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유치원 만 3세반 유아들의 친구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Title
유치원 만 3세반 유아들의 친구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Other Titles
An Ethnographic Study on a Children's Friend in a Class of 3-year-old at Kindergarten
Authors
김정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가 속한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만 3세반 유아들의 친구의 의미와 친구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들의 입장에서 친구의 의미는 무엇이며 1년 동안 학급에서 만나는 친구들과 어떻게 지내는지, 친구관계 형성을 위한 과제와 교사의 교수방법은 무엇인지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3세 해반 유아들에게 친구의 의미는 무엇인가? 2. 만 3세 해반 유아들이 하루 일과에서 친구들과 지내는 모습은 어떠한가? 3. 만 3세 해반 유아들의 친구관계 형성을 위한 과제는 무엇인가? 4. 만 3세 해반 유아들의 친구관계 형성을 위한 교사의 교수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F유치원 만 3세 해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이 학급의 유아 22명과 교사 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3월 9일부터 2011년 2월 15일까지였으며, 자료 수집은 총 75회의 참여관찰과 12회의 교사 심층면담, 교사와 유아의 비형식적 면담, 부모 설문 2회, 비디오 촬영 및 보이스 녹음, 사진 촬영과 문서 수집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현장 약기와 녹음 및 녹화 내용으로 현장기록과 면담 전사본, 각 유아별 프로파일을 만들었고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반 유아들에게 친구의 의미는 개인적 의미와 집단적 의미가 함께 나타났다. 개인적 의미는 나와 전부터 알고 지내는 사람, 나와 닮은 사람, 나와 놀이하는 사람, 내가 좋아하는 사람, 나를 도와주는 사람, 나와 친한 사람의 의미였다. 집단적 의미는 ‘나-너’가 결합된 내집단을 나타내는 ‘우리’의 개념이 포함되어 남과 구별된 ‘우리’, 약속을 지키는 ‘우리’, 공동체의 구성원인 ‘우리’의 의미였다. 이러한 ‘우리’의 의미는 내집단과 외집단을 구별하여 자신이 속한 내집단을 강조하는 한국적 집단주의라는 사회문화적 특성이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해반 유아들이 하루 일과 속에서 친구들과 지내는 모습은 학년 초기에는 낯설음과 경계, 중기에는 친구에 대한 관심 및 갈등과 조절, 말기에는 친밀한 관계유지와 조화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다른 유아들에게 관심을 갖기 보다는 주로 놀잇감에 관심을 보이거나 교사를 중심으로 놀이가 이루어졌고 아직 학급공동체 안에서 생활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하려는 모습이 나타났다. 중기가 되면서 해반 유아들은 점차 서로에 대해 관심을 보이며 알아갔고 다양한 상황에서 갈등과 조절이 나타났다. 말기에 해반 유아들은 친구들과 함께 지내는 생활에 익숙해지면서 관계를 유지했고 학급의 유아들과 조화로운 모습을 보였다. 셋째, 해반 유아들의 친구관계 형성을 위한 과제는 학년 초기, 중기, 말기에 따라 달라졌다. 초기 친구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과제는 부모와 떨어지기, 관심갖기, 알아가기, 마음대로 하지 않기였다. 중기 친구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과제는 어울리기, 좋아하기, 편 가르지 않기였다. 말기 친구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과제는 모두 다 사이좋게 지내기, 서로 협력하기였다. 넷째, 해반 유아들의 친구관계 형성을 위한 교사의 교수 방법은 공통 교수 방법과 시기별 특정 교수 방법이 있었다. 공통 교수 방법은 시기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공동놀이에 참여시키기, 친사회적 행동 강화하기, 의사소통 능력 증진시키기, 자기조절 장려하기, 학급의 약속 실행하기, ‘우리 모두 친구’임을 강조하기였다. 시기별 특정 교수 방법은 시기에 따라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학년 초기에는 부모와 떨어지도록 도와주기, 서로에 대해 알려주기, 중기에는 사회극놀이 확장하기, 친구에 대해 호감 갖게 하기, 말기에는 개별 유아들의 다양한 친구관계 인정하기, 폭넓은 친구관계 장려하기 방법을 사용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만 3세 유아들이 생각하는 친구의 의미 안에 ‘우리’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며, 1년 동안 하루 일과에서 친구들과 지내는 모습과 친구관계 형성을 위한 과제 및 교사의 교수방법이 학년 초기, 중기, 말기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교사는 만 3세 유아들이 생각하는 친구의 다양한 의미와 친구관계를 이해하는 한편 원만한 친구관계 형성을 위해 시기별로 시의적절한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meanings of friend related to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by observing how the term ‘friend’ is used among 3-year-old children and to examine the tasks and the teaching methods to aid to establish friendships by observing the children in the class for a year through the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meanings of friend to 3-year-old children in Hae class? 2. How 3-year-old children spend their time with friends in a class? 3. What are the tasks for 3-year-old children in Hae class to establish friendships with their classmates? 