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대석-
dc.contributor.author조영주-
dc.creator조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5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02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93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029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Gender is the main element of consisting of social order and an important matter and performance property on the strategy of maintaining North Korean system. Nation designed the Gender according to the need and intention of the nation, arranged it, and a certain type of Gender Regime. Moreover, Gender is not natural but made. It is the knowledge, the concept, and the attitude shared in the society. And when it is practiced, it could have its own meaning at last. Therefore, this study has a purpose on examining the way that Gender Regime based on maintaining strategy and establishing system is restructured by women's practice. Since 1945, North Korea has enforced the woman liberation policy with the purpose of realization of socialism. Former gender system was completely restructured and equality in gender relation was supported. And in order to breed up new socialists, it eliminated the various social gap, homogenized the citizen, and tried the gender-homogenization strategies. Thus, by arranging the law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that make women laborer, women was put into the category of laborer. In addition, the sex-typed work and hierarchy was formed in factory, the physical and legal foundation supporting family was arranged. After the late 1950s, North Korea established and institutionalized the rationing system. By establishing the receiving system, the social hierarchy was attempted by the background and the partisan system, that is combined with gender, and another type of gender order appeared. As a result, the hierarchy of gender was maintained, and the hierarchy by the background is strengthened. And to support the receiving system, the nation came to emphasize the femininity and utilize the sex-typed works and hierarchy to develop the economy by increasing the speed of production. Gender Regime of family was also strengthened as the role of mothers was emphasized. Before the 1990s, the nation had good hold on the social. However, the economic crisis in the 1990s caused the change of the entire social and lost the control power.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the North Korean regime started to strengthen the existing discourse and systems. Meanwhile, appearance of market-place affected the existing gender order. As the social hierarchy based on belief in the party and a revolutionary spirit was maintained, the social hierarchy based on the economic wealth started to appear. But the existing social stratum couldn't be maintain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olitical capital, whether the wealth is maintained or not was decided. In the gender relation, the complexity appeared. With the existing hierarchy, the economic climate affected the gender order, the various social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and between women appeared. Under these national designs, the women's experience showed different aspects before and after the 1990s. The women before the 1990s naturally accepted the identity of laborer. They recognized the labor as the right and authority. The action to reform the social and education were the foundation allowing women to accept the national policy and to think it as a right. Because the national design proceeded in the state of the social concept of before liberation maintained, the citizen including women was able to accept the national design. In factory, women devoted themselves to work and performed the role of mother in family. In particular, at the time, the role of mother educating their children as a revolutionary was emphasized, so being a revolutionary by herself was important. Meanwhile, women had to try to do economic activity to raise their children in poor economic condition. And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the living and raise their children with the wage and distribution from the nation, so they do the house work unit as a sideline. In the relationship of marriage couple, man is a supporter and householder, accordingly, the hierarchy was maintained. However, in the 1990s women's experience started to be