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한·일 근대 공예도안 연구

Title
한·일 근대 공예도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ㆍJapanese Modern Craft Design : Centered on the craft design catalogue
Authors
신유미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근대공예에서 산업생산의 영역과 창작의 수공예 영역이 분화되고 구조화되는 과정에서 수반된 새로운 장르가 공예도안 분야이다. 본 연구는 근대기 공예제품 생산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입된 중요한 산물로 공예도안을 인식하고 당시 이데올로기를 반영한 국가주의 시각에서 근대기 한국과 일본의 공예도안 형성 및 수용, 변모양상에 주목하고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각국의 대표성을 지닌 도안집인 일본의《온지도록》과 《기물도집》, 한국의《이왕직도안집》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도안에 근거한 제작방식은 개화기 이후 근⋅현대에 이르는 공예품의 기형이나 장식 등에 영향을 주었는데, 당시 부국강병과 식산흥업의 유신 목표에 메이지도안집인《온지도록》이 철저히 부합하여 공예품 제작수단의 개량의지를 표명한다. 사생을 바탕으로 장식적인 특징을 지닌 메이지 전기 공예도안은 이후 1900년 즈음하여 성격이 변모하는데, 오카쿠라 텐신의 일본미술사 강의가 체계화되고, 메이지 초기부터 진행되어온 만국박람회 참가를 통해 육성된 일본 미술정책이 일단락된 시기라는 점과 파리 만국박람회 이후 아르누보에 자극을 받은 일본의 독창적 공예도안을 고안하려는 시도가 맞물려 《기물도집》이 제작되기에 이른다. 《기물도집》은 도예가이자 도안가인 이타야 하잔에 의해 제작되는데, 고대의 공예모티프를 이용해 동양, 특히 일본 고미술에 천착한 점은 여러모로 시사점을 갖게한다. 1900년대를 근대국가 일본의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형성기라고 보는 점에서, 고대의 복고는 단순한 동경이 아닌 일본 민족주의 역사가 형성되는 과정이며, 이러한 흐름 속에 근대도안을 바라볼 수 있다. 식산흥업을 목적으로 제작주체의 分化를 의식하고 도안은 작성되었으며, 초기에는 그 표상형식이 기형이나 쓰임보다는 문양을 통해서 구현되었다. 이렇듯 근대 동아시아에서 국가주의 미술의 가장 구체적인 실천형식으로 기능한 것이 바로 공예분야였고, 도안이 그 역할을 충실히 담당하였다. 이러한 일본 공예도안의 국가주도의 여러 정책과 제도에 의해 내셔널리즘적인 시각과 경향은 일본과 정치적ㆍ경제적ㆍ문화적 연관성을 밀접하게 지닌 국가, 즉 일제 식민지배가 이루어졌던 조선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일본의 도안 정책 및 제도 등의 흔적이 어렵지 않게 발견된다. 조선의 《이왕직도안집》은 일제 식민지하에서 정책, 교육 등을 통해 공예품 제작실상을 추론하는 근거로 활용되는데, 왕조체제의 해체시기에 식민지 조선왕실의 전통복권의지를 담은 왕실기물제작소인 이왕직미술품제작소에서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30여년간 운영기간에 비해 자율성이 보장되지 않는 시대적 상황으로 공예도안 양상은 달라진다. 圖案이라는 용어는 일본의 ‘圖工’과 ‘案家’라고 하는 전통에서 고안된 신조어로, 노우토미 가이지로(納富介次郞)가 1873년(明治 6) 빈 만국박람회 참가를 위해 만든 디자인의 역어이다. 디자인의 역어로 사용된 ‘意匠’ 역시 현재는 ‘공업의장’이나 ‘의장등록’ 등의 용례로 남아 있고, 메이지기에 초벌그림, 밑그림을 의미한 下圖 역시 圖案, 下畵, 下繪 등 다양한 용어와 함께 통용되다가 근래에는 도안으로 통칭된다. 기존의 용어들에도 제조공정의 지시사항 등이 기록되어 있어 역사적 자료로서 중요하지만 디자인의 역어로 추상적, 개념적인 의미를 내포한 ‘도안’이 주로 사용되고 정착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용어는 메이지 30년대에 집중적으로 출판된 도안집을 통해 1900년 초에 조선에 유입되는데, 형태, 색채, 무늬 등 공예의 형식을 결정짓는 가장 기초적인 조형요소인 도안은 한·일 개화기 공예사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노우토미 가이지로에 의해 디자인의 역어로 탄생된 도안 용어가 意匠, 下圖, 下繪 등과 혼용되다가 정착하기까지의 과정을 파악함으로써 현대에 제품의 형식을 설계하는 디자인의 어원연구에서 공예도안은 시발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특히 일본 공예도안 형성과정을 시작으로 한ㆍ일 개화기 및 근대초기의 수용 및 전개과정, 도안집을 통해 보이는 국가주의적 시각 고찰, 공예도안에서 디자인으로 분화되기까지의 과정에 주목하였다. 메이지도안에 영향을 준 서구 공예도안으로 프랑스 크리스토플사 소속의 에밀 라이버(Emile Reiber) 도안과 그의 도안집이 《온지도록》을 제작한 제품화도괘 수집목록에 존재해 그 상관관계 또한 발견하였다. 기존연구에서 괘화에서 개칭된 도화의 포괄적 범주에서 도안을 고찰해 볼 때 영국도화교육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화가에 의해 그려진 짙은 채색의 메이지도안 형성에 메이지 정부가 1872년 주로 프랑스 학제로 바꾸고, 자포니즘 영향으로 제작된 프랑스 도안집과의 연관관계로 인하여 메이지 공예도안은 프랑스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공예도안이 강조되는 것은 한ㆍ일 근대기의 국가주의적 시각에서 당연한 귀결이었으며, 이 과정을 고찰해봄으로써 식산흥업을 위한 공예품 개량의지의 적극적 표상이면서, 후에 새로운 장르로 분화되어 일정기간 동안 구심점 역할을 하는 근대 공예도안은 중요하다고 하겠다.; Leewangjik Art Workshop The craft design is a new genre accompanied with the process the areas of the industrial production and creative handicraft were differentiated and structured in the modern craft. This study recognizes the craft design as the important product which was introduced for production of crafts in the modern periods. And, it intends to take notice of the aspects of formation,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KoreanㆍJapanese modern craft design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from the nationalism reflecting an ideology in those days. So, it analyzes Japanese 《The Onchi catalogue》 and 《The Kimul catalogue》, Korean 《The Leewangjik catalogue》, representative of each country. The manufacture system based on the design influenced the vessel form or decoration of crafts from the Enlightenment to modern⋅contemporary times. In those days, 《The Onchi catalogue》 of the Meiji period completely coincided with the renovating aims, or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ce, productive increase and industrial promotion, so expressed the intention of reforming craft production. The early Meiji craft design having a decorative characteristic based on sketching changed from about 1900. It was a period that Japanese art history lecturing of Okakura Tensin was systemized and Japanese art policy was concluded which was initiated from the early Meiji period and cultivat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International Expo. So, with the attempt to create craft design of Japanese own under impetus from art nouveau after Paris Expo, 《The Kimul catalogue》 came to be produced. As the formative period of Japanese national identity of a modern state, 1900s was the period which its nationalist history was formed escaping from adoration for ancient times. 