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고준희-
dc.creator고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6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9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99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 대상 TV 프로그램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캐릭터 놀이감과 비캐릭터 놀이감으로 놀이감 조건을 달리 하여 놀이감 조건에 따라 유아의 가상놀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대상 TV 프로그램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 빈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가상놀이 전체 빈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유아의 가상놀이 유형별 빈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유아 대상 TV 프로그램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 주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유아 대상 TV 프로그램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 에피소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유아의 가상놀이 에피소드 개수 및 평균 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유아의 가상놀이 에피소드 사회적 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의 중류층 거주 지역에 위치한 D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 5, 6세 유아 72명이다. 가상놀이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 Rubin(1989)의 「놀이 관찰 척도(POS: Play Observation Scale)」를 기초로 한 Chang(2003)의 척도를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가상놀이의 유형별 빈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Doyle과 Connolly(1989)의 「가상놀이 척도(Scale for Pretend Play)」를 기초로 한 Howe, Petrakos와 Rinaldi(1998)의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가상놀이 주제는 Chang(2003)의「주제 척도(Coding Scheme for Themes)」를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에피소드의 판별을 위해 Wolf와 Grollman(1982)이 분류한 이야기 구조의 단계를 사용하였고, 에피소드의 사회적 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McLoyd(1983)의 가상놀이 유형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용 놀이감으로 7개의 인기 TV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총 19종의 캐릭터 놀이감과 이에 대응하여 크기, 재질 등이 유사한 19종의 비캐릭터 놀이감을 사용하였다. 놀이 관찰은 동일 연령, 동일 성별의 유아들 중 선호하는 캐릭터가 일치하는 유아들을 3명씩 짝 지어 캐릭터와 비캐릭터로 놀이감 조건을 달리한 놀이 상황에서 각 25분씩 실시되었다. 가상놀이 빈도, 가상놀이 유형별 빈도, 가상놀이 주제는 모두 10초 간격으로 시간표집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가상놀이시 나타나는 에피소드는 25분의 놀이 시간 동안 나타나는 에피소드의 총 개수를 측정하고, 또한 각 에피소드가 시작되는 시간과 끝나는 시간을 기록하여 평균 지속시간을 산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놀이감 조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비캐릭터 놀이감보다 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탐색이 더 많이 나타났고, 가상놀이 유형별 빈도의 경우 캐릭터 놀이감보다 비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높은 수준 가상협상이 더 많이 나타난 반면 낮은 수준 가상협상 중 놀이감 소유에 관한 협상은 비캐릭터 놀이감보다 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 주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캐릭터 주제는 비캐릭터 놀이감보다 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더 많이 나타난 반면, 전형적 주제, 현실적 주제, 환상적 주제는 캐릭터 놀이감보다 비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더 빈번하게 나타났다. 셋째,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 에피소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캐릭터 놀이감보다 비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에피소드 개수가 더 많이 나타났고, 평균 지속시간도 더 길게 나타났다. 또한 에피소드의 사회적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마찬가지로 캐릭터 놀이감보다 비캐릭터 놀이감 조건에서 협동적 에피소드의 개수가 더 많이 나타났고, 평균 지속시간도 더 길게 나타났다. 그 외 드물게 나타난 연합적 에피소드에서 놀이감 조건 및 연령의 상호작용에 따라 평균 지속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캐릭터 놀이감으로 인해 놀이감 소유에 관한 협상과 탐색이 증진되는 반면 극과 관련된 의사소통의 필요성과 수준 높은 가상극의 시도가 감소하고, 가상놀이의 주제가 캐릭터와 관련된 주제에 한정되어 주제의 다양성이 제한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캐릭터 놀이감의 매력이 유아의 소유욕과 탐색에 대한 충동을 자극하여 결과적으로 가상놀이의 기회가 줄어들 우려가 있다고 할 수 있다.;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V program which based character toys targeted children on children’s pretend play empirically. For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character toys and non-character toys will be presented to the children by each toy’s condition. Their differing reactions will be monitored and measur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does character toy of TV program that are targeted at children impact on the frequency of their pretend play? 1-1. How does it impact on the entire frequency of their pretend play? 1-2. How does it impact on the frequency of their pretend play by type? 2. How does character toy of TV program that are targeted at children impact on their theme of pretend play? 3. How does character toy of TV program that are targeted at children impact on their episodes of pretend play? 3-1. How does it impact on the number of their pretend play episodes and average sustainment time? 3-2. How does it impact on their social type of pretend play episod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seventy-two children who are attending D kindergarten, located in a Middle-class residential area in Seoul. They are all