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선표-
dc.contributor.author박지연-
dc.creator박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0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4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095-
dc.description.abstract의례복식의 하나인 혼례복은 사회의 관습이나 가치관․제도를 반영하며, 혼례복의 무늬 또한 복식을 치장하는 것 외에 혼례라는 전통관례의 의미와 옷을 착장하는 사람이 바라는 것들을 기원하기 위해 시문되었다. 본 논고는 민간 혼례복의 하나인 활옷에 나타나는 다남이미지의 기원에 대하여 당 시대의 사회적․ 문화적 제반요소를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활옷은 섭성의 관례에 따라 외명부 1품 군부인의 예복인 홍장삼에서 유래한 복식으로 알려져 있다. 활옷의 명칭은 기존의 한자 명칭에서 변화한 것이라고 보기 보다는 순 한글의 새로운 낱말을 만들어 낸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그 이전 시기에는 다른 명칭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크고, 외명부 1품 군부인의 혼례복인 홍장삼을 섭성하면서 명칭 또한 그대로 사용한 것임을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는 사림층이 집권함에 따라 유교 예제가 널리 정착되어 친족체계가 양계친족체계에서 적장자 중심의 부족친족체계로 변화하는 등 가족형 일족의식이 팽배해지는 시기였다. 특히, 특정한 사회계층이 소비하는 의례복식에 나타나는 길상무늬는, 출현에 있어 사회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민간 활옷에 나타나는 다남이미지는 17세기 이후 정립된 부족친족체계로 인한 조선후기 남아 선호의 사회적 단면을 파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양식적으로는 조선후․말기 공예품 전반에 나타나는 길상무늬와 회화와의 영향관계 아래 표현되었다. 활옷의 동자무늬는 쌍계를 갖춘 두 명의 동자가 연꽃과 함께 구성된 상이다. 조선시대 쌍계를 갖춘 동자이미지로 대표적인 것은 은군자의 시동이미지, 불교미술에 나타나는 동자이미지, 그리고 기복과 길상적 의미의 백자도 동자이미지이다. 이 중 혼례복이라는 특수한 공간을 장식하고 있는 동자이미지는 기복과 길상의 동자이미지에 가장 근접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자이미지는 활옷을 포함한 조선시대 공예품에서 쌍계를 갖춘 두 명의 동자가 나란히 시립한, 쌍동자형의 도안으로 나타나며, 결국 공예품에 장식되는 길상무늬와 회화가 하나의 흐름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민간 활옷에 나타나는 다남이미지는 동자무늬, 길상어문, 구봉무늬, 연꽃무늬이다. 동자무늬의 위치는 11점 모두 활옷 앞길 좌우 양쪽 어깨부분이다. 모습은 쌍계를 한 것이 대부분이고 손에는 연꽃을 쥐고 있다. 지물과 자세를 기준으로 연꽃을 손에 쥐고 시립한 자세를 취하는 유형, 꽃 옆에 시립하고 있거나 연꽃 외의 꽃을 쥐고 있는 등 도상이 일부 변형된 유형 시립자세를 벗어난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무늬에 표현에 있어서 도상으로서의 상징성을 나타나는 큰 틀 외에 동자의 복색이나 자세 등은 각기 다르게 표현되어 있어 제작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표현되는 민수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길상어문은 민간 활옷 중 8점에서 나타난다. ‘이성지합, 백복지원’의 문자무늬가 총 7건으로 활옷에 가장 많이 시문된 길상어구임을 알 수 있다. 위치를 살펴보면 주로 활옷의 뒷면 상단에 시문된 경우가 많고 활옷의 전면이나 소매, 한삼 등에 위치하기도 한다. 구봉무늬와 연꽃무늬는 민간 활옷 모두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무늬라 할 수 있다. 활옷에 표현된 봉황무늬는 음양화합을 통한 자손번영에 대한 소망을 표현하고 있다. 민간 활옷의 경우 봉황무늬가 궁중 활옷에 비해 더 확대되어 앞길과 소매의 한삼 부분 뿐 아니라 소매와 뒷길에도 나타난다. 연꽃무늬는 활옷의 뒷길에 모란과 함께 표현되며 연꽃의 다자․귀자의 의미 외에도 모란과 합쳐져 부귀영화를 기원하는 도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민간 활옷에 나타나는 다남이미지는 당시대 민간의 사회적․문화적 흐름을 반영하는 표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양식적으로는 길상무늬와 회화와의 영향관계를 반영함으로써 하나의 흐름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Wedding dress, one of ceremonial costumes, reflects social customs or values. And its patterns are inscribed poetically not only to decorate dress but to express desire of a wearer with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wedding custom.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origin of the image of bearing many sons, shown from Hwalot as one of the folk wedding dresses, based on the social ․ cultural factors of the age. Hwalot is known to be originated from Hongjangsam, a wedding dress of a lady who was at the first rank of Oemyeongbu according to the custom of Supseong. It's reasonable to think that the term of Hwalot was created as the new word composed of pure Hangeul rather than changed from the existing Chinese characters. So, in periods prior to such a term, it's most likely to be called other one. And, with Supseong of Hongjangsam worn by a lady at the first rank of Oemyeongbu, there are records to show that such a term was used as it was. As Sarim came into pow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fucian ceremonial system was settled and family system was changed from the both sides to the tribe-family system centered on the legitimate eldest son. So, it was a period family-typed kinsman consciousness came to flood.