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진경-
dc.contributor.author김현정-
dc.creator김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1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4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139-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litics of the body in the works of Orlan(1947~ ). She has been actively contributing for the past 50 years, using her own body as the medium. She gained prominent acclamation and fame in the 90’s for her performances that involved the thought provoking means, the cosmetic surgery. Nevertheless, the study and critique on Orlan has been unproportionally focused on her cosmetic surgery performances. There has been an absence of complementary study of art to define every aspect of her works. Therefore, the paper, considering the political messages that were repeated throughout her works of body, was designed to discuss how the body became an issue of political strategies by her techniques and the messages she intended. 1960’s was a time of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meeting the needs and desires of the public to correct the chronic problems in France. Especially the 68 movement, which was a milestone for major changes in the ways the French reasoned and lived, rejected the prevalent patriarchal values and demanded democratic equality not only in everyday life but also in legislation. In other words, it was a revolutionary movement to change the existing social system and structure. From 1960’s onwards, some artists began to use their bodies because they saw art as a part of the everyday life and perceive the body as the means of expressing individualism by accentuating its ordinary and mundane political values. Therefore, the body became a symbol of social character which was prevalent at the time and gained its political importance to speak against the oppressing reality. Considering this particular social and art trend in the 1960’s, the political characteristic of art that involved the body was well defined in the artistic works of Orlan and thus is a tool to analyze her works. Orlan was an artist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changes in 1960’s and introduced social problems in art. Her intention was to introduce a new alternative to conventional art by treating her body like a sculpture and raise awareness of the existing social situations and problems through her works. Through her measuring performances that involved the use of her own body, she delivered a self that owned her own identity and disclosed the male dominance in everyday life. She suggested a new interpretation of female body which was the subject for staring by removing the male point of view of female body to her own. Furthermore, Orlan threw a question on the identity of women in society by disguising herself as a Madonna and prostitute at the same time, thus making her stand that the identity of women was not a fixed idea. In addition, she used cosmetic surgery as a tool to suggest a possible change for the existing value system and deny the conventionalized idea of beauty. She refuted the western Christian values that restricted the human body as well as conventionalized identity by actively modifying her body without pain. She also continuously pursued changeable body and identity. Lastly, as a criticism against the western superiority and authority over other cultures, she argued for the acceptance of racial, cultural, political and historical difference by integrating different cultures into one body by applying digital technology. She tried to break down the barriers that existed among them. By giving a new interpretation of her own body, Orlan made a statement that the social premises such as the social constraints and conventionalized values imposed on the human body are fictional. She brought awareness of the instability of