changed. Women no longer tried to work in formal workplace like a factory. As the factory was not working, it was difficult to make a living. So they started business. With the revenue from the market, they ran the family economy, and that caused the conflict with the national norms. Moreover, as women became the real living supporter and family operator, the relationship of marriage couple was also changed. Women began to complain about the full responsibility of household affairs, and required the division of the work to their husbands. And as women tended to avoid the marriage and the delivery, that directly affected the social. In case of raising children, women didn't stick to the purpose of making children revolutionary spirit, but made effort to raise able children. The experience of women before the 1990s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economical capital and the party member. They made their experience on the purpose of obtaining the qualification of party member and the economic benefits. However, after the 1990s, they were willing to get the economic benefits more than the partisan. These experience of women was consisted of the concrete practices for surviving in given situation. The main types of women's practice styles appeared in three types. First of all, it showed the image of satisfying the national design, appropriating it, and strengthening it. They internalized and practiced the recognized gender model which the nation suggested. And they also tried to achieve the goal by understanding and appropriating the national policy. The second, In the distorted order by men and women, to get the social recognition and the financial revenue, they appropriated the male authorities and capitalized the sexuality. This caused that patriarchal system and gender regime were strengthened, to overcome the limit of given chance, it conspired with the patriarchal authority. Lastly, as the women understanding came into conflict with the national design, women were alienated from the national design. They didn't accept the existing gender model, and got out from the factory and their family This was raging after the 1990s, women no longer clang to the factory and family, but made new space and criticized the existing standar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hange of North Korea and the gender order is like the followings. Before the 1990s the gender regime of the factory and family had the power to regulate and make order of the gender. Through this, the nation could control the citizen and maintain the order. The cease of factory by a scarcity of resources let the laborer get away from the factory. As people started to do business, the market (or marketplace) was getting bigger. In this situation, the nation directly controled and relaxed the market (or marketplace). The people got new information from the market and chose different lifestyle with before. The people started to go over the boundary between the region and the nation, and their life value and financial state were changed through the market. However, within the change, the gender regime didn't function relatively to women compared to men. Men should be in the workplace even though the factory was ceased. However, women could get out from the space. Despite that, men in dominant position of the factory needed to keep the position, because they could have financial benefits obtained from the position. In addition, they could get benefits from their wives or family with the capital while keeping the position. The family gender regime showed more various aspects than the factory gender regime did. Women got out from the family gender regime. Regarding this, the nation set up the former discourse and system for women to restrengthen to the gender regime. But, the women didn't come back easily. They had already changed their lifestyles and worldview, and obtained lots of information from the market. For all that, the breakaway from the family gender regime was not connected to the change of direct gender order. The women breaking away from the family was escaped from the family gender regime, but the relationship with men in another space was like the one with husband. In other words, women's breakaway didn't weakened the gender order, but it could be a chance for women to experience the gender order in another space. And less skilled women contributed to keep the existing gender order by practicing in new space. Like