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3 Download: 0

朝鮮後期 透刻白磁 硏究

Title
朝鮮後期 透刻白磁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Tugak Wor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uthors
정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first, the manufacturing skill and the background of Tugak(透刻) works' production, especially white porcelai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econd, hierarchical tendency reflected in Tugak works through a variety of historical records and remains. Tugak skills had been utilized in various ways for manufacturing white porcelains than we expected. Tugak skills have two sub-categories, in which there is "one-layer skill"; the way of carving or making holes following the line of patterns. and also is "double-layer skill"; the way of carving patterns on the outsided-layer of a porcelain. Again, these skills can be categorized into two parts in terms of carving style; one is the way of using 'carving knife' and the other is that of using 'mold.' From historical records and Eui-gue(儀軌), it is found out that Tugak skill was called as other names such as "Ru-jak(鏤作)", "Jo-ru(雕鏤)", "Jo-gak(彫刻)", "Jo-gak(雕刻)." These names might have been derived from wood work considering the similarity between Tugak works and wood works. The background of Tugak work's production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nflow of Chinese culture. Due to attributions from diplomats who visited China for official duties, various Chinese products flew in Joseon and became popular in some parts of people with bargaining power for them to order the products to be manufactured. The second part is the expansion of private-handiwork as the alternative of woodcrafts. At that time, Joseon was in an economically innovative period due to improvement of agriculture, boom of monetary economy, and privatization of handiwork manufacturing. For this development, the traditional hierarchy of status was demolished with newly spawned classes such as rich farmers and merchants who were very fond of luxurious woody-writing suppliers because of their symbolizing high-class status.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luxurious chinese products and writing suppliers, raw materials for manufacturing the products, such as wood, were in short. For preventing these material's shortage, the government prohibited logging and this announcement might have caused the production of Tugak white porcelain as an alternative of woody works. Also, as private-handiwork expanded, the spread of Tugak porcelains were activated by people of the class who had advantages of tasting new culture. Here, it is found that the patterns on Tugak porcelains have similarity with those on products of Royal family. These patterns might have been carved by some skillful craftsmen because of their intricateness and complexness. In addition, the tendency of possessing expensive products could have been reinforced with habit of pricey consumption. This tendency would have been likely to affect the spread of Tugak porcelain. Therefore, Tugak porcelain can be concluded to connote the hierarchical tendency. Tugak works can be studied in terms of manufacturing style of each model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The model of Tugak works can be categorized into writing suppliers, religious services, and other porcelain items. Again, writing suppliers can be detailed into brush cases, water containers, brush washer, and brush rack. Brush cases, which take large portion of total Tugak works, show the similarity to woody works in terms of manufacturing style. Water containers were usually made by double-layer skill, by which only skillful craftsmen could have manufactured them. Elaborated with splendid colours such as blue or gold, water containers might have been considered as luxuries. Religious services and other porcelain items have sub-categories such as incense burners, pedestals, pipe racks, feet supporters, coasters, and incense boxes. According to the elaboration trend in the late Joseon, incense burners show the variation of Tugak patterns which represent not only the beauty but also the functionality of circulating air. Tugak patterns can be divided into animal patterns, plant patterns, and other patterns; the first patterns are usually carved with cloud patterns or alone, and the second patterns are carved as a variety of patterns such as grape, lotus, peony, plantain patterns. Other than these, the third patterns are carved as Man(卍) patterns, eight trigram patterns, and geometry patterns which are easily elaborated by carving knife. From thes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patterns on Tugak works share their characteristics with those on other contemporary works. Man patterns and eight trigram patters on Tugak works show their similarity with those on woody works which are considered their origins. Dragon and plantain patterns share common characteristics with those in contemporary drawings, which makes us infer their primary users as privileged people. Also, grape and peony patterns shows their characteristics shared with those on contemporary white porcelains in terms of composition and expression. In other words, it is concluded that Tugak patterns share their characteristics with other contemporary works and reflect the high classes' preference who acknowledged their symbol of privilege.