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7 Download: 0

韓國漢字音 初聲과 漢語 聲母의 對照 硏究

Title
韓國漢字音 初聲과 漢語 聲母의 對照 硏究
Other Titles
A Contrastive Study on Consonants in Sino- Korean and Chinese : An Approach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of
Authors
Wang, Liqun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창원
Abstract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오늘날 한국어에서 한자 어휘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어족에 속하고 이들의 음운체계에도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같은 한자일지 라도 양국에서 그 독음이 서로 다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차이를 일으키는 원인은 한자가 도입된 당시부터 양국의 어음체계 차이로 인해 한국어로 한자의 음을 표기하는 데 한계가 있어 중국어 원음의 음운과 일대일의 대응을 이루지 못한 것과, 고대로부터 현대로 오는 동안 양국 한자어음이 서로 다른 변화를 겪었기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따라서 현대 양국 한자음 간의 내재적인 대응관계를 밝히려면 차이를 일으키는 이들의 두 가지 원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훈몽자회>는 대체로 15, 16세기, 즉 중세시기의 한국 현실한자음의 실태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 이미 많은 연구에 의해 입증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자회 수록자를 표본으로 삼아 성모에 한정하여 양국의 한자음 및 한자음의 변화규칙을 대비해 보았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한국한자음의 모태인 중고한어의 성모체계를 그 간의 논의에 따라 정리했고, 이어서 자회 한자를 중고한어 성모에 따라 분류하여 개개의 성모에 해당하는 한자의 초성 표기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중세한국한자음 초성과 중고한어 성모 간의 대응관계를 분석해보았다. Ⅲ장에는 자회 한자의 중고한어 성모와 현대 중국어 성모를 대비하는 것을 통해 한어 성모의 변화를 살펴본 다음, 해당 한자의 자회 초성 표기를 현대 한국어에서의 초성과 비교하여 한국한자음 초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변화에 있어 양국이 어떻게 다르고 같은지를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대 한국한자음 초성과 현대한어 성모 간의 대응관계를 정리해보았다. 구체적인 논의 방법은 한국한자음 초성 변화의 규칙과 연관지어 현대 한국한자음 초성에 대응되는 중고한어의 성모를 정리한 뒤, 이들의 성모가 현대 중국어에서 어떻게 분화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해당 초성에 대응되는 현대 중국어 성모를 유추해내는 것이다. Ⅴ장에서는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고 결론을 내렸다. 그동안 한국 한자음과 중국어음의 비교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각도에서 매우 많이 진행되어 왔는데, 교육적인 측면에서 출발하여 양국 한자음의 발음을 대비한 연구가 없지 않으나 그것이 대부분 현대적인 관점에서만 진행되었기 때문에 표면상에 존재하는 대응관계를 수립했을 뿐이다. 본고처럼 양국 한자음의 변화의 차이에서 출발하여 현대 한국 한자음과 현대 중국어음의 내재적인 대응관계를 파악하려는 연구는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조 분석의 결과를 통해 현대 양국 한자음의 대응에 대한 인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중국어 교육, 그리고 후행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As everyone knows, Chinese characters account for a big part of the Korean language. Because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belong to different language groups and there is quite a big difference in their sound systems, many of the same letters are pronounced differently in each country. The main causes of this difference in pronunciation could be analysed as a limitation of the sound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in pronouncing the words in the original Chinese way and the changes that both languages have experienced from ancient time to the present. Therefore, in order to clarify the inherent relation between each country's modern pronunci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we have to consider both of the aforementioned causes synthetically. It has been proved through many studies that (훈몽자회) reflects the actual state of the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medieval times, around 15~16th centuries. In this report, I have compared the two countries'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rules of pronunciation, based on the characters contained in (훈몽자회), limiting the comparison to consonants. In chapter 1, I have stat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introduced some researches done in the past. In chapter 2, I have studied the Sungmo(성모: consonant in Chinese) system of Middle Chinese which is the matrix of the Sino-Korean pronunciations, according to the discussions so far, and have classified the Chinese characters of (훈몽자회) according to the Sungmo(성모) system of Middle Chinese, analysing the aspects of Chosung(초성: consonant in Korean) markings. Throughout these processes, I have analysed the relation between the Chosung(초성) of the medieval Korean pronunciation and Sungmo(성모) of Middle Chinese. In chapter 3, first I have studied the changes in Haneo Sungmo(한어성모: Chinese consonants) by comparing the Sungmo(성모) in Middle Chinese and that in modern Chinese, and then contemplated about the change in Sino-Korean Chosung(초성) by comparing letters' in (훈몽자회) with Chosung(초성) in modern Korean. Finally I have explained how both countries are same and different in terms of these changes. In chapter 4, I have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the Chosung(초성) of modern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letters and Songmo(성모) of modern Chinese, based on the former context. In chapter 5, I have summed up the report and reached a conclusion. So far, studies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letters and the Chinese pronunciation have been conducted from many angles. However, they have only established a superficial relation between the two because they were done from only a modern perspective. There have not been many active studies trying to find out a deeper, more inherent relation between the two pronunciations, like this report, starting from the difference in the changes both pronunciations have gone through. Thus, I wish this report could contribute to a better recognition of both Korean and Chinese pronunciations of Chinese letters, to the education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as foreign languages, and to the studies that are to be don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