this, the gender order of North Korea shows the crack by the women's practicing and the change of the condition, but it is maintain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nation and the try of the change. Women also adjusted themselves to the change with the existing way of practicing, accordingly, it didn't connected to the change of gender order. Nevertheless, the possibility of the change of gender order remains. Through women's experience of new society and getting information, various practices appeared, and these practices neuter the strategy of the nation. Moreover, there is a possibility to practice with the purpose of changing the condition, not to practice in the condition with accepting given situation. Until now this article summarized the result of the study and examined the relation of the change of North Korea and gender order. This study had a significant on understanding North Korea in the view of gender and focusing on women's experience and practice. We tried to put women's, who was not regarded as important, as main figures in society by explaining the women's experience and practice actively.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d the outline to abundantly explain the change of women life after the 1990s. In addition, by surveying the relation of women's practice and the national design, we tried to find the base of changing or keeping the system of North Korea in the women's life, not in the system and policy of the nation. ;본 논문은 ‘젠더’가 북한의 사회적 질서를 이루는 한 축으로, 북한 체제 유지 전략에 있어 중요한 기제이자 작동원리였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국가는 국가의 필요와 의도에 따라 젠더를 기획하고, 배치함으로써 특정한 방식의 젠더레짐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젠더는 주어지고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구성된다는 점에서 실천할 때 의미를 갖는다. 국가 기획에 의해 구성된 젠더레짐은 여성의 실천을 통해 재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체제 수립과 유지 전략에 기반을 두고 구성된 북한의 젠더레짐이 여성의 실천을 통해 재구성되는 방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북한 및 북한 여성 연구는 젠더가 체제 작동에 중요한 원리라는 점에 주목하지 않았다. 그리고 북한의 체제 유지와 변화에 있어 여성 실천이 갖는 의미를 적극적으로 해석하지 않았다. 최근 북한 여성의 생활양식과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북한 체제와 가부장제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지만, 여성은 체제 수립 당시부터 실천을 해 왔으며, 최근 관찰되는 여성 실천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여성 경험의 역사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가가 젠더를 체제 원리로 활용하는 방식을 젠더레짐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젠더레짐은 특정한 공간과 제도에서 나타나는 젠더의 배열과 구성 방식이라는 점에서 국가 기획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다. 그리고 여성의 경험과 실천을 구분하였는데, 실천은 주어진 조건에서 생존을 위해 선택하는 전술이 일환이다. 여성의 행위가 구조로 환원되는 것만 아니라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실천이라는 개념으로 여성 경험을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젠더레짐의 국가적 기획 방식과 내용을 고찰하기 위해 문헌 분석을 하였고, 여성의 경험에 대핸 생애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우선 젠더레짐이 국가적 기획에 의해 구성된 방식을 살펴보았다. 북한은 해방 이후 사회주의 이념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여성 해방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전 체제의 젠더질서를 전면적으로 재편하고, 젠더관계에서 평등을 지향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사회주의 인간형을 구성하면서 다양한 사회적 차이들을 제거하였고, 그 일환으로 젠더-균질화 전략을 시도하였다. 여성을 노동자화하는 법과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여성을 노동자 범주에 편입시켰다. 그리고 공장의 성별분업과 위계 구조를 형성하고, 가정을 뒷받침하는 물질적, 법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1950년대 후반 이후 북한은 수령제를 구축하고 제도화하면서 젠더의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전통적 여성성을 강화하고, 사회적 계층과 젠더가 결합된 성별 위계 구조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생산성의 속도를 증가시켜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공장의 성별분업 및 위계를 제도화하였다. 또한 가정에서 남성 권력을 강화하고 성별분업 구조를 유지시키는 장치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사회주의 국가 수립 초기 여성을 해방하려 했던 국가적 시도를 중단하고 보수화되는 특성을 보인다. 1990년대 경제위기는 북한 사회의 변화를 야기했다. 그리고 국가는 당면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과정에서 법과 담론을 통해 여성을 통제하고 가정 내 여성의 역할을 재강화하였다. 한편, 새롭게 등장한 시장은 기존 젠더질서에 영향을 미쳤다. 당성과 혁명성을 기준으로 한 사회적 계층이 젠더와 결합되었던 젠더질서에 경제적 부의 정도가 새로운 변수가 되면서 젠더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동시에 새롭게 형성된 시장에 대해 국가가 개입을 시도하면서 시장 내 젠더레짐이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현재까지 관찰되는 시장 내 젠더레짐은 기존 젠더레짐의 형태를 띠는 것으로 보인다. 국가적 기획 하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경험의 특성은 1990년대 전후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해방 이후 여성은 해방과 평등을 경험하면서 이를 국가의 은혜로 치환하였다. 그리고 전쟁에 참여하고 노동자가 되면서 ‘공민’이 되었다. 사회적 계층화를 시도했던 국가 기획 으로 여성은 출신성분과 당원 여부에 따라 다른 기회와 혜택을 받았다. 