4. What are the teaching methods for 3-year-old children in Hae class to aid them to establish friendships with their classmates? The subjects were 22 of 3-year-old children and 2 teachers in F kindergarten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9th March 2010 and 15th February 2011. The data was collected by 75 times of direct observation, 12 tim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informal interview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children, 2 times of survey from the parents, video recordings and voice recordings, photograph, documentations. The researchers made the records of the scene, the interviews and the profiles of each child with the sketch, video recordings and voice recordings and the data was analyzed after categorizing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the meanings of friend perceived by children in Hae class can be classified into individual meanings and collective meanings. The individual meanings of friend were the person who I had been known, the person who looked like me, the person who played with me, the person who I liked, the person who helped me and the person who was close to me. The concept of ‘we’ representing one’s in-group consisted of ‘I-you’ was contained in the collective meanings of friend and it included ‘we’ different from others, ‘we’ keeping promises and ‘we’ the member of community. This meaning of ‘we’ was affected by the Korea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 of collectivism putting an emphasis on the in-group one belongs to distinguishing in-group and out-group. Secondly, the children showed unfamiliarity and boundary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among the classmates and the interests in the classmates and the control of the conflicts were shown in the middle stage and it appeared that they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classmates being in harmony during the last stage. At the beginning, the children showed the interests in toys more than their classmates and played around the teachers being unfamiliar with social life and wanting to do things their own ways. As time passed, the children got to know each other showing interests in their classmates and showed conflicts and controls in various situations in the middle stage. During the last stage, the children were used to their classmates and maintained their relationships being in harmony with their classmates. Thirdly, the tasks to establish friendships were changed at each stage. At the beginning, the tasks were the separation from the parents, having interests, getting to know and being out of order. Socializing, loving and preventing from grouping were the tasks in the middle stage and being in harmony with everyone and cooperation were the tasks during the last stage. Fourthly, the teaching methods to help establish friendships can be classified in to the common teaching methods and the specific teaching methods for each stage. The common teaching methods are the ones can be applied continuously and encouraging the children to take part in group plays, enforcing prosocial behaviors,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promoting self-control, keeping promises and putting an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y are all friends are included in this category. The specific teaching methods for each stage are the one required more at each stage. Welcoming to the class to help separation from parents and introducing to each other are used at the beginning and extending sociodramatic play and showing interests in classmates were used in the middle stage. Accepting various friendships and promoting a wide range of friendships were used during the last st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pt of ‘we’ was included in the meanings of friendships perceived by 3-year-old children and the outlook of social life of the children in the class for a year and the tasks and the teaching methods to aid them to establish friendships were changed throughout the stage of beginning, the middle, the last.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various meanings of friends perceived by 3-year-old children and provide appropriate assistances at each stage for them to establish amicable friendshi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