연적 등 새로운 형태의 器皿에 시구가 시문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전접시의 경우, 17세기 중. 후반 이후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유물은 발견된 바 없기에 동 시기 기형의 분류가 불가능하였다. 이에, 15- 16세기의 유물과 비교하여 시구의 시문방식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 시기와는 다른, 방사선형의 시문형식이 17세기부터 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7- 18세기에는 鐵畵와 靑畵장식이 대부분이던 시명백자는 18세기말에서 19세기로 접어들며 陽刻, 靑彩陰刻 등 다채로운 장식방법이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능화창이나 靑畵方形틀을 사용하여 문양과 시구를 분리하여 시문하는 양상이 보이는데, 이는 17세기 이후로 조선에 유입되던 서화합벽첩 형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시명백자에 시문되는 詩句의 양상을 내용과 형식으로 분류 한 뒤, 각각의 특징을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먼저 내용면에서 보면, 첫 번째 특징은 唐詩와 當代 문인들의 시구가 높은 빈도로 시문되었다는 점인데, 이것은 시명백자를 조선후기 분원에서 商品으로 제작되던 자기 중 하나로 본다면 당대 유행하던 唐詩와 그 수요계층이 직접 지은 시가 시문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고 생각된다. 두 번째 특징은 시구의 내용과 기종간의 높은 관련성으로 보았다. 즉, 飮用器의 목적을 가진 기종에는 술이나 음주와 관련된 시구가 시문되었고 文房관련 기물에는 지식, 격언, 과거 급제와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형식면의 첫 번째 특징은 시구의 반복이다. 한 가지의 시구가 기종 및 기형에 상관없이 반복적으로 시문되면서 탈자와 오자가 빈번히 삽입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시구가 그 본래의 의미를 잃고 하나의 문양화가 되어가는 현상을 유추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산수문 등 繪畫性이 돋보이는 문양과 그에 부합한 내용의 시구가 동시에 시문되는 점이다. 이는 당시 조선에 유입되어 인기를 끌었던 畵譜類 및 書·畵 結合 형식의 유행 영향이라고 생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명백자의 시구 시문 주체와 주문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유물의 비교 및 조선후기 문인들의 개인문집을 토대로 살펴본 결과 먼저 시명백자의 시문 주체로는 도화서의 화원, 화청장 및 문인계층으로 드러났다.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시명백자의 주문 요청자도 알아보았는데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던 인물로는 李廷龜, 李明漢, 洪泰猷. 任道彦, 興親王 李載冕으로, 當代에 실력을 행사할 수 있을만한 계급층으로 드러났다. 즉, 이 시기에 제작된 시명백자는 사회, 제도, 문예계의 변화가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사회상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상품경제화가 발달하는 조선 후기, 분원 역시 사번이 활성화 되면서 소비층의 구미에 맞는 상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소비층은 당시 중국에서 확산되기 시작한 서재문화 및 문인문화와 고동서화 및 문방구류를 수집·감상하는 문화를 경제적으로도 누릴 수 있었던 계층이기에, 생활에 필수품이던 生活器皿에 이들이 배우고자 노력하던 唐詩와 이들이 직접 지은 시가 시문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고 생각한다. 이에, 조선후기에 제작된 시명백자는 사회, 제도, 문예계의 변화가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사회상을 반영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하며,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에 비교적 다량 제작되기 시작한 시명백자의 제작 배경 및 양식과 내용적 측면, 시문 주체와 주문자의 문제를 다각도로 살펴보아 시명백자의 전모를 파악하려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White Porcelains with Chinese Poetic Inscriptions which were manufactu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hich were inscribed with partial or whole versus or phrases of a poem or proverb that were passed down through many generations. These are called Jammyeongmun (Aphorism Motto). These phrases of classic prose were placed on the surface of white porcelain using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underglaze blue, underglaze iron-brown, relief and intaglio. This study includes the late Joseon Dynasty of the 17th century.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e manufacture of White Porcelain with Chinese Poetic Inscriptions was focused on blue-and-white Jeonjeopsi (dish with side and flat rim.) However, kilns of Bunweon, estimated to be in used in the 17th century, have been excavated, and fragments of a bottle with poetic inscriptions were found, showing a new style of vessel.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in the manufacture and use of poetic inscribed porcelain, and social, institutional and literary backgrounds will be examined to explain the increasing production of this period as compared to prior perio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ic inscriptions, writers and their patrons. Social, institutional and literary changes took placed during the production periods of these porcelains, center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During the 17th century, library culture and the appreciation for classical works introduced from China were expanding among the literators class. There arose a new middle class called Jungin, which had a great interest and abilities in Poetry, Caligraphy and Painting. They also had the wealth necessary to access and enjoy culture. Also a wealthier commoners’ class achieved the economic power necessary to purchase works of art. Along with such class changes, at Sa'ongwon Bunweon, sabeon (a Government kiln that fired porcelains for private consumption) was permitted from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hus,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s was promoted, which reflected the needs of the consumers. This study also reveals that a major change happened in the whole literary world from the 17th century. First of all, the popularity of Tang poetry had begun in this era: the trend of Chinese Literature valuing Song poetry changed into one which considered Tang poetry as the orthodox way. Moreover, Tang poetry was taken more often as the subject of Nokchwijae (salaried post selection system) of Jabidaerueong-hwawon (the painters-in-waiting) from the 18th century. Furthermore, from the end of the Ming Dynasty in China, picture