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2 Download: 0

유아의 그림을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이미지와 의미

Title
유아의 그림을 통해 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이미지와 의미
Other Titles
Images and Meanings of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Expressed through Young Children’s Drawings
Authors
조성연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young children recognize play and to see the meanings of play from young children’s point of view. It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provide meaningful fundamental data when connecting play into curriculum as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consider play as the best method in learning. The study objective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images of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expressed through young children’s drawings? 2. What is the meanings of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expressed through young children’s drawings? This study chose 551 children between four and five years old who attend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To look into young children’s recognition on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facilities, the young children drew pictures about play and had an interview about the drawing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ata organizing, 1stcategorization, calculating frequency, 2ndcategorization, meaning interpretation, and caseextr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ages of play that young children recognize is images of relationship, space, and emotion. Images of relationship are images of peers, images of teachers, and images of play meterials. Young children generally recognize their peers as major playing objects and they have positive images of peer relationship. Teachers rarely appeared on their drawings which means that they do not recognize play in connection with teachers. They were asked about teacher o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ir answers, images of teachers in play are teachers who are separated from play, teachers who observe play, and teachers who they can’t see during playing, an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play. The drawings contain many play meterials which means they consider play meterials importantly in play. Play meterials appeared in various ways a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facilities. In images of space, they recognize inside as playing space compared to outside. In specific, they considered area for building blocks, playground, and role play space as playing spaces. Moreover, they recognize playing space is physically divided and the images they recognize are variou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Images of emotion appeared on children’s facial expression on the pictures and explanation on the pictures. They expressed positive emotion images using smiley faces and various symbols. Second, they recognized free playing, outside playing, and all the other activities in the facilities as play. It tells us that they recognize fun characteristic of play rather than unstructured, free, and self-selectiv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y recognize the factors such as playing space and play meterials as things that consist, expand, or limit play. It appeared to have an impact on play relationship. The followings are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Since young children consider peers importantly in play, teachers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effect of peer relationship on play. Considering teacher’s image in play, teachers should be more careful not to shrink or disturb their play and consistently think about the role and meaning of teachers in children’s play. Young children consider play meterials importantly and the image of space that they form is affected by environment. Therefore, teachers should understand and consider these factors when forming playing spaces. In addition, the imags of play that young children form can expand or limit play, which is why teachers should look into factors of images of play that young children form. Meanwhile, young children can express their thoughts through drawings and interview. We could see that young children’s drawings and interview about those drawings reflect their world view. Teachers should try to understand their thoughts and reflect them to the curriculum and continuously study and discuss to execute the reflect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ways to understand young children’s thoughts more in depth to do so.;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이 인식하는 놀이에 대해 이해하고 유아의 관점에서 놀이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으로 유아교육기관의 학습에서 최상의 수단이라 여기는 놀이를 교육과정에 연계할 때 의미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그림에 나타난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놀이에 대한 이미지는 무엇인가? 2. 유아의 그림에 나타난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놀이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세 유아와 만 5세 유아 5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아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해 그림그리기와 그림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자료의 내용 정리, 1차 범주화, 빈도산출, 2차 범주화, 의미해석 및 사례추출의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인식하는 놀이에 대한 이미지는 관계 이미지, 공간 이미지, 감정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관계 이미지는 또래에 대한 이미지, 교사에 대한 이미지, 놀잇감에 대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유아는 놀이에서 주요 놀이 대상은 또래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또래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의 놀이에 대한 그림에는 교사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유아는 놀이와 교사를 관련지어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림에 나타난 교사의 모습과 보충적 질문에 대한 유아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이미지는 놀이와 분리된 교사, 놀이를 감독하는 교사, 보이지 않는 교사, 놀이에 참여하는 교사였다. 유아의 그림에는 놀잇감이 많이 나타나 유아는 놀이에서 놀잇감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잇감의 표현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기관의 특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공간 이미지에 대해 유아는 실외보다 실내를 놀이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세부적으로는 쌓기영역, 놀이터, 역할놀이 영역을 놀이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유아는 놀이 공간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음을 인식하였으며, 유아가 인식하는 놀이공간에 대한 인식은 기관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놀이에 대한 감정 이미지는 그림에 나타난 유아의 얼굴 표정과 그림에 대한 설명을 통해 나타났으며, 유아는 그림에서 웃는 표정과 여러 가지 기호를 통해 놀이에 대해 긍정적 감정 이미지를 나타냈다. 둘째, 유아가 인식하는 놀이는 자유놀이와 실외놀이를 포함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도 놀이로 인식하여 비구조적이고, 자유로우며, 자기 선택이 가능한 놀이의 특성보다는 즐거움의 특성이 포함된 것이 놀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놀이를 구성하고 확장하거나 제한하는 요소는 놀이공간과 놀잇감이며, 이는 놀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유아가 놀이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는 관계는 또래이므로, 교사는 또래와의 관계가 유아의 놀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하여 접근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이미지를 고려할 때, 유아의 놀이를 위축시키거나 방해할 수 있는 교사의 모습에 대한 반성이 요구되며, 유아의 놀이에서 교사의 역할과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한 지속적인 고민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유아는 놀이에 있어 놀잇감을 중요하게 인식하며, 유아가 형성하는 공간 이미지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이므로, 교사는 놀이 환경을 조성할 때 이를 이해하고 고려해야 한다. 또한, 유아가 형성하는 놀이 이미지의 요소는 놀이를 확장하거나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유아가 형성하는 놀이이미지의 요소에 대한 신중한 탐색이 필요하다. 한편, 유아는 그림그리기와 면담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드러낼 수 있으며, 유아의 그림과 그림에 대한 이야기 안에는 세상을 바라보는 유아의 시각이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는 유아의 생각을 이해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고자 노력하여야 하며, 유아의 목소리가 반영된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끊임없는 연구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유아의 생각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연구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도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