four, five and six years of age. Chang(2003)’s scale based on POS (Play Observation Scale; Rubin, 1989) is complemented and us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each child's pretend play patterns. In addition, the scale of Howe, Petrakos, Rinaldi(1998) is fixed and used that based on the scale for pretend play(Doyle & Connolly, 1989) to measure it by type. The theme of pretend play is measured by using the revising tool, coding scheme for themes of Chang(2003). The stages of story structure classified by Wolf and Grollman(1982) are used to distinguish the playing episodes. What's more, the type of pretend play by McLoyd (1983) is revised and used to measure the social type of episode. The experimentation toys are nineteen assorted character toys that appear in seven popular TV programs. Also used are nineteen assorted non-character toys having similar size, quality compared to character toys. The observation of the play is investigated by groups who have same gender, age and preference of character toys during twenty-five minutes respectively. The every group consists by three children as well as has condition of character and non-character toys. The frequency of pretend play, the frequency of pretend play by type and the theme of pretend play are measured by sampling per 10 seconds. Episodes appeared in pretend play are measured by the total number of episodes during play time of twenty-five minutes. Additionally, the time that each episode started and finished is recorded, and the average sustainment time is calculated and recorded with the record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oys,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and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was conducted.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ed. First, in effects of character toys on the frequency of children’s pretend play, explorations occurred more often in the condition of character toys rather than of non-character toys. Meanwhile, in the frequency of pretend play types, high-leveled pretend negotiations occurred more often in the condition of non-character toys than of character toys, while low-leveled pretend negotiations occurred more often in the condition of character toys than of non-character toys. Second, in effect of character toys on children’s pretend play theme, while character themes occurred more often in the condition of character toys rather than of non-character toy. Meanwhile, archetypical themes, reality-based themes and fantasy themes occurred more often in the condition of non-character toy rather than of the character toys. Third, in effect of character toys on children’s pretend play episodes, the number of episodes occurred more often in the condition of non-character toys rather than of character toys. Furthermore, in effect on episode’s social type, the number of cooperative episodes occurred more often in the condition of non-character toy rather than of character toys like a preceding. And average sustainment time is appeared longer as well. In addition, there are meaningful distinctions on average sustainment time depending on toy condition and age interaction in associative episodes occurred rarely. Collating all the ideas above we concluded that negotiations and explorations are increased when children play with character toys, but the needs for communication related to the play and attempts on high-leveled pretend plays are decreased. Overall, themes of pretend play are limited on the themes related to the character, so diversity of the themes could be constrained. Therefore, the attraction of character toys stimulates children’s compulsion on possessive, exploration and it makes opportunities of pretend play decrea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11 C. 용어의 정의 12 II. 이론적 배경 13 A. 캐릭터 13 1. 캐릭터의 개념 13 2. 캐릭터의 상품화 16 B. 가상놀이 21 1. 가상놀이의 개념 21 2. 가상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 3. 가상놀이의 빈도 및 유형 25 4. 가상놀이의 주제 28 5. 가상놀이의 에피소드 30 C. TV 캐릭터 놀이감과 가상놀이 33 1. TV와 유아의 가상놀이 33 2. 캐릭터 놀이감과 유아의 가상놀이 36 III. 연구 방법 42 A. 연구 대상 42 B. 연구 도구 43 C. 연구 절차 58 D. 자료 분석 6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70 A.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 빈도에 미치는 영향 70 B.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 주제에 미치는 영향 78 C.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 에피소드에 미치는 영향 81 Ⅴ. 논의 및 결론 88 A. 논의 88 B. 결론 및 제언 102 참고 문헌 109 부 록 121 ABSTRACT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81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 대상 TV 프로그램 캐릭터 놀이감이 유아의 가상놀이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TV program character toys targeted at children on children's pretend play-
dc.creator.othernameKoh, Joon Hee-
dc.format.pagex, 13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