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5 Download: 0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목회적 돌봄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목회적 돌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the Suicide Prevention of the Elderly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Authors
김연실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희성
Abstract
본 논문은 노인자살에 대한 심리학적, 신학적 고찰을 통하여 목회상담의 장에서 노인의 상실과 절망에 대한 치유와 돌봄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통해 노인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노인 자살의 특징을 살펴보고, 늘어가는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하여 자살 시도자나 자살 생각을 가진 내담자들을 위해 목회 상담적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보았다. 우리는 누구나 노인이 된다. 어느 누구도 어김없이 찾아오는 노년기를 피할 수는 없다. 노년기는 자신의 인생을 행복하고 의미있게 마무리하기 위한 인생의 결실기이자 완성기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여러 가지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변화를 겪게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에 현명하게 대처하며 인생을 품위 있게 마무리하는 일은 우리 모두에게 주어진 인생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노년기를 성공적으로 영위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될 수도 있다. 이 시기에는 인생을 품위 있게 마무리하는 데 방해가 되는 여러 가지 함정과 위험들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노인들은 신체적 질병과 심리적 문제들, 직업역할과 경제력의 상실, 배우자의 상실로 자살을 선택하게 된다. 자살은 무력감에 대한 최종적인 반응이며, 미래에 대한 전망이 없고 살아갈 이유가 없다고 믿는 데서 오는 행동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노인자살을 심리학적, 신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목회상담이 노인자살예방의 장이 되어야 하는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프로이트는 자살을 ‘내부로 향해진 분노’로 개념화하여 인간은 삶의 본능과 죽음의 본능을 가지고 있으며, 죽음의 본능은 파괴 본능, 강한 공격 욕구를 유발한다고 본다. 자살행위는 양가감정의 대상 상실로 인한 죽음의 본능으로부터 파생된 파괴 본능에 의한 공격성이 자신의 내면세계로 향해진 결과를 의미한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노인자살의 원인이 되는 분노와 우울증을 이해하고, 가족대화기법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자살에 대한 신학적인 입장은 정죄였다. 자살을 시도하려거나, 시도한 이들에게 중한 죄의식을 심어주면서 자살을 방지하려는 모습으로 입장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최근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은 질병의 한 증상으로 발생할 수 있음이 연구되면서, ‘자살은 중한 죄’라는 견해를 재고해 보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목회상담가와 기독교 공동체가 자살 시도자들이 정상적인 생활을 다시 시작 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도와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돌봄의 형태를 고찰함으로서 신학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자원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자가 2010년 1년 동안 보건복지부 용역사업으로 진행한 경로당 『노인자살예방프로그램 실효성 검증 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자살예방을 위해서는 노인 교육과 찾아가는 상담의 필요성을 요구되었고, 적극적인 교육과 상담, 돌봄을 통하여 노인의 우울증과 자살에 대한 생각이 크게 감소되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살펴본 노인자살예방을 위하여 교육과 상담은 목회적 돌봄에 있어서 노인의 관계성 회복과 희망적인 미래 창조성 표출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목회적 돌봄에 있어서 노인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깨닫고, 목회적 돌봄에서 왜 교육과 상담이 병행되어야하는가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또한 실제 사례를 통하여 그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절망한 노인이 희망적인 미래를 통합할 수 있도록 목회적 돌봄은 풍성하고, 충만한 공간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This thesis purposed to discuss the reasons for healing elders from loss and despair and caring for them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through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consideration of elderly suicide. For this purpose, we attempted to understand elder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icide, and at the same time, looked for methods to help visitors who had attempted and thought of suicide from the aspect of pastoral counseling in order to prevent increasing elderly suicide. Everybody grows old. No one can avoid their old age. A person’s old age is a period of fruiting and maturing for concluding his/her life happily and meaningfully but on the other hand people experience divers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through the period. It is an assignment of life given to all of us to cope with these changes wisely and to finish the life with dignity. It can be an extremely difficult task to lead a life in old age successfully because there are various hidden traps and dangers that hinder the elegant conclusion of life. Elders choose suicide when they suffer physical diseases, psychological problems, the loss of vocational roles and economic power, and the loss of the spouse. Suicide is the last response to powerlessness. It is a behavior out of the prospect of hopeless future and the absence of reasons to live further. By exploring the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aspects of elderly suicide, this thesis aimed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pastoral counseling as a ground for preventing elderly suicide. In the psychological aspect, Freud, conceptualizing suicide into ‘anger turned inward’ viewed that humans have both life instinct and death instinct and death instinct induces destroy instinct and a strong desire of aggression. He explained that a suicide behavior occurs when aggression out of destroy instinct derived from death instinct caused by the loss of an object of ambivalence is directed to the person’s inside. What is more,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anger and depression, which cause elderly suicide, and examined the importance of family conversation techniques. The theological position to suicide has been condemnation. It was to prevent suicide by implanting a severe sense of guilty in those who have attempted or are about to attempt suicide. However, the view that ‘suicide is a serious sin’ is now reconsidered as suicide driven by depression can be a pathological symptom. For this reason, this study looked for resources available in theology by examining types of caring that pastoral counselors and Christian communities may provide to suicide attempters for their resuming of normal life. This study analyzed ‘A Study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Elderly Suicide Prevention Programs’ that the present researcher conducted for elders at senior centers as a project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a year in 201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education and visiting counseling for elders were required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and active education, counseling and caring reduced elders’ depression and their thought of suicide considerab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play a crucial role for elders’ restoration of their relations and their expression, their hopeful future, and their expression of creativity. Thus, realiz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elders in pastoral caring, we discussed why education and counseling should be provided together in pastoral caring. What is more, the importance was confirmed through a case study. Through a series of these efforts, we expect that pastoral caring can create a rich and full space where elders in despair can be integrated into hopeful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