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ugak can be summerized into follows; the first, they are very related to Chinese products which were brought into Joseon by diplomats in the period of 18-19th century. The second, they show similarity with other works, such as woody, jade, and ivory works, in terms of their appearance and patterns. The third, as private-handiwork expanded, the spread of Tugak porcelains were activated by people of the class who had advantages of tasting new culture. The fourth, Tugak works show not only the beauty but the functionality and the fifth, they share patterns on other contemporary artworks. From these characteristics, we can conclude that Tugak works reflect hierarchical tendency in terms of economic status. The main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he profound analysis of models and patterns of Tugak porcelains based on the context of diplomacy, economy, culture, and institution to infer hierarchical tendency reflected in Tugak works.;본 논문은 조선후기 도자공예에 나타나는 투각기법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문헌기록을 통해 제작기법과 생산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현전하는 유물을 분석하여 투각백자를 향유하는 계층의 경향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조선후기 도자공예에 사용된 투각기법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세부적으로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었다. 문양 또는 문양의 바탕면에 구멍을 뚫거나 파내어 시문한 단층투각, 두 개의 벽으로 이루어진 도자기의 외벽에 문양을 시문한 이중투각이 있다. 이들은 시문하는 방법에 따라 조각도를 이용하는 방법과 기물의 형태 혹은 문양의 틀을 이용해 제작하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사용된 투각의 명칭은 문헌기록과 의궤를 통해 ?透刻?뿐만 아니라 鏤作ㆍ雕鏤ㆍ彫刻ㆍ雕刻 등이 확인된다. 이들은 주로 木物에 관련된 시문기법이지만 현전하는 유물과 비교해 봤을 때 투각백자에 나타나는 기형과 문양이 공유되는 경향이 있어 목공예에서 쓰인 용어를 차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다음으로 조선후기 투각백자가 제작된 배경에 대해 두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중국문물 유입에 따른 투각백자의 생산을 들 수 있다. 중국사행을 다녀온 사신을 통해 중국에서 구경하거나 구입한 다양한 물화가 국내로 유입되고 일부계층에서 이에 호응하여 직접 주문제작을 하였다. 둘째, 원료수급 문제에 따른 대안과 사번의 확산으로써 투각백자 생산의 확산을 들 수 있다. 당시 조선은 농업 생산력의 발전과 관영수공업의 민영화, 상품ㆍ화폐 경제의 활성화로 경제력이 증대되고 유통이 발달하여 전체적인 경제가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되어 갔다. 이러한 경제적인 발달로 기존의 신분구조가 붕괴되었고 새롭게 대두된 계층에서 양반의 전유물로 생각되는 학문과 고급화된 기물에 대한 선호도가 대단하였다. 더불어 조선에 유입된 고급화된 중국물화 및 문방용품에 대한 수요층이 증가되어 목재 등 원자재의 부족현상이 가속화되었다. 이에 국가적 차원에서 禁伐令을 내리게 되었고 고급기물을 모방한 투각백자가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제도적으로 사번이 확산되면서 분원에 접근이 쉽거나 새로운 문물을 접할 기회가 많은 계층에 의해 투각백자의 생산이 확산되었다. 여기에는 왕실소용 기물의 圖式에서 나타나는 문양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문양은 화려하고 투각기법으로 시문하기 까다로워 일부 장인들에 의해서만 제작할 수 있었을 것이다. 더불어 높은 가격으로 인해 경제적 부를 갖춘 수요자의 취향이 반영되어 화려한 기물을 소유하고자 하는 소비성향에 힘입어 조선후기 백자장식기법의 하나로 유행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투각백자에는 향유하는 계층의 경향성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재 전세되고 있는 투각백자를 대상으로 각 기종과 기형의 제작양상과 특징을 비롯한 문양별 표현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투각백자의 기종은 크게 文房諸具와 儀禮器 및 生活器皿類로 분류할 수 있다. 문방제구는 다시 세부적으로 필통ㆍ연적ㆍ필세ㆍ필가로 나누었다. 필통은 투각기법이 시문된 기종 중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다양한 제작양상과 목죽공예품과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적은 이중투각기법으로 시문되어 투각백자 중 가장 까다로운 제작 과정을 거친다. 더불어 청채ㆍ동채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예가 많아 백자 중 고급기명으로 선호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의례기 및 생활기명류는 향로ㆍ좌대ㆍ담뱃대받침ㆍ고족기ㆍ잔탁ㆍ향합이 제작되었다. 이 중 향로의 경우 향 배출이라는 기능성이 강한 투각문양이 조선후기 장식경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기종에 활용된 투각기법은 문양이 가지는 장식적인 효과와 더불어 연기배출ㆍ공기소통 등 기능성이 동시에 부과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투각문양을 동물문ㆍ식물문ㆍ기타문 등 소재별로 나누어 표현의 특징에 관해 살펴본 결과 동물문은 단독으로 시문되기도 하지만 주로 운문과 결합한 구성으로 등장하며 식물문은 포도문ㆍ연화문ㆍ모란문ㆍ파초문 등 기종에 상관없이 다양한 문양이 표현되었다. 이 외에 조각칼을 이용하는 투각기법으로 표현하기 용이한 만자문ㆍ팔괘문ㆍ기하학문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투각백자에 시문되는 문양은 현전하는 동시대 미술공예품에서 다양하게 표현되는 문양들을 함께 공유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고찰해 본 결과 목죽공예품을 그대로 모방한 만자문ㆍ기하학문은 도자공예에서 투각기법이 영향을 받은 원류를 보여주고 있다. 용문과 파초문은 동시기에 제작된 각종 회화와 공유되는 문양으로 한정된 계층에서 향유한 문양으로 파악된다. 또한 모란문과 포도문은 청화백자와 문양의 구성과 표현방식의 연관성을 들어 동시기 백자문양간의 공유현상을 확인하였다. 즉, 투각문양은 동시기에 제작된 미술공예품의 문양과 공유하면서 소재가 가지는 특성을 인식하고 있는 한정된 향유계층의 경향성이 투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토대로 조선후기 투각백자의 성격과 의의에 대해 정리하면, 첫째 18~19세기 연경사신에 의해 유입된 중국의 다양한 물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둘째, 사번의 확산에 따라 소비층의 취향을 십분 반영한 투각백자를 제작하였다. 셋째, 동시기 옥기ㆍ목기ㆍ상아와 같은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 공예품의 기형과 문양을 응용하여 모방ㆍ번안하였고, 넷째 동시기 미술공예에서 유행한 문양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투각백자를 통해 백자의 기능성과 장식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투각백자는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드러난 향유계층의 경향성을 반영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투각기법이 활용된 도자기의 기형, 문양에 대한 분석과 함께 이와 관련된 외교ㆍ경제ㆍ문화ㆍ제도적인 다양한 상황들이 총체적으로 작용하여 향유계층의 경향성을 반영하여 제작된 투각백자의 면모를 파악한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