the body and the flexibility of identity attached to it. As a result, she proved that no value is subject to permanence that everything changes. Even though the approaches that she used to express her body and meanings that she inflicted changed depending on the social situation at the time, the political statements that she continuously made by defining her body as an entity which owned its own identity and transforming it to speak against social oppressions and ownership imposed on it have shown great consistency. Based on this premise the paper suggests a complimentary perspective, rather than a limited one, of her works.;본 논문은 올랑(Orlan, 1947~ )의 예술작품에 나타난 몸의 정치학에 관한 연구이다. 올랑은 자신의 몸을 매체로 50여 년 동안 끊임없이 작품 활동을 지속해 오고 있으며, 1990년대에 성형수술이라는 도전적인 방식으로 퍼포먼스를 진행함으로써 보다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올랑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비평은 성형수술 퍼포먼스에만 집중되어 있어 그녀의 작품 전체를 총괄하는 미술사적 연구가 부재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올랑의 신체 작업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정치적 메시지에 초점을 두고 주요 작업방식에 따라 올랑의 몸이 어떠한 정치화 전략으로 쟁점화되며 그 목적은 무엇인지 논의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의 프랑스는 잠재하던 사회적 문제점들이 변혁의 욕구와 맞물려 정치․사회 전반에 대대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특히 프랑스인의 사고와 생활전반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68운동은 기성세대에 만연한 가부장적 권위주의를 거부하고, 일상생활에서는 물론 제도적 영역에서도 민주적 평등관계를 요구했다. 이는 궁극적으로 기존 사회의 모순된 체계와 구조를 혁명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한 움직임이었다. 한편 1960년대 이후의 몸을 매체로 한 예술가들은 예술을 삶 속의 경험으로 보았고, 일상적이고 세속적인 정치적 개념을 부각시키며 몸을 주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삼았다. 이로써 몸은 시대적 성격이 통합된 요소로서 당대의 억압적 현실을 구현하며 정치성을 획득하게 되었다. 이처럼, 1960년대의 사회상과 미술사의 맥락 속에서 몸을 매체로 한 미술의 정치적 성격은 올랑의 예술작품 속에서 구체화되어 나타나며 이는 올랑의 예술작품을 동일한 맥락 안에서 해석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올랑은 1960년대 사회 변화의 움직임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사회문제를 예술 속에 도입하고자 했다. 올랑은 자신의 몸을 조각처럼 다루며 새로운 미술의 대안을 제시하고 동시대의 사회적 상황과 문제의식을 작품 속에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어 자신의 몸을 사용한 측정 퍼포먼스를 통하여 주체성을 가진 자아로서 행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삶의 공간속에 내재된 남성적 지배구조에 대해 폭로하였다. 또한 올랑은 과거 응시의 대상으로 표현되었던 여성의 몸과 이를 바라보는 남성의 시선을 작가의 주체적인 시선으로 패러디함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였다. 나아가 올랑은 사회 속에 존재하는 여성상에 대해 질문하기 위하여 성녀와 창녀로 동시에 분하여 궁극적으로 어떠한 여성성도 고정되지 않음을 이야기했다. 이에 더하여 기존에 존재하는 모든 가치체계의 변화가능성을 시사하고, 고착화된 미의 개념에 반문하기 위하여 성형수술을 표현의 수단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고통 없이 신체를 적극적으로 변형함으로써 몸을 억압해 온 서구의 기독교 문화관에 대항하고, 고정된 정체성을 거부하며 끊임없이 변화가능한 몸과 정체성을 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서구사회에 만연한 타 문명에 대한 지배의식과 권력의식에 대한 비판으로 디지털 합성사진을 이용한 문화적 몸의 혼합을 통하여 인종, 문화, 정치, 역사적 차이를 수용하고 이들 간에 존재하는 간극을 없애고자 하였다. 올랑은 몸에 가해진 사회적 제약이나 인습화된 가치관을 자신의 몸으로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사회적 조건들이 허구임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그녀는 몸의 불완전성에 주목하며 시·공간이 변화함에 따라 달라지는 몸과 그에 따른 정체성의 변화가능성을 보여주었고 궁극적으로 어떠한 것도 고정불변할 수 없음을 이야기한다. 올랑의 작업에서 몸이 표현되는 방식이나 그 의미는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달라져왔지만, 올랑이 몸을 주체성을 가진 존재로 상정하고 이에 가해지는 사회적 압력과 지배담론에 대항하기 위하여 자신의 몸을 끊임없이 쟁점화하며 일관된 맥락 속에서 정치적 발언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목해야 한다. 본고는 올랑에 대한 기존의 단편적인 해석에서 나아가 하나의 일관된 논지 위에서 그녀의 작품 전반을 살펴보았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II.올랑의 정치적 태도의 배경 4 A.1960년대 프랑스의 정치·사회적 배경 4 B.몸을 매체로 한 미술의 정치성 12 III.작업방식별로 본 정치화 전략 18 A.신체 조각 18 B.측정(MesuRages)퍼포먼스 22 C.기존작품의 패러디 26 D.'성녀-창녀'퍼포먼스 32 E.성형수술 퍼포먼스 42 F.디지털 합성사진 50 IV. 결론 56 참고 문헌 60 도판 목록 67 도 판 73 Abstract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878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올랑(Orlan)의 예술작품에 나타난 몸의 정치학-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olitics of the Body in Orlan's Works-
dc.creator.othernameKim, Hyun Jeong-
dc.format.pagei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