그리고 주어진 기회를 활용하여 여성은 국가로부터 인정받기 위해서이거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노동하였다. 그리고 국가가 담론화하는 혁명적 어머니가 되려는 노력을 하기도 하였고, 헌신적 어머니를 중요한 가치로 삼기도 하였다. 한편, 국가 및 남성과의 권력 관계 하에서 보호와 통제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폭력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또는 여성 스스로 자신을 통제하고, 가정 내 남성 권력에 복종하거나 도전하기도 하였다. 1990년대 들어 여성의 경험은 연속과 단절의 모습을 띤다. 가족의 생계와 생존을 위해 활동을 한다는 점에서는 예전의 경험이 이어지지만, 수단이 변화하였다는 점에서 단절적이다. 그리고 국가의 인정과 생존을 위해 노동하고 활동했던 것과 달리 경제적 부를 창출하고 생존하기 위해 장사를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공식적인 영역에서 노동하여 인정받거나 생존을 유지하려는 것이 아니라 장사를 통해 생존하고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려 했다. 그러나 여성의 장사는 남성 권력의 폭력의 대상이 되었다. 여성이 장사를 하는 과정은 힘든 과정이었고, 남성 권력의 폭력에 노출되어 있었다. 한편 1990년대 이후 기존과 다른 어머니노릇이 구성되었다. 자녀 교육 관리자의 역할이 새롭게 구성되었고, 자녀 교육의 의미를 변화시켰다. 이러한 여성 경험에서 나타나는 실천은 국가 기획과 조응하거나 갈등하였다. 그리고 국가 기획이 왜곡되면서 여성은 가부장적 질서에 협상하는 실천을 수행하였다. 국가 기획과 여성의 실천이 조응하는 경우는 두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국가 기획에 대한 적극적 동의에 의해서이다. 두 번째는 국가 기획의 목적과 여성 이해는 다르더라도 결과적으로 여성의 실천이 국가 기획에 부응하게 되는 것이다. 국가의 기획은 현실화되고 여성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왜곡되기도 하였다. 남성 관료와 동료 남성과 여성에 의해 기회의 평등이 왜곡되면서 여성은 자신이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을 활용할 수밖에 없었다.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자본화하거나 남성 권력을 전유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이해를 충족시켰다. 이는 가부장적 권력에 타협하였고, 남성 권력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한편, 여성은 일상적 생활에서 공식적인 규범을 이탈하면서 규범을 희석시켜왔다. 이러한 실천은 1990년대 이후 확대되고 본격화되었다. 여성을 규율화했던 규범들은 더 이상 기능하지 못했고, 여성은 자신이 속했던 공간을 이탈하기 시작하였다. 그 과정에서 여성의 이해와 국가의 이해는 충돌하게 되었고, 여성의 이탈은 더욱 확대되었다. 그로 인해 국가는 여성 이탈에 대한 대응으로 국가 기획을 변형하기 시작하였다. 기존 담론과 제도를 강화하는 한편, 가정 내 남성의 역할 등 새로운 담론을 구성하였다. 결론적으로, 국가는 체제 유지와 위기 대응의 전략으로 젠더레짐을 구성하고 활용하였다면, 여성은 생존과 인정, 기회 창출을 위해 실천하였다. 여성의 실천은 국가 기획과 조응하기도 하고 협상하기도 하면서 젠더레짐을 유지, 강화시켰다. 그리고 국가 기획과 갈등하면서 국가적 기획을 수정하게 하여 젠더레짐을 변형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1990년대 이후 나타나고 있는 여성의 이탈은 새로운 공간의 창출과 이어졌다. 그에 따라 새로운 공간에서도 젠더레짐이 구축되기 시작하였다. 시장에 대한 국가 개입의 시도로 시장 젠더레짐이 구축되기 시작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이 접하는 새로운 공간에서 만나는 다양한 사회적 관계들 사이에서 젠더레짐이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공간에서 구축되는 젠더레짐은 기존의 질서와 규범이 반영되기도 하였다. 새로운 공간에서 나타나는 여성 실천의 방식도 기존의 방식과 유사한 형태를 띠기 때문에 예전과 다른 젠더레짐의 형태가 나타나거나 젠더관계가 전환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 실천이 젠더레짐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 최근 나타나고 있는 여성의 이동과 경계넘기, 그리고 이를 통해 얻는 정보와 새로운 사회의 경험이 실천을 다양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실천들이 국가의 대응 전략을 무력화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성이 주어진 상황을 인정하는 조건 속에서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실천을 구사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 론 1 A.연구목적 1 1.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2.기존 연구 검토 3 3.논문의 구성 6 B.연구방법 7 1.문헌분석 7 2.구술생애사 인터뷰 8 Ⅱ.이론적 배경 17 A.주요 개념:젠더레짐 17 B.사회주의 국가와 젠더 21 1.사회주의 이념과 남녀평등 21 2.사회주의 국가의 젠더 이슈 23 3.탈사회주의와 젠더 27 C.젠더레짐과 여성 실천의 관계 28 1.젠더 구성에 관한 관점들 29 2.여성 경험에 대한 인식틀:실재하는 사회적 관계로서 젠더 30 3.구조와 행위:젠더 구성의 해석 32 4.전술로서의 실천 34 Ⅲ.북한 젠더레짐의 국가적 기획 37 A.사회주의적 젠더질서의 기초 형성 (해방-1950년대) 37 1.사회주의 남녀평등 이념의 실현 37 2.공장의 젠더레짐 구축 47 3.가정의 젠더레짐 토대 형성 52 B.수령제와 국가 기획의 보수화 (1960년대-1980년대) 57 1.수령제 구축과 젠더의 재구성 57 2.공장의 성별분업 및 위계의 제도화 66 3.가정 내 남성 권력과 성별분업 장치 강화 78 C.시장과 젠더레짐의 재강화 (1990년대 이후) 87 1.위기 대응과 여성 통제 강화 87 2.가정 내 여성 역할 재강화 93 3.시장의 제도화와 젠더레짐의 토대 형성 97 Ⅳ.북한의 젠더레짐과 여성 경험 99 A.사회주의 국가 건설과 공민되기(해방 이후-1950년대) 99 1.해방과 평등:수령의 은혜 99 2.전쟁 참전:공민의 의무 104 3.여성의 공민화:기회 획득과 여성의 노동자화 106 B.사회적 계층화와 여성 경험의 차이 (1960-1980년대) 112 1.불평등한 기회와 혜택 113 2.노동:인정의 기회와 생존 수단 117 3.어머니 경험의 차이:혁명적 어머니와 헌신적 어머니 125 4.여성의 몸:보호와 통제의 대상 129 5.가정 내 역할 분담과 남성 폭력 137 C.여성 경험의 연속과 단절 (1990년대 이후) 144 1.장사:생존과 경제적 부의 창출 144 2.시장의 남성화된 폭력 경험 146 3.새로운 어머니노릇의 구성 148 Ⅴ.북한 젠더레짐의 재구성 동학 151 A.기획과 실천의 조응:젠더레짐의 강화 151 1.규범의 내면화와 수행 151 2.기획의 전유와 연출 159 3.공장과 가정 젠더레짐의 상호 구성 170 B.기획의 우회와 협상적 실천 173 1.왜곡된 평등과 섹슈얼리티의 자본화 173 2.남성 권력의 전유와 가부장적 공모 179 3.협상적 실천과 남성 권력의 강화 184 C.기획과 실천의 갈등 188 1.희석되는 규범과 탈장소화 188 2.이해의 충돌과 국가 기획의 변형 197 3.젠더레짐의 변형과 지속 204 Ⅵ.결 론 209 참고문헌 215 부 록 247 ABSTRACT 2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442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한 여성의 실천과 젠더레짐의 동학-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actice of Women and Dynamics of Gender Regime in North Korea-
dc.creator.othernameCho, Young Ju-
dc.format.pagevii, 262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