《The Kimul catalogue》 was manufactured by Itaya Hajan(1872-1963), a potter and designer. Has a significance in that he searched for Eastern, especially Japanese antiques using the ancient craft motif. Because craft field, especially design not only functioned as the most concrete and faithful practice of the nationalistic art in the modern East but its representative form was realized through pattern rather than vessel form or use. The nationalistic perspective and tendency, caused by many nation-led policies and institutions in Japanese craft design, had many effects on Joseon which was closely connected with Japanese politics ㆍeconomy ㆍculture under its colonial ruling. And, there exist many remnants of Japanese design policy and institution. In Joseon Dynasty,《The Leewangjik catalogue》 is used as the basis for inferring the actual conditions of craft production through the policy and educati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ing. It was manufactured at Leewangjik Art Workshop for production of the royal vessels with the intention of rehabilitating the tradition of Joseon royal family in the period of the disorganization of Dynasty. However, despite over 30 years' operation, the aspects of craft design witnessed a change by periodical situation autonomy couldn't be guaranteed. The term ‘Design(圖案)’ is a new word coined from the Japanese tradition of ‘Potter’ and ‘Designer’. It's a translated word of design made by Noutomi Gaijiro for participation in Vienna World Expo in 1873(明治 6). ‘Design(意匠)’, also used as the translated word of design, still remains in examples of an ‘Industrial Design’ or ‘Registration of Design’. In addition, ‘Hado’, meaning a rough drawing or draft in the Meiji period, was used commonly with the terms design, Hahwa and Hahoe, but recently with the term design. The existing terms are also important as the historic materials as instructions for manufacturing process are recorded. However, ‘Design(圖案)’, containing the abstract and conceptual meaning as the translated word of design, was mainly used and settled. Such a term was flowed into Joseon in the early 1990 through catalogues published intensively in Meiji 30s. And, as the most basic formative element deciding the forms of craft including form, color and pattern, design tak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research on the craft history in Korean⋅Japanese Enlightenment period. This study grasps for process of the design term which was born as the translated word by Noutomi Gaijiro, used together with ‘Design(意匠)’, Hado, Hahoe. and finally settled. In the contemporary times, craft design will be a starting point in the etymology of design to plan for the form of products. Starting from the formation of East Asia, especially Japanese craft design,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its acceptance and development, differentiation from craft design to design with nationalistic perspective from catalogues in KoreanㆍJapanese Enlightenment and early modern periods. As the Western craft design which influenced the Meiji design, design and catalogues of Emile Reiber who belonged to French Cie & Christofle company, existed in the list collected by Hanging Picture Products which manufactured 《The Onchi catalogue》, so their corelation was also found. In the existing studies, when examining design from the inclusive category of drawing renamed from hanging pictures, it was considered generally to be influenced by British drawing education. However, if inspected the formation of deep coloring Meiji design painters drew, Meiji government reorganized school system to French model in 1872. And there existed association with French catalogues manufactured under the influence of Japonism. So, it’s regarded that Meiji craft design was influenced by that of France. The emphasis on craft design was the logical conclusion from an angle of nationalism in the KoreanㆍJapanese modern times. So, modern craft design has a significance as the active representation of intention to improve crafts for productive increase and industrial promotion and then as the pivot for certain time after differentiation into the new gen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