albums and engraving collections integrating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were produced extensively. The tendency of poetry-painting unity also influenced the patterns of blue-and-white wares and multi-color porcelains manufactured mainly at Jingdezhen so a pattern like Siuido became fashionable. It is estimated that such a tendency entered Joseon and had an effect on the poetic inscription style of white porcelains. In order to inspect the present conditions of White Porcelains with Chinese Poetic Inscription, this study classified different types of vessels and poetic inscription styles. The vessels style include bottles, jars, Jeonjeopsi and writing materials. Bottles and writing materials in high quantity we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form of vessels. As the result of examining poetic inscription style by form, these may be classified into the styles of inscribing the verse by itself; Sagunja, with flower plant patterns, or those with landscape. For bottles and writing materials, their forms were diversified from the 18th century. In the 19th century, Pyunbyeong (flask) or Juckjulhyungbyeong (Bamboo-shaped-bottle) were greatly influenced by Chinese porcelains and, as for writing materials, the poetic inscription was done on the new form of the vessel like a fan-shaped water dropper. In the case of Jeonjeopsi, it is hard to find the evidence of works manufactured after the middle or end of the 17th century , so it is not possible to classify vessel forms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the change of the poetic inscription is reviewed by comparing those with the remains from the 15th ~ 16th centuries. The result shows that poetic inscription style of divergent lines began from the 17th century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earlier times. In addition, during 17th ~ 18th centuries, most of White Porcelains with Chinese Poetic Inscriptions were decorated with underglaze blue or underglaze iron-brown. However, from the end of the 18th to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various decorative techniques were used including relief and blue glazed with intaglio decoration. After classifying the styles of the poetic inscriptions on the porcelains into contents and for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In terms of the content,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of Tang poetry, and verses of the literators in those days were inscribed more often. By considering these porcelains as a market product, it is regarded as a natural phenomenon to inscribe popular poetry and poems written by its own consumer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of the verse and the kind of vessel. For example, a vessel made for drinking have verses related to alcohol or other drinks. For writing materials, the contents are mainly related to knowledge, maxim or passing of the state officer exam.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form is the repetition of the verse. One verse could be inscribed repetitively regardless of the kind and form of the vessel, so there are identified cases that omitted words or wrong ones are inserted frequently. Based on such a finding, it may be said that verses came to be established as a pattern, while losing their own meaning through the reproduction and mistakes on these poetic inscribed porcelain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inscribing the patterns like a landscape, having outstanding pictorial quality with a verse having the corresponding contents. It might have been done under the effect of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the picture albums and calligraphy-painting unity, which entered Joseon in those days. Finally, this study reviews the White Porcelains with Chinese Poetic Inscriptions, and the times and substances of its patrons. As the result of comparing remains and inspecting private collections of literators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we can assume that the subjects of the poetic inscriptions were court painters of Dohwaseo, Hwacheongjang and literates. Through the same method, it is shown that patrons of these porcelains production were those including Lee Jeong Gwi, Lee Myeong Han, and Hong Tae Yu, Im Do Eon and King Heungchin. All of them belonged to the ruling class of the day. In conclusion, White Porcelains with Chinese Poetic Inscription, manufactured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re a mirror of society in which social, institutional and literary changes began to occur simultaneously. During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when a commodity economy developed, Bunweon also attempted to manufacture products adapted for the taste of consumers with the running of sabeon.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such consumers formed a class who could appreciate library culture, Literators' culture and collect classical works and writing materials such as water droppers. In addition, we could think that inscribing these poems written by themselves or Dang poetry, they were pursuing the arts from vessels used for their daily life necess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