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lucky patterns at the ceremonial dress consumed by certain social class reflects social effects. The image of bearing many sons on the folk Hwalot may be a significant phenomenon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cross section of preferring a son to a daugh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resulted from the tribe-family system in the 17th century. As for the style, it was expressed with the mutual influence of painting and the lucky patterns common on the handicraft in the late Joseon Dynasty. Young boy patterns on Hwalot are composed of two young boys with two topknots and a lotus flow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the representative young boy's images with two topknots, there are images of an attendant young boy of a hermit, young boys at the Buddhistic art and white porcelain having a meaning of seeking blessing and luck. Especially, an image of a young boy decorating a special space of a wedding dress may be said as the most close to such a meaning of seeking blessing and luck. In the handicrafts and Hwalot of the Joseon Dynasty, such an image of young boys is expressed as the pattern of a pair of young boys, standing up with two topknots. In other words, lucky patterns of handicrafts and painting form a unique flow. As the image of bearing many sons on the folk Hwalot, there are patterns of a young boy, character, turtle and lotus flower. The young boy pattern is located at the front section of Hwalot, or both shoulders in all 11 pieces. Most boys are holding a lotus flower with two topknots. Based on the objects and poses, it may be divided into types of one standing with a lotus flower in hands, one standing by a flower or holding another flower rather than a lotus which some of icons are transformed, and one escaping from the standing pose. As for the expression of patterns, excepting an important frame showing symbolism of an icon, dress colors and poses of the young boy were expressed differently. Therefore, it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e folk embroidery expressing freely according to the taste of a manufacturer. The character pattern appears in 8 of 11-pieces folk Hwalot. The character pattern of 'marriage, source of all blessings' appears in 7 so it's the lucky sign which are inscribed poetically most on Hwalot. Mainly inscribed on the top of the back, and sometimes on the front, sleeves or Hansam. The turtle and lotus flower patterns are the representative ones shown from every folk Hwalot. The phoenix pattern on Hwalot expresses desire for prosperity of offspring through harmony of yin-yang. In case of the folk Hwalot, the phoenix pattern is more expanded compared with the court Hwalot, so appears on the sleeves and back section in addition to the front and Hansam. The lotus pattern is expressed on the back section of Hwalot with a peony. So it's expressed as the icon praying for wealth and prosperity with a peony besides the lotus meaning of many sons and noble sons. The image of bearing many sons on the folk Hwalot may be said as the emblem reflecting social and cultural flow of the folk in those days. Furthermore, as for the style, it has the significance to show certain flow through reflecting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lucky pattern and pain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활옷의 민간 유입과 유행 6 1. 활옷의 어원과 자수복식의 연원 7 2. 궁중 혼례복 攝盛에 의한 활옷의 민간 유입 12 3. 豪奢풍조로 인한 민간 활옷의 유행 22 Ⅲ. 민간 활옷에서의 多男이미지의 기원 36 1. 다남이미지의 기원과 흐름 36 2. 민간 활옷에서의 다남이미지의 기원 46 Ⅳ. 민간 활옷 문양의 다남이미지 유형 57 1. 활옷의 조형요소 57 (1) 형태 57 (2) 색채 60 (3) 동정과 한삼 61 2. 다남이미지 문양 62 (1) 동자무늬(童子紋) 62 (2) 길상어문(吉祥語紋) 67 (3) 구봉무늬(九凰紋) 70 (4) 연꽃무늬(蓮花紋) 74 Ⅴ. 맺음말 78 참고문헌 83 도판목록 91 도 판 94 ABSTRACT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020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朝鮮末期 민간 활옷의 多男이미지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mage of bearing many sons, shown from Hwalot in Joseon Dynasty-
dc.creator.othernamePark, Ji Yeon-
dc.format.pagev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