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6 Download: 0

치약의 감각적 특성, 기호도 및 구매행동과 소비자 인지에 의한 유사성

Title
치약의 감각적 특성, 기호도 및 구매행동과 소비자 인지에 의한 유사성
Other Titles
Perceived similarity, sensory characteristics, consumer acceptability and purchasing behavior of toothpaste
Authors
김지윤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광옥
Abstract
본 연구는 묘사분석을 통해 치약 제품의 감각적 특성을 파악하고, Napping?? 절차를 사용하여 소비자가 인지한 유사성을 조사하여 치약의 다양한 감각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맛과 향과 같은 제품 관련 요인, 연령과 성별 같은 소비자 관련 요인 및 가격, 가구 소득 등과 같은 환경 관련 요인이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보의 유무에 따른 소비자 검사가 수행되었다. 묘사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국내외 치약 제품 8개에 대한 감각적 특성 강도를 도출하였으며 Napping?? 검사를 통해 4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치약 제품 간의 유사성 및 이질성에 따른 소비자의 치약에 대한 인지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소비자 검사를 통해 16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령별, 성별, 제품의 정보 제시 유무에 따른 치약의 다양한 기호도, 추후 구매 의향, 치약 제품 구매 관련 사항 및 인적 사항을 조사하였다. 치약 제품 8종에 대한 묘사분석 결과, 향미 및 입안 감각 특성에 대해 총 15개의 감각적 특성이 개발되었으며 모든 특성들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치약 제품에 대해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PC1에 대해 멘톨 향미, 페퍼민트 향미 및 시원한 감각이 양의 방향으로 강하게 부하되었으며 가루끼 및 스피아민트 향미는 음의 방향으로 강하게 부하되었다. PC2에 대해서는 양의 방향에 쓴맛과 떫은 감각이 강하게 부하되었으며 음의 방향에는 레몬차 향미, 보이차 향미, 아니스 향미, 및 단맛이 강하게 부하되었다. Napping?? 검사 결과, 소비자가 치약에 대해 인지한 유사성은 전문 패널에 의해 수행된 묘사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관측할 수 있었으나, 사용된 언어의 전문성이나 정확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Napping?? 검사 결과를 묘사분석 결과 없이 분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었다. 소비자 검사 결과, 기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는 멘톨 향미, 페퍼민트 향미, 시원한 감각 및 단맛과 같은 일반적인 치약에서 인지되는 특성들이었으며,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는 신맛, 가루끼, 떫은 감각 및 쓴맛과 같은 특성이었다. 정보의 유무에 따라서는 추후 구매 의향의 경향이 달라지는 결과를 관측할 수 있었다. 소비자는 가격이 비싸거나 브랜드 인지도가 약한 제품에 대해서는 낮은 추후 구매 의향을 보였으나, 주로 사용하는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의 제품에 대해서는 높은 추후 구매 의향을 보였다. 연령 및 성별 그룹 간에도 상이한 결과를 관측할 수 있었다.;Number of toothpaste on the market has been increased not only by the multiple flavors for the specific consumer needs and preference, but also by the functionality such as whitening, scaling, removal of halitosis, etc. There are many studies focused on functionality of toothpaste, but few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consumers’ perceived similarity of toothpaste using napping procedure, (2) to identify sensory attributes inducing consumer liking and, (3) to compare acceptability and purchase intent depending on the product information, consumer demographics, etc.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eight different types of toothpaste, among which 6 samples were domestic products and the remaining samples were the imported. The samples were diluted with water for the evaluation. Eight panelists were selected, trained, developed fifteen attributes and selected reference samples. Forty subjects were recruited and asked to locate the samples in the table cloth with their perceived similarity. One-hundred and sixty subjects, balanced in ages and sex,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two subgroups, blind and informed. They all rated overall liking and purchase intent and the informed group additionally rated design liking, brand liking, effect of labeling on purchase, and price satisfaction.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is indicated that sensory attributes (twelve flavor and three mouthfeel attribut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oothpaste samples and overall liking was markedly affected by sensory characteristics in the blind group. Sweet taste and anise flavor gave the positive effect and sour taste, chalky and astringent mouthfeel, the negative effect. Consumer liking and purchase intent were also influenc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especially price and the brand, but the flavor attributes were still very important for acceptability even when product information was present. The results were marginally affected by the consumer demographics such as age, sex, family structure, et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