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김영란-
dc.creator김영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7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8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878-
dc.description.abstract통합학교를 중심으로 적용되던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교정 시설이나 특수학교 같은 교육환경으로까지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통합학교에서 실행된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에 대해서도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하 보편적 지원)과 소집단 중심의 긍정적 행동지원(이하 소집단 지원)에 장애학생이 배제되고 있다는 문제제기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Hawken & O'Neill, 2006). 국외 연구와 유사하게 초기에는 초등 통합 상황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국내 연구들도(김미선, 송준만, 2006) 최근에는 중등과정 학생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을 뿐 아니라 대안학교나 특수학교 등 특수한 교육 환경에서도 그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여희영, 2010; 이가정, 2010). 이러한 국내외 연구 동향은 교육환경이나 장애유무와 관계없이 모든 학생이 혜택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기본 철학을 반영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특수학교가 갖는 특수성과 특수학교에 기대되는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요구, 점차 중도, 중복화되는 특수학교 학생들의 문제행동 심화와 그로 인한 교사들의 지원 요구는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필요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들을 위해서는 이들의 특성을 고려한 중재 전략의 수정과 의미 있는 성과 확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의 문화적 특성에 기초하여 학교 전체의 체제 개선 노력 속에서 교직원들이 팀을 이루어 보편적 지원과 개별 지원을 결합한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하였고, 그 효과를 학생의 행동과 개별화교육목표 성취, 학생 행동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학교에서 실행되었고, 연구 참여자는 초등과정 전교생 34명과 교직원 20명으로, 학교 관리자인 교장과 교감 2명, 담임교사 7명, 교과전담교사 4명, 그리고 특수교육 보조원 7명이 행동지원 팀으로서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자와 담임교사 7명은 리더십 팀을 구성하여 중재의 계획과 실행, 성과 점검 및 협력적 문제해결, 의사결정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약 5개월에 걸쳐 실행되었으며 보편적 지원은 초등과정 전교생에게, 문제행동의 정도가 심하여 보다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한 세 학생에게는 개별 지원을 추가로 제공하였다.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학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보편적 지원을 받는 전교생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를 포함해 총 5차례에 걸쳐 정기적으로 수업 녹화 자료 관찰과 분석을 통해 수업참여행동을 측정하였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에 대해 두 종속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개별 지원을 추가로 받는 개별 지원 대상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은 수업 녹화 자료 관찰과 분석을 통해 총 10회 반복 측정하여 변화 추이와 정도를 확인하였다. 중재가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목표 성취 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사용하여 목표 성취 점수 환산표를 활용한 기술통계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중재가 연구 참여 교사들의 학생 행동관리에 대한 인식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는데 개별 면담 전사 자료와 참여관찰을 통해 작성한 현장노트, 리더십 팀 협의회 녹취 전사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초등과정 전교생의 수업참여행동의 사전과 사후검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보편적 지원뿐 아니라 개별 지원을 함께 받은 세 명의 대상 학생 모두 수업참여행동은 증가했으며 문제행동은 감소했다. 둘째,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초등과정 전교생 34명은 평균적으로 교사의 기대 수준을 초과(GAS T점수 평균 60점 이상)하여 개별화교육목표를 성취하였다. 학생별 GAS T점수는 모두 50점 이상으로 만족스러운 성취를 보였을 뿐 아니라 그 중 절반 이상인 19명의 학생(55.89%)이 GAS T점수 60점 이상을 받아 기대치를 초과한 성취를 보였다. 셋째, 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참여한 전체 교사들의 학생 행동관리에 대한 인식 변화를 확인한 결과 5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이해의 심화, 신념의 변화, 실천의 구체화, 학생 성과, 교사의 변화 촉진 요인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학생의 행동뿐 아니라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들의 학생 행동관리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이해, 실천, 신념, 학생 성과와 촉진 요인 측면에서 더 심화되고 구체화되도록 변화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적용 방안을 제시한 점, 학교의 제도 개선 및 교수적 지원을 통해 팀 중심의 협력적 노력과 교사의 연구 기반 실제 사용을 지원함으로써 학교의 지원 구조 속에서 교사와 학생의 긍정적인 성과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로, 다양한 환경 내 다양한 연령과 특성을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의 상황과 특성에 맞게 적용하기 위한 방안들이 마련되고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후속연구에서는 국외 연구와 같이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1년 또는 그 이상 장기적으로 실행하면서 단계적인 적용 방안과 성과에 대해 확인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School 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SW PBS) has an established evidence base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and emerging evidence suggests that SW PBS may be effective in alternative school settings like a special school.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W PBS, comprised of universal support and individual support, in a special school on the behaviors, individualized education goal attainment and to explore the perception about behavior management of special educators. Thirty-fou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wenty school staff comprised of a principal, a vice principal, 11 special educators, and 7 para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SW PBS was implemented for 5 months. To prov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the behaviors of student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one group was analyzed using two dependent samples t-test.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special educators, as the leadership team member and researcher executed participant observation regarding whole special educators' perception on behavior manag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W PBS in special school had an positive effects 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n the academic engagement of who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lementary course between the pretest and protest. Universal support and individual support increased academic engagement and decreased problem behavior of thre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individualized education goals of who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accomplished beyond expectations on average. Third, five themes and thirteen subthemes were from the qualitative analyses; (1) deepening special educators' understanding, (2) actualization of execution, (3) change of belief, (4) outcom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5) factors that facilitated change of special educators. Finally,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W PBS in special school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C. 용어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0 A.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위한 중재와 지원 10 1. 장애학생의 문제행동과 교사들의 지원 요구 10 2. 문제행동 중재에 대한 선행연구의 동향: 긍정적 행동지원 13 3.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 전략 14 B.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20 1.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정의와 특성 20 2. 학교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의 동향 34 C.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56 1.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필요성 56 2.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전략과 성과 측정 시 고려점 59 Ⅲ. 연구방법 64 A. 연구 참여자 64 B. 실험 장소 70 C. 실험 기간 71 D. 독립변인 73 1. 학교 전체의 체제 개선 노력 74 2. 보편적 지원 79 3. 개별 지원 92 E. 자료수집 102 1. 연구문제 1: 장애학생 행동의 측정 102 2. 연구문제 2: 개별화교육목표 성취 측정 106 3. 연구문제 3: 학생 행동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 측정 109 F. 실험설계 및 절차 112 1. 실험설계 112 2. 실험절차 114 G. 사회적 타당도 120 H. 중재 충실도 123 I. 관찰자 간 신뢰도 125 J. 자료 처리 방법 127 1. 연구문제 1: 장애학생의 행동 127 2. 연구문제 2: 개별화교육목표 성취 127 3. 연구문제 3: 학생 행동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 128 Ⅳ. 연구결과 131 A.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행동에 미친 영향 131 1.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과정 전교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친 영향 131 2.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개별 지원 대상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친 영향 134 B.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친 영향 138 C.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학생 행동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미친 영향 141 Ⅴ. 논의 및 제언 171 A. 논의 172 1.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행동에 미친 영향 172 2.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친 영향 182 3.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학생 행동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미친 영향 185 B. 제한점 192 C. 제언 194 참고문헌 197 부록 221 Abstract 2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511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행동과 개별화교육목표 성취 및 학생 행동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chool 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a special school on the behaviors, individualized education goal attain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erception about behavior management of special educators-
dc.creator.othernameKim, Young Ran-
dc.format.pagexi, 24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