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8 Download: 0

사립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Title
사립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Perception of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about Private Kindergarten Evaluation Process and Criteria
Authors
박수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주기 사립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유치원 평가과정과 평가지표, 평가 만족도에 대한 인식과 그 차이점을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 면담을 통해 평가의 의미와 어려움, 요구사항을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실시될 유치원 평가를 위한 바람직한 평가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 1-1.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은 어떠하며 변인(학급수, 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변인(학급수, 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평가영역 및 지표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 2-1. 유치원 평가영역 및 지표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유치원 평가영역 및 지표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3. 유치원 평가영역 및 지표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 평가과정과 지표에 대한 사립유치원 원장과 교사의 실제 평가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요구사항은 무엇이며 평가의 의의는 무엇인가? 연구 문제 1번과 2번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 3번을 위해 면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1번과 2번의 설문조사를 위해 2010년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서울 사립유치원 695개의 원장과 교사 총 1390명이 참여하였고, 2011년 1월부터 3월까지 우편조사와 이메일조사, 팩스를 이용한 조사를 함께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 3번 면담 연구를 위해 1월부터 3월 사이에 유치원 원장 10명, 교사 10명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 과정 중 자체평가 보고서나 평가관련 자료를 준비하여 기억을 떠올릴 수 있도록 면담을 진행하였고, 모든 내용은 음성녹음 후 전사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자료정리, 자료 해석을 위한 내용 이해 및 범주화, 자료 해석의 객관화를 위해 유아교육전문가 2인의 동료 확인을 받았으며 참여자의 재확인(Member-check)을 받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 준비 과정에서 평가 연수, 연수강사는 대체로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연수시간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평가받은 우수유치원 참관’을 효과적인 연수방법으로 인식하였으며, 연수내용은 ‘현장평가 이해와 전년도 평가 사례’와 ‘평가의 목적과 이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강사로는 ‘평가경험이 있는 평가위원’을 선호하였으나, 원장은 ‘유아교육 전문가’를 선택한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더 다뤄야할 영역으로 ‘평가 항목에 따른 구체적인 서류 제시’와 ‘실제 평가받은 우수 유치원 사례’를 선택하였고, 효과적인 평가 준비를 위한 지원 방법으로 교사는 ‘전년도 평가받은 유치원 또는 우수 유치원을 방문 참관’을, 원장의 경우 ‘전문가 또는 전문 기관이 유치원을 방문하여 지표에 따른 점검 및 지원’과 ‘교육청 단위로 유치원 평가에 대한 심층적인 연수 실시’를 선택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점으로 과다한 서류의 간소화를 선택하였다. 둘째, 평가 과정의 3단계 중 서면평가 없이 ‘자체평가와 현장평가 필요’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며, 현장평가 시간은 줄어들기를 원하였다. 현장평가 당일 어려운 점으로 ‘평가를 위한 수업 준비’를 많이 선택하였지만, 원장은 ‘평가위원 안내와 식사 준비’와 ‘평가위원과 협의할 수 있는 장소 마련’을 교사보다 많이 선택하였다. 힘들었던 점으로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늦은 퇴근 시간’과 ‘관련 문서 준비’를 선택하였으며, 개선점으로는 ‘유치원 유형/규모가 고려되지 않은 동일한 기준의 평가‘를 선택하였다. 유치원 평가 제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에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나 원아모집에 도움은 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평가 결과는 해당 유치원에만 공개하기를 원하였으나, 원장이 교사보다 공개 수준에 있어 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 중 ‘교육과정영역’을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영역으로 인식하였으나, 원장은 교사보다 ‘교육환경영역’과 ‘운영관리영역’을 많이 선택하였다. 28개 평가 지표는 축소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운영관리영역 중 ‘교직원 인사 및 복지의 적절성’과 ‘예산 편성 및 운영의 합리성’은 교사가 원장보다 적절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교육청 평가영역의 평가항목인 ‘에듀케어’와 ‘학급 편성 운영’은 교사가 원장보다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학부모 만족도에 대한 평가지표는 다른 지표보다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면담에서 원장과 교사는 평가룰 통해 유치원의 전반적인 체제가 정비되면서 유치원 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교육의 질이 향상되어 학교로써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다. 평가 준비를 통해 유치원 전반 업무를 공유하면서 타 교사들과 소통하고 협력하며 전체를 바라보는 안목을 형성하게 되었고, 교사들의 역량 향상과 전문성 신장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평가 준비에서 높은 수준의 평가 사례로 인해 부담이 되었고, 유치원 간 경쟁이 과열되었으며, 명확하지 않은 평가기준과 표준적인 서류양식의 예시 부족으로 평가준비가 어려웠다고 인식하였다. 자체평가는 자신을 돌아보는 기회가 되었으며, 자체평가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컨설팅이 필요함을 밝혔다. 평가위원들이 일치된 관점으로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판단으로 평가를 수행하기를 기대하였으며, 개별지표 중 에듀케어 지표의 적절성과 학부모 인터뷰의 객관성에는 의문을 나타냈다. 평가 연수가 평가 준비 실무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이고 사례 중심적이기를 기대하였으며, 사립유치원의 특성을 반영하여 융통성을 가지고, 간소화되기를 원하였다. 평가결과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신중하게 공개되어야 하며, 유치원 선택의 자료로 제공되고, 컨설팅을 통해 유치원의 질 향상에 활용되어야 하며, 교사에게 혜택을 돌아가길 기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평가는 사립유치원을 종합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유아교육의 공교육 강화 및 질적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둘째, 자체평가는 현재의 수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개선방안을 모색, 실천함으로서 유치원의 질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평가지표는 다양성 및 개별성을 포함해야 하며, 이를 통해 사립유치원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지표별 준비 서류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공통지표는 평가 편람뿐만 아니라, 이해를 돕기 위한 안내 매뉴얼이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현장평가는 유아와 교사간의 관찰을 통해 상호작용의 질을 측정하여 유아 중심의 과정적인 측면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긍정적인 평가결과는 우수한 기관임을 입증해 주므로 교사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근거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평가연수는 평가의 관점과 정보의 일치를 위해 국가수준의 일관된 연수가 필요하다. 일곱째, 국가수준의 일관적이고 공정한 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행하는 평가전담 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d and differentiated the process, criteria, and satisfaction of private kindergarten evaluation, which was conducted as the first cycle at national level to understand the meanings, difficulties, and needs in adopting the evaluation process and the criteria in the actual condition, and eventually to seek a desirable method for kindergarten evaluation to be conducted in the years to come. Specific questions of this research for attaining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do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evaluation process? 1-1. How do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perceive the evaluation process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variables(number of classes, length of career, and academic background)? 1-2. How do private teachers perceive the evaluation process and are there any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variables(number of classes, length of career, and academic background)? 1-3. Are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evaluation between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2. How do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evaluation scope and criteria? 2-1. How do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perceive the evaluation scope and criteria? 2-2. How do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evaluation scope and criteria? 