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6 Download: 0

조선 후기 연폭 병풍 연구

Title
조선 후기 연폭 병풍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on the Late Joseon dynasty : Concentrating the landscape folding screen
Authors
김아영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병풍은 매체이자 칸막이로 사용되는 가구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병풍화에 대한 연구는 화제(畵題) 또는 궁, 사대부, 민간 등 사용계층에 의한 분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기존의 방향에서 벗어나서 특수한 화폭(畵幅) 형태인 연폭 병풍, 그 중에서도 연폭 산수병풍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려 말 이색을 필두로 하는 성리학자들이 성장함에 따라 산수화가 화제로 부각되었고, 이는 조선으로 그대로 이어졌다. 제화시를 통해 이들은 은일과 탈속의 바람을 산수병풍에 투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 연폭 병풍이 확산되는 배경은 크게 네가지 요소로 파악할 수 있다. 첫째, 연폭 병풍의 제작에 필수적인 장황 기굴이 늦어도 14세기 말에는 완성되었다. 둘째, 일본은 무로마치 시대(1336~1573)에 한화계 수묵 장병화와 더불어 일본 특유의 금병풍 양식이 다시 등장한다. 조선인 일본의 금병풍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였는데, 당시 유입된 금병풍은 대부분 연폭 병풍의 형태로 제작되었다. 셋째, 명 만력(1573~1619)에 중국의 소설 출판과 판각 기술은 전성기에 이르렀는데, 소설에 수록된 삽화에 연폭 병풍이 묘사되었다. 이런 명말의 소설들은 조선에 다량으로 빠르게 수입되었고, 조선의 사대부들은 시각이미지로서 삽화 속의 연폭 병풍을 접하였다. 넷째, 16세기부터 남성의 공간인 사랑채가 분리, 확장되면서 병풍을 설치할 수 있는 실질적인 공간이 확보되었다. 특히, 남성 사대부들은 산수 병풍의 주 사용계층으로 사랑대청과 사랑방에서 산수 병풍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17세기부터 19세기의 연폭 산수병풍을 회화자료와 실물자료를 통해 다각도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폭 병풍은 병풍의 화면(畫面)을 실제 공간처럼 느끼게 하는 파노라마(panorama)의 효과를 강하게 발휘하고, 각폭 병풍보다 강한 장식성을 보인다. 본 논문은 17세기부터 19세기의 연폭 산수병풍을 회화자료와 실물자료를 통해 고찰하면서 연폭 병풍의 특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17-18세기의 회화자료를 통해 ① 경수연도와 기로회도 ② 기록화 ③ 회혼례도 에 연폭 산수병풍이 묘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 야외 혹은 대청에서 벌어지는 행사 장면에 묘사되어 있고, 여러 개의 연폭 병풍을 연달아 두르거나 하나의 병풍을 펼쳐 행사가 벌어지는 공간을 꾸며주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그림 속에 그려진 연폭 병풍의 장황을 분석하여 가욋단만 두르는 장황 방식에서 후대로 갈수록 천정과 마루는 장식하는 방식에서 변화하였음을 보았다. 실물자료는 17-18세기의 <현종정미온행계병> 과 <온릉봉릉도감 계병 무이구곡도>와 19세기의 <금강산도 병풍>들과 1888년 채용신의 <무이구곡도 병풍>이 있다. 이 중 19세기를 지배하는 남종화의 영향을 받아 수묵 기법으로 그려진 일부 <금강산도 병풍>을 제외한 나머지 병풍은 모두 청록 혹은 금박 기법을 사용하였다. 17-18세기의 계병은 청록을 사용하여 연폭 산수병풍을 제작할 때 많은 물자가 필요하므로, 국가의 공력을 사용하는 계병으로 병풍을 제작함이 수월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19세기는 장식 그림의 유행과 비양반층의 상층 지향 의식으로 연폭 산수병풍의 향유 계층이 확대된다. 이는 대부분의 병풍에 해당하는 양상이기는 하나 연폭 병풍의 경우 금박을 사용하는 등 더욱 화려하고, 장식적인 경향을 보인다. 본 논문은 연폭 병풍의 성격과 확산의 배경을 살펴보고, 회화 자료로서 조선 후기의 연폭 산수병풍이 실제 사용된 모습을, 실물자료로서 연폭 산수병풍에 그려진 화제와 기법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연폭 병풍의 공간을 장식하는 성격을 바탕으로 연폭 산수병풍에 행사에 사용되거나 청록 또는 금박 기법으로 표현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병풍은 실제 공간에서 사용되는 물건이기 때문에 화폭에 따라 실생활에서의 쓰임새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행해진 화제나 사용 계층 중심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화폭, 장황 기술의 측면을 아우르는 새로운 접근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A folding screen has the characteristic not only as furniture, or a partition but as the medium of pictures. However, studies on the screen painting have been focused on the theme of a painting or classification into users including the royal, nobility and the private. Beyond the existing framework, this study was done centered on th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especially landscape.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s the nobility became powerful, having the ideological roots in Sung Confucianism, the preference for the landscape painting also increased. Such preference naturally continued to the landscape folding screen. The mounting skills essential for manufacturing of th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were developed completely to the end of the 14th century. Reentering into friendly relations with the Joseon Dynasty, inflow of Japanese golden-folding screens was activated. And, from the late 15th century, rich merchants, who had accumulated a fortune from farm surplus and commerce, participated in the private trade, so inflow of the Japanese folding screens increased. All of such Japanese folding screens are assumed as the joint panel. Also, in the 16th -17th centuries, the men’s part of a house was expanded as the space for men nobility. The Confucian ideology was settled into the real life, and the rule of separating men from women was strengthened. And, the men’s part was expanded to the independent building. As the space for men nobility was ensured and the men’s part came to perform not only daily but social functions, the necessity of the folding screen for decorating the space was emphasized much more. The landscap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may be examined in the separate terms of 17th-18th centuries and 19th century. First, as for the 17th-18th centuries, data were divided into painting and the real object. As the painting data, the landscap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drawn in the pictures were inspected. As the result, it shows that such folding screens were used for ① Banquet of the elder officials, ② State exam & the Investiture Ceremony of crown prince ③ Feast of sixieth wedding anniversary. Th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was installed mainly at the hall. Or in case of an event many people gather, several folding screens were joined and installed behind the person. The mounting was done mainly with the method to put only edge around without the ceiling and floor. And gradually, it changed into the mounting method from only floor to both ceiling and floor. As the real object data in 17th-18th centuries, there are in 1667 and in 1739. Both are GyeByeong drawn by the bluish green landscape painting. Th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has outstanding decorative property compared with the separate panel screen, so considering such characteristics, bluish green landscape painting might be used for manufacturing. In the 19th century, there are and by Che Yong Shin in 1888. The 19th century witnessed popularity of the decoration painting. So, it’s the period that folk painting for the middle class and the traditional painting style from the existing nobility coexisted. The Keumgangsan Drawing of folk style shows the splendid because it was manufactured with the bluish green and gold foil techniques. Or it shows a folk transform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which dominated 19th century. In 1888 , Che Yong Shin, the bluish green technique was used but followed the existing traditional painting style. Finally, it’s regarded that the social class enjoying the landscap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was expanded. Seen from the painting data, in the 17th-18th centuries, the class to enjoy the landscap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was mainly men nobility. However,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 economic power of the middle class increased, imitating noblemen’s life style in dressing and residing.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ding screen of joint panels with its expansion backgrounds centered on the landscape folding screen. Folding screens are things used in the everyday life space, so their utility is influenced by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Based on findings centered on the theme of a painting or users so far, a new approach dealing with the folding screen is expec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