2-3.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scope and criteria between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 3. What are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about adopting the evaluation process and criteria in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meanings of the evaluation? Questions 1 and 2 were answer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taken place for question number 3. For the questions 1 and 2, total number of 1390 private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from 695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who took part in kindergarten evaluation which was conducted in 2010, participated in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postal mails, e-mails, and fax from January to March in 2011. For the question number 3, 10 kindergarten directors and 10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from January to March in 2011. The reports from the evaluation process and related materials were prepared for the remembrance throughout the interviews.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questions, frequencies and percentil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Chi-Squares, t-tests, one-way ANOVAs, and post hoc Scheffé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interview data was identified by two professio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ember-checked by participants in order to make the data understood, categorized and objec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perceived evaluation training, lecturers were generally adequate, but training time needed improvements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preparation. They perceived 'visiting kindergarten which was evaluated as an excellent facility' as the most efficient training method, and they preferred 'understanding of onsite evaluation and evaluation of cases from previous year' and ‘object and understanding of the evaluation' as training material. For the training lecturers, 'assessors with assessing experiences' were preferred, but the directors preferred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more. The participants chose 'specified documents need to be presented as the evaluation catagories' and 'cases of facilities which was evaluated as excellent kindergartens' as 'areas need to be covered more'. As the supporting methods for efficient evaluation preparation, the teachers chose 'visiting kindergarten which was previously evaluated or evaluated as an excellent facility', and the directors chose 'professionals or professional facilities need to visit for inspection and support the criteria' and 'training for the evaluation in depth by the local board of education'. Participants showed that 'simplication for the excessive amount of paper works' needed to undergo as improvements. Second, they preferred 'internal evaluation and on-site evaluation' without written evaluation among 3-stages of evaluation. The teachers chose 'preparation for the evaluation' for the most difficult matter on the day of the on-site evaluation, but the directors chose 'treating the council members and the launch preparation', and 'preparing the council's meeting room' over the teachers group. They voted 'working overtime' and 'associated material preparation' for the most difficult matter. The teachers pointed 'putting the same evaluation scale without considering the types or the size of the facility' for improvements. The survey showed that the group was satisfied overall with the kindergarten evaluation system. It also showed that the system was helpful in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education course. The research proved that they wanted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to be shared for the related kindergarten only. The research proved that the directors were move passive about disclosing level. Third, the directors and the teachers came to expect that the evaluation system would narrow the gaps among the kindergartens by realigning the system,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and it would lead to status-lifting. The whole process of preparing the evaluation brought the teachers group together. They communicated and supported each other by sharing general kindergarten operation work. It also helped teachers to get a discerning eye and to acknowledge on professional growth. The survey recognized that the evaluation system seemed to be stressful in preparing for the evaluation due to the high-scored examples, the level of competition among the institutions was increased And it also showed unclear evaluation standard and lack of standard paper documents made the preparation even more difficult. It pointed out that the self-evaluation process helped, but needed consulting supports to conduct the self-evaluation well. The study showed the council members were expected to conduct the evaluation in objective and professional manners, and the objectivity of the parents interview and appropriacy of the edu-care index in individualized criteria were found questionable. The evaluation training was expected to carry more cases with details to be helpful, be simplified with flexibility by applying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must be disclosed carefully to avoid any unwanted side effects, need to be distributed as an optional material,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be great boon to the teacher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of kindergarten inspects the private kindergartens in general and provides opportunities to strengthen the childhood public educations and enhance the quality level. Second, self-evaluation helps to realize the present levels and problems and provide ways to improve and practice in order to seek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kindergartens. Third, evaluation criteria needs to include variety and individuation and be able to identify whether the private kindergartens fulfill the national educational level or not. Also, preparation paper documents need to be suggested in details for each criteria, and common criteria needs to be provided not only as evaluation guidelines, but as guiding manuals which need to be developed and supplied for better understanding. Fourth, on-site evaluation needs to measure the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in order to reflect the child-centered process. Fifth, positive evaluation results will prove the excellency of the facilities, therefore they could be used as basis for providing incentives to the teachers. Sixth, evaluation training needs to be consistent and also in national level to unify the levels and the informations. Seventh, consistent and fair evaluation policy and exclusive organization which processes the